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는 지금 한국 웹툰 전성시대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39)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는 지금 한국 웹툰 전성시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10-08 18:10 조회1,812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88241

본문

인도네시아는 지금 한국 웹툰 전성시대
2021-09-30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 정세호

한국 웹툰, 한류 콘텐츠 원작에 대한 관심과 현지화 전략으로 시장 주도 -

디지털 기기의 보급과 집콕 트렌드로 웹툰 수요 증가 지속 예상 -

 

 

 

인도네시아 만화 시장


인도네시아 만화 시장은 인쇄 만화와 디지털 만화로 구분되며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만화책과 같은 전통적인 인쇄 만화 위주로 성장했다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인도네시아 만화시장 규모는 2018 기준 850 달러로 추정되며인쇄 만화가 전체 88.2% 차지했다여전히 인쇄 만화가 지배적이지만 만화시장 역시 디지털 전환이라는 변화에 따라 디지털 만화의 시장규모는 점점 커져 2018 11.8%에서 2023년에는 22.5%까지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0

 

 

 

인도네시아 내 일본 만화를 유통하는 엘렉스 미디어(Elex Media Komputindo)* 2020 만화책 베스트셀러 10 모두 일본 만화책인 점에서 확인할  있듯이 1990년대 일본 만화의 보급이 본격화 이후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인쇄 만화 시장을 일본 만화가 독점하고있다.

 주: * 인도네시아 인쇄 만화 유통시장은 대형 출판체인인 콤파스 그라메디아(Kompas Gramedia) 84%로 독점하고 있으며일본 만화를 유통하는  엘렉스 미디어(Elex Media Komputindo) 기타 가의 만화를 유통하는 엠엔씨 코믹스(M&C Comics) 산하에 있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인도네시아  웹툰 사업자 현황


외국에서 인터넷 만화를 통칭하는 단어인 웹만화(Webcomic)와는 달리 웹툰(Webtoon) 한국에서 만들어진 단어로 ① 포털사이트에서 연재되며 ② 세로로 길게 표현돼 스크롤을 활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 만화가 주류인 인쇄 만화와는 달리인도네시아 디지털 만화시장에서는 여러 국가의 웹툰 플랫폼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네이버 ‘라인웹툰(Line Webtoon)’ 카카오의 ‘카카오페이지(Kakao Page)’  한국 플랫폼이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미국중국 플랫폼도 상위권에 포진돼 있다. 2021 8 매출액 기준으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  웹툰  상위 10  5개가 한국 웹툰 앱이었으며, 그 밖에 일본 3개, 중국과 미국은 각각 1개씩 랭크됐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한국 웹툰 플랫폼이 시장을 선도하 가운데 중국인도네시아 업체들도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대부분 해외 웹툰 플랫폼에서는 영어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현지어(인도네시아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5개로 한국의 ‘라인웹툰’, ‘카카오페이지  중국의 ‘웹코믹스’, ‘위코믹스’, ‘망가툰 있다인쇄 만화에서 강세를 보이는 일본의 경우 현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툰 플랫폼이 아직 없다는 점이 눈에 띈다.

 

한편인도네시아 현지 웹툰 플랫폼의 성장도 눈여겨볼 만하다현지 대표 웹툰 플랫폼이었던 ‘찌아요(Ciayo)’ 4년간의 운영 끝에2020 서비스를 종료했지만, 후발주자로 2020 서비스 개시에 나선 코믹(Koomik)’ 현재까지 누적다운수가 1만 회에 이르며, 현지 작가 작품이 900 이상으로 많은 유저를 모으고 있는 중이다.

 

코믹의 CEO Brian과의 전화 인터뷰에 따르면인도네시아 만화 시장은 라인웹툰이 진출한 2015 이후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만화책과는 다른 화려한 색감다양한 스토리언제 어디서든 접할  있는 편리성  웹툰 만의 매력으로 짧은 기간 구독자들이 많이 증가했다고 한다.

 

코믹만의 경쟁력으로는 부분 유료화(일정 시간 기다리면 무료지만 돈을 지불하면 바로   있는 서비스) 도입한 대부분의 플랫폼과는 달리인도네시아인들은 무료 웹툰을  선호하여 완전 무료 서비스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작품이 마음에  경우 액수에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기부할 수 있는 도네이션 시스템과 광고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한다덧붙여 아마추어 작품은 일정 기준만 충족시키면 플랫폼에 바로 올릴  있기 때문에 담당자들이 작품을 먼저 검토한  선별적으로 게재하는 다른 플랫폼에비해 많은 작가를 양성할  있다고 한다.

 

 밖에 2013 서비스를 개시한 ‘레온(Re:On) 코믹스 인쇄 만화 출판부터 시작하여 현재 만화책 판매와 인터넷 만화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만화의 경우 대부분 인쇄 버전의 작품을 인터넷에 옮긴 것이라서 세로 스크롤 버전이 아닌 좌우로 페이지를넘기는 전자책 형태이또한 별도 모바일 앱이 없어 웹사이트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해야한다는 한계가 있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한국 웹툰한국 콘텐츠의 위상

 

2021 8  매출액 기준구글 플레이 스토어 인도네시아에서 검색되는 웹툰 플랫폼 상위 40  12개가 한국 웹툰 플랫폼이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네이버 ‘라인웹툰 2015 웹툰 서비스가 미약했던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형성했다당시 인도네시아 모바일 인구의 폭발적 증가에 비해  젊은 층이 즐길  있는 콘텐츠가 충분하지 않았고라인웹툰의 등장으로 인도네시아 웹툰 시장이 더욱 다양해지고 커졌다   있다네이버에 따르면동남아지역 라인웹툰의 월간  사용자(MAU) 1200 명을 돌파했고  인도네시아 MAU 690  수준이다라인웹툰의 성공 배경으로는 국내 인기 콘텐츠를 현지어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현지 아마추어 작가 발굴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현지 생태계 지원을 꼽을  있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라인웹툰이 독점하던 시장에 2018 현지 웹툰 서비스 기업 ‘네오바자르(Neobazar)’ 인수한 카카오페이지가 진출하면서 한국 웹툰플랫폼의 돌풍이 이어지고 있다카카오페이지는 인수 후에도 네오바자르의 플랫폼 이름인 ‘웹코믹스 플랫폼을 유지했으나, 2020카카오페이지 변경하면서 이용권 선물뽑기권  기존에 없던 운영 요소를 도입해 시장 공략에 나섰다카카오는 인도네시아 카카오페이지 사업의 현재 수준은 2013 대한민국과 비슷한 상황으로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고 한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한편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해외 16개국  한국 웹툰 선호도는 인도네시아가 가장높으며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2020 인도네시아에서 이용하는 한국 출판물 중에서 웹툰이 50.9% 가장 많은 가운데 인기 이유로 ‘스토리가 좋다’, ‘다양한 소재와장르를 다룬다’, ’한류 콘텐츠의 원작이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있었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인도네시아 웹툰 소비 트렌드

 

웹툰 플랫폼  구독수에서 확인할  있듯이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르는 로맨스코미디 물이다이는 낙천적이고 감성적인인도네시아 사람들의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그만큼 젊은 층에서 결혼과 연애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있다 밖에 귀담이 많은 나라답게 공포물 역시 인기 있는 장르다현지 웹툰의 경우 이슬람 문화가 반영된 일상 생활이나 르바란라마단 등의 현지 상황이 반영된 이야기도 많은 공감을 받고 있다고 한다.

 

 

d135cf0e06d2290a8f33d5896193f8e8_1633691

 

 

 

시사점


스마트폰  인도네시아  디지털 기기의 보급과 코로나19 이후 정착된 집콕 트렌드로 웹툰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가 기대된다. 또한,현지 웹툰 플랫폼 코믹 CEO Brian 인도네시아는 인구대국으로특히 웹툰을 많이 소비하는 젊은 층의 인구가 많고 과거에 비해 현지작가들을 양성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 웹툰 시장은 해를 거듭할 수록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한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인도네시아인들이 많기 때문에 독자들은 웹툰 플랫폼 이용  현지어 서비스 가능 여부를 가장 먼저 확인한다고한다또한 인도네시아를  공감하고 이해할  있는 인도네시아 현지 작가들의 작품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현지 작가들의작품을 접할  있는지 여부도 중요한 요소로 보인다.


만화 왕국 일본의 만화책이 시장을 독점했음에도 불구하고 웹툰에서는 현지 니즈를  반영하여 진출한 한국의 두드러진 강세가 눈에띈다최근에는 한국 웹툰을 원작으로  드라마가 많이 제작되고 있어 한국 웹툰의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한국콘텐츠진흥원 인도네시아 콘텐츠산업동향 2019/2020 3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9/2020/2021 해외한류 실태조사, 인도네시아 교육부, 콤파스 그라메디아(Kompas Gramedia), 엘렉스 미디어(Elex Media Komputindo), 구글 플레이 스토어웹툰가이드 웹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53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53 인도네시아 축산 박람회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92
952 스타트업으로 알아보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전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79
951 2025 한-인니 EV e모빌리티 비즈니스 플라자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90
950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63
949 인도네시아 국제 식품 전시회(동부)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145
948 인니, ’26년까지 현지 금속 거래소 설립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65
947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65
946 인니 APEKSI 연계 K-Smart City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42
945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40
944 2025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37
943 인니, 니켈·구리 등 광산 로열티 인상··· 광산업계 경쟁력 우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381
942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175
941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효율화의 주요 내용과 함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8747
940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56
939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64
938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10722
937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10610
936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12970
935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5366
934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6700
93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4018
932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768
931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4401
930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2133
929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9835
928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1822
927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2248
926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5661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