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LG 투자계획 철회, 인니 전기차 허브 야망에 충격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35)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LG 투자계획 철회, 인니 전기차 허브 야망에 충격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4-29 14:21 조회334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6685

본문

"전기차 수요정체·인프라 부족·정책 혼선·지분구조 이견이 원인"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해온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 사업에서 LG에너지솔루션을 중심으로 한 LG 컨소시엄이 투자 계획을 철회하면서 글로벌 전기차 허브를 꿈꾸던 인도네시아의 야망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현지 자카르타 포스트가 29일 보도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0년 인도네시아 정부와 업무협약(MOU)를 맺고 니켈 광산 채굴-제·정련-전구체-양극재-배터리셀 생산으로 이어지는 그랜드 패키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완결형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총 사업비는 약 129조 루피아(약 11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후 LG에너지솔루션은 LG화학·LX인터내셔널·포스코·중국 배터리 소재기업 화유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LG에너지솔루션이 결국 이 사업에서 발을 빼기로 한 이유에 대해 자카르타 포스트는 우선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를 꼽았다. 최근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으로 배터리 시장 상황이 악화하고 관세 전쟁 등으로 투자 여건이 급변하면서 프로젝트를 철회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부족과 일관성 없는 정책도 문제로 꼽았다.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원자재를 바탕으로 이를 가공하는 후방산업을 키우겠다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그러나 LG 컨소시엄이 투자하려던 니켈 광산이 있는 술라웨시나 말루쿠 제도는 워낙 인프라가 부족해 투자에 나서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각종 인센티브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정책 대상을 확대하면서 니켈 기반 배터리뿐 아니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도 똑같은 혜택을 주고 있다.


세계 최대 니켈 매장·생산국인 인도네시아라면 니켈이 들어가지 않는 LFP 배터리 전기차는 배척하는 정책을 펼쳤어야 하는데 같은 혜택을 주다 보니 인도네시아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 배터리 전기차에 수요가 몰리는 상황이 조성됐다.


자카르타 포스트는 "니켈 생태계에 대한 지원이 집중되지 않다 보니 심층 투자가 저해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지분 구조를 놓고 LG 측과 인도네시아 정부 간 이견이 생겼는데 결국 이를 좁히지 못 한 것도 투자 철회의 이유로 꼽았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LG 측이 광산부터 정·제련, 소재, 배터리 생산까지 그랜드 패키지 사업 전 분야에서 지분을 투자해 사업을 이끌기를 원했다.


하지만 LG는 광산과 정·제련 사업에는 소극적이었으며 컨소시엄 파트너인 중국 정·제련 업체 화유 주도로 광산 투자에 나서길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LG 입장에서는 본업이 아닌 분야에서 리스크를 감당하길 원치 않았지만, 인도네시아 정부는 미중 무역 갈등 와중에 중국계 기업 의존도를 낮추고 싶어 했고 이 간극을 채우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LG 컨소시엄 내에서 음극재·양극재 생산을 맡았던 포스코가 중국 업체와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런 사실도 투자에 소극적이 되도록 만들었다고 자카르타 포스트는 분석했다.


LG의 투자 철회에도 인도네시아 정부는 대체 투자자를 찾을 수 있으며 전기차 허브 구축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 투자 철회 결정 이후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LG의 철수가 인도네시아의 장기 투자 전망을 훼손하지 않는다며 "인도네시아는 광대하고 기회로 가득 차 있다"고 말했다.


바흘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도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투자자 교체는 흔한 현상"이라며 사업의 기본 계획에는 변동이 없고, 화유가 이 사업의 전략적 투자자 역할을 맡아 인도네시아 국영 기업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에릭 토히르 공기업부 장관은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일본, 미국, 카타르 등과 새로운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laecorp@yna.co.kr

좋아요 0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1,871건 1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좋아요2 2025년 자카르타 인근 골프장 가격 (요일별) 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1-15 830
1870 美 고율 관세에 인니, 中 태양광 기업 도피처로 떠올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5-05 152
1869 인도네시아, 10GW 규모 원전 도입 추진…5년 내 계약 목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5-02 176
열람중 LG 투자계획 철회, 인니 전기차 허브 야망에 충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9 335
1867 한경협, 인니에 대규모 경제사절단…신동빈 국부펀드투자 요청(종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9 158
1866 주인니대사관, 동포사회 범죄피해 예방 세미나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8 148
1865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5.04.28 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8 128
1864 인니, 관세전쟁 우려에도 5% 성장 기대…무역장벽 완화 추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162
1863 인니 美 원유 등 연 190억달러 수입 확대…60일내 협상 마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2 179
1862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5.04.21 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1 186
1861 인니, 니켈·구리·석탄 등 광산업 수수료 인상…업계는 반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7 203
1860 인니 장관 美 원유·LPG 수입 100억 달러 증액 제안 계획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7 142
1859 인니 러, 공군기지 구축 시도 보도 부인(종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7 179
1858 인니 진출 韓기업 관세 불확실성에 주문 줄고 선적 보류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314
1857 인니, 극빈층 무료 기숙학교 '국민학교' 추진…계층 분리 우려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190
1856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5.04.14 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4 190
1855 인니 파푸아 반군 금광 노동자 위장한 군인 17명 사살 주장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1 281
1854 인니,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난민 수용 결정…1차 1천명 규모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239
1853 인니, 미국산 수입관세 0∼5%로 낮추기로… LNG·대두 등 수…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9 227
1852 인니 증시, 긴 연휴 후 개장 직후 거래중단…약 8% 하락(종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9 147
1851 인도네시아 증시, 긴 연휴 끝 폭락 출발…개장하자마자 거래중단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9 189
1850 인도·호주·동남아 증시 줄줄이 하락장…월요일의 피바다 (종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8 206
1849 印정부, '美상호관세'에 보복보단 무역협정에 집중키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7 252
1848 인니, 외신기자·연구자 활동 사전허가제…언론자유 침해 논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6 231
1847 [美관세폭풍] 트럼프, "훌륭한 친구"라면서 인도에 26%…車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4 282
1846 [美관세폭풍] 트럼프, "훌륭한 친구"라면서 인도에 26%…車 …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4 196
1845 [미얀마 강진 현장] 내전 중 덮친 대재앙…숨기기 급급한 군정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4 199
1844 인니, 브릭스 이어 신개발은행도 가입키로…경제개혁 촉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6 252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