Bahasa 인도네시아 > masak - matang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62)
  • 최신글

LOGIN

masak - mata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명랑쾌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3-27 06:47 조회2,831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75212

본문


망고 mangga 종류는 여러 가지인데, 흔히 한국인이 망고라 하면 연상하는 망고는 Mangga Arum Manis 입니다. (arum = harum 향기, manis 달다)

마치 눈의 종류가 여러 가지지만, 열대 지방 사람들이 눈이라 하면 함박눈을 떠올리는 것과 같습니다.

에스키모어로 눈을 뜻하는 단어가 40가지가 넘는다고 하지요.


스티커에 쓰인, 아마도 상표인 걸로 보이는 'HARTONO'는 자와족 남성 이름으로 많이 쓰입니다.

아마도 망고가 중부 자와에서 생산되었거나, 망고 농장 주인이 자와족인 모양입니다.

그 밑에 'MASAK POHON'이라고 써있네요. masak은 익다, pohon은 나무라는 뜻이니, 대충 '나무에서 잘 숙성된 과일'이라는 의미라고 때려 맞출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masak 이라는 단어가 좀 이상합니다.


masak은 익다, 성숙하다라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여기에 동사형 접두사인 me-를 붙여, memasak이라고 하면 요리하다, 익히다라는 뜻이 됩니다.(=익게 하다)

하지만, 인니인 거의 대부분이 일상 언어로 memasak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masak이라고 합니다.

즉, masak은 '요리하다'라는 뜻입니다.

과일이 익었다라는 뜻으로는 matang이라는 단어를 보편적으로 씁니다.

그러니, 망고에 붙은 스티커에도 'MASAK POHON'이 아니라 'MATANG POHON'이라고 쓰여 있는 게 맞을 것 같아 보입니다만...


사실 'MASAK POHON'이 적절한 표현입니다.

masak pohon이라는 표현은 '더 맛있게 하기 위해 일부러 나무에 달려 있는 채로 익혔다'는 뜻이 됩니다.

과일에 matang pohon이라는 표현을 쓰면, '너무 익어서 저절로 나무에서 떨어졌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masak은 변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 능동적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matang은 변한 결과에 초점을 맞춘 수동적인 의미입니다.

그래서, 요리하다라는 표현으로 memasak은 있지만, mematang이라는 표현은 없습니다.

굳이 억지로 mematang이라는 표현을 쓴다면, 신이나 시간과 같은 초월적 개념이 열매를 맺고 영글게 한다는 의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인니 사전에 나온 뜻풀이에는 두 단어 다 '익다, 성숙하다'라고, 비슷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동일한 의미의 단어로 보입니다.

하지만, 완벽하게 동일한 뜻의 단어였다면 둘 중 하나는 진즉에 사라졌겠지요.

같은 언어에서 의미가 동일한데도 양립하는 단어들이 있다면 분명히 차이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외국어로 뜻풀이 해서 함축해야 하는 사전의 특성상, 그 차이를 일일이 기재하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언어는 처음 배울 때는 사전의 도움을 받아야 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사전을 통해 외운 단어 뜻들을 다시 해체해야 하겠습니다.

그렇게 해도 모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평생을 배워도 부족합니다.


사온 망고는 잘 먹었습니다.

확실히 돈값을 하긴 하네요.

하지만, 제게는 여행 중 어느 시골 도로변에 한 소쿠리 내놓고 파는 망고가 훨씬 맛있습니다.

팔려고 재배하는 건 아무리 masak pohon을 하려 해도 유통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할 수 밖에 없을테니, 그냥 알아서 자라는 거 따먹다가 남아서 처치곤란이라 푼돈이나 벌려고 집 앞에 내놓는 망고야말로 진정한 masak pohon이겠지요.

  • 목록
Bahasa 인도네시아 목록
  • Total 1,817건 1 페이지
  • RSS
Bahasa 인도네시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17 사이버한국외대 베트남·인도네시아학부 2025학년도 1학기 신입생… 사외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7 777
1816 인도네시아어 공부 인스타를 만들었습니다. 고레고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27 723
1815 [인니어 수업]10월 인도네시아어 오프라인 그룹수업 OPEN 첨부파일 KIEN인니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04 583
1814 꿈이있는 교회 무료 영어/인니어 강좌 안내 rut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3 2151
1813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아름다울,미 美 빛날,화 華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3618
1812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실랑이(를 하다) 댓글1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3549
1811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서로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3613
1810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슬프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3371
1809 우리말의 형성과정 총정리--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밟을,답 踏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753
1808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松느슨할,송 한가할,한 閑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724
1807 인도,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오를,승 昇 높을,고 高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3061
1806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望바랄,망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542
1805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구리다 흐리다 으스름 편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462
1804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하고)난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781
1803 인도,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鍵 열쇠,건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152
1802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보다(생각하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797
1801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案생각,안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397
1800 그냥 주절주절.... 발리스키부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563
1799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延長연장하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2748
1798 티베트,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든든하다,지루하다,한자음 가득할…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211
1797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낳다,나오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377
1796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잴,측 測 생각,안 案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053
1795 인도,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겁 怯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172
1794 티베트,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가르치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454
1793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道길,도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674
1792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살필,찰 察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195
1791 인도네시아에서 온 경상도사투리 꼴랑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090
1790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쪽,람 藍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256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