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429)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6-30 10:26 조회53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7780

본문

세계 각국의 군사기술과 무기를 소개하는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종합 방산 전시회 인도디펜스

현지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기술교류, 수출 등 다양한 협력 방식에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지난 2025년 6월 11~14일까지 자카르타 JI Expo Kemayoran에서 INDODEFENCE 2024 전시회가 개최됐다. 인도디펜스는 동남아시아 최대의 방위산업 전시회 중 하나로, 격년으로 개최되며 매 회마다 다양한 방산업체들이 참가하는 대표적인 방위산업분야의 전시회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국가의 방위산업 기업들이 참가하며 각국의 국방관계자, 산업관계자 및 잠재적 파트너들이 모이는 행사다.


동 행사는 2024년 11월에 예정돼 있었으나 지난해 신정부 출범으로 인해 2025년 1월로 한 차례 연기됐고, 최종적으로 INDODEFENCE 2024 타이틀로 2025년 6월에 개최됐다. 전시회에는 55개국 1180개사의 기업이 참가했으며, 주최 측에 따르면 총 방문객은 약 4만2000명으로 추산됐다.  각 기업들이 부스를 구성해, 육, 해, 공에 활용할 수 있는 국방, 보안기술을 선보였다. 그밖에도 세미나, 심포지엄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됐으며, 주최 측은 이번 행사를 통해 총 52건의 MOU 및 파트너십이 체결됐다고 발표했다.


<인도디펜스 2024 개요>

3036457440_1751253430.5396.png

[자료: 인도디펜스 공식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전시회 구성


이번 행사는 "세계 평화와 안정성을 위한 방위산업 파트너십(Defense Partnership for Global Peace and Stability)”을 테마로 구상됐으며, 행사장은 크게 인도네시아 기업 및 여러 국가들의 국가관 부스들과 오픈포럼, 시뮬레이터 등 체험공간, 항공기 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메인 홀에는 인도네시아 국영방산기업 지주인 Defend ID 부스를 운영하여, 장갑자, 군함 프로토타입, 첨단 무기체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전시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2년 4월  방산분야 주요 5대 국영기업으로 구성된 국영방위산업 지주회사 Defend ID를 설립하여, 인니 국방력 강화 및 동남아 최대 방위산업체로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Defend ID 부스는 Len Industri(전기, 통신), PAL(해군, 조선), Dirgantara Indonesia(공군, 항공기), Dahana(폭약), Pindad(육군, 무기, 중장비)로 구성됐다. PT DI 는 군용 헬리콥터와 전투기 모델을 전시했으며, PT PAL은 군함과 잠수함, 초계함을 선보였다. PT Pindad는 무기, 탄약, 전투차량 등을 전시했다. PT LEN Industri는 군사용 드론의 시스템 통합과 인공지능기술, 무전기, 레이더시스템, 사이버 솔루션 등 다양한 제품을 소개했다.


전시기간 동안 ‘강력하고 회복력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공개포럼도 개최됐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비대칭전 기술(Asymmetric Warfare Technology)’에 대해 다루었으며, 두번째 세션에서는 ‘사이버 전쟁의 발전’, 마지막 세션에서는 ‘보병 시스템(Dismounted Soldier Systerms)의 혁신에 관한 발표가 진행됐다.


해외기업 부스 운영


여러 국가들은 제품 시연과 더불어 인도네시아와 방위산업분야의 협력 구축을 희망하는 차원에서 전시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한국은 KAI(한국항공우주산업), LIG 넥스원, 동인광학, 수옵틱스, 신우테크놀러지, 씨리치, 연합정밀, 옵티머스시스템, 크로시스, 한백에어, 현대위아, 포스코인터 등  10여개의 기업들이 부스를 운영했으며, LIG 넥스원 및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협력하고 있는 국내기업들을 동일 부스 내 소개하는 공간을 마련했다. 우리 기업들은 제품의 전시 및 홍보를 통해 해외 바이어들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튀르키예는 국가관 운영을 통해 해양시스템, 무인 지상 및 공중차량, 탄약, 군수제품을 전시하였으며, 인도는 BrahMos, L&T, BEL, and BDL를 비롯한 약 50여개사들이 Idex(인도 방위혁신프로그램) 전시의 일환으로 참가하여 인도네시아 내 방위산업기업들과의 협력을 추진했다. 프랑스는 전자전(EW) 및 스펙트럼 솔루션을 선보이며 ATDI가 대표로 참가했으며, 라팔(Rafale)전투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영국은 Proelium Law 로펌을 통해 국제 방산분야에서의 법률준수와 조달관련 지원을 홍보했으며, 미국은 F-15EX 전투기를 전시하면서 비행 시뮬레이터 체험도 제공했다. 이 기종은 현재 인도네시아 국방부의 도입 및 현지 조립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아래의 사진은 여러 국가 부스에서 소개한 인도네시아와의 대표적인 협력 사례이다. 첫번째 사진은 호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대공포(Anti-craft Gun) 시제품이며, 두 번째는 탄약을 공급하는 한국 기업과의 협력 성과물이다. 세번째 사진은 인도네시아가 최근 도입한 프랑스제 라팔 전투기이다.


<인도네시아-타국가간 방위산업 협력>

3036457440_1751253606.0226.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직접 촬영]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예산


인도네시아 국회 제1위원회를 통해 올해 2월 결정된 바에 따르면, 국방 관련 예산으로 139.2 조 루피아 규모의 예산이 승인됐으며, 언론을 통해 발표된 예산 주요 배분 내역은 아래와 같다.


<인도네시아 국방관련 예산>

3036457440_1751253728.3835.png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현지언론 KOMPAS 재가공]


동 예산은 인도네시아 군의 주력무기체계(Alutsista)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 국군(TNI)의 방위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군 운영 및 관리 효율성 제고 및 군인 복지향상, 방위산업 R&D 강화 등이 핵심과제에 포함돼 있다. 


현장 인터뷰


이번 INDODEFENCE 2024 행사에서는 호주,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미국, 인도네시아 등 여러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드론을 전시했으며, 물류 운송용 드론, 박격포 투하형 드론, 자폭형 드론 등이 포함됐다. 미국, 호주, 튀르키예는 정찰 및 공중 감시용 드론의 성능을 중점적으로 선보였으며, 인도네시아와 UAE는 공격용 드론에 초점을 맞췄다. 한국은 지상기반의 ‘로봇개’ 형태의 드론(무인시스템)을 전시했으며, 이는 물류지원 및 전투임무 수행 등의 목적으로 설계됐다.


인도네시아 국군 관계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가 현재 특정 스펙을 충족시킬 수 있는 드론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 전시회를 통해 다양한 국가, 기업의 제품을 탐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언급된 품목들은 아래와 같다. 


- 단순 박격포 투하가 아닌, 실제 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드론

- 경량, 소형화되어 병사의 배낭에 쉽게 수납이 가능한 드론

- 고급 장애물 감지 및 방지(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기능을 갖추고 있어, 충돌 없이 자율 비행이 가능하며 숲이나 건물 내부 등 복잡한 환경에서 운용하기에 적합한 드론


인도네시아 정부는 파푸아지역 등 울창한 밀림과 산악지형, 고지대 등에서 활용 가능한 드론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미 인도네시아 자체적으로 드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도네시아 국군(TNI) 본부에 따르면 보다 성능이 뛰어난 전투용 드론을 여전히 필요로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바이어 및 유통업체들은 현재 경쟁적으로 외국산 드론 기술을 탐색하고 있으며, 현지 환경에 적합하면서도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찾고자 하고 있다. 현지 에이전트인 C사는 한국기업 중에 전투용 드론을 생산하는 업체가 있다면 제품 사양 등을 공유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M사는 한국에 군용 드론과 관계된 전시회나 행사 일정이 있다면 초대해 달라고 말하며 한국 기업 소개에 열려 있다고 말했다.


<전시회 내 드론 전시사진>

3036457440_1751253912.0895.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직접 촬영]


시사점


INDODEFENCE 2024는 세계 각국의 군사기술과 무기를 폭넓게 소개하는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종합 방산 전시회로, 인도네시아 정부의 방위산업 분야에 대한 관심과 발전 의지를 볼 수 있다고 평가된다. 한국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들이 항공기, 미사일, 드론 등 군사장비 분야의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들을 선보였으며, 인도네시아 기업과의 진행중인 협력 등을 소개하며 국가 차원의 협력을 다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동 전시회를 통해 인도네시아 기업들은 자사의 기술과 장비를 소개하는 동시에, 정부의 국방 전력 구비를 위해 필요한 장비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기도 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와 다른 국가사이에 35개의 MOU와 17개의 계약이 체결됐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인도네시아가 여러 국가와의 국방 관련 주요 협력 합의가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인도디펜스 전시회는 우리 기업들이 인도네시아의 국방 관계자 및 기업들에 제품을 소개하고 논의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됐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한국-인도네시아간의 방위산업 협력을 알릴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방위산업의 특성상 최종 납품을 위해서는 현지 국군 및 이해관계자와의 네트워킹이 필수적이며, 적합한 에이전트 등의 발굴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인도네시아로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기술교류, 수출 등 다양한 분야와 협력 방식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시장에 접근해야 한다.



자료: INDODEFENCE 2024 홈페이지, INDODEFENCE 2024 디렉토리, 인도네시아 재무부, TNI, ANTARA News, KOMPAS 등 현지 언론,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50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새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54
949 인도네시아 국제 식품 전시회(동부) 2025 참관기 새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57
948 인니, ’26년까지 현지 금속 거래소 설립 새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62
947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26
946 인니 APEKSI 연계 K-Smart City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17
945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15
944 2025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12
943 인니, 니켈·구리 등 광산 로열티 인상··· 광산업계 경쟁력 우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5989
942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5758
941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효율화의 주요 내용과 함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8375
940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452
939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499
938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10654
937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10509
936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12875
935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5324
934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6661
93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4001
932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757
931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4382
930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2091
929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9803
928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1787
927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2234
926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5640
925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317
924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247
923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974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