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hasa 인도네시아 >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rasa 편-->우리말과 일본어와 영어로 증명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748)
  • 최신글

LOGIN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rasa 편-->우리말과 일본어와 영어로 증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0-15 21:46 조회1,339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51371

본문

rasa 인도네시아어로 맛 이다.

아래에 인도네시아어 사전 설명에서도 알수 있듯이

감정을 표현하기도 한다.

슬픈 생각이 났어!

좋은 생각이 났어!

묘한 느낌이 나네!

짠 맛 rasa asin 뒤에서 수식한다.

이 역시 우리말 동사로 이루어져 있다.

났어 혹은 나다--->어원

무슨 맛이 나?

짠 맛이 나는데.

맛이 나다 맛을 내다 

smell/ taste + 형용사

 ~한 냄새가 나다/맛이 나다 

기본형 나다

맛을 내는 다시다 다시낸다 맛이 나왔다고 한다.

우러나온다 

일본어로 맛이 나다 味が出でる 아지가 데루

맛을 내다 아지오 다스 出だす 

맛을 내다

영어의 taste 다셨다 역시 맛을 내었다 

입맛을 다셨다 ㅋㅋ

국물맛 다시 

다시마는 맛을 우러내는 해조류인가?

하기사 다시마 말린 것을 멸치대신 쓰기도 하더군.


出을 대만어로 tshut 쭛

광동어로 ceot1 첫 

북경어로 chu 추 라 발음한다.

일본어로는 슛

우리말 받침 ㄹ은 ㅌ에서 변형되어 온 것이다.

出이 

벵골어 펀자브어 Ā'uṭa 아우타  

영어 out 아웃는 인도계열 언어에서 변형된 결과

힌디어 baahar 바하르 바까르---> 바깥

베트남어 Ra  라 나 나다 의 어근 나<-->라 호환 

밖으로 나가다 어근 나(out)+가(go)

라틴어 e

그리스어 Exo


taste 맛


벵골어 Sbada

펀자브어 Su'āda

힌디어 svaad 혓바닥 샛바닥 palate니까 

베트남어 nếm  (맛이) 남==>(맛이) 나다의 명사형 

taste, savor, savour

카자흐어 дәмі 

우즈벡어 ta'mi 


터키어 tat

1. 풍미

2. 미각

3. 기분

 [타트]damak zevki   쩝쩝

damak 입천장,구개 palate 와 같군. 

lezzet

1. 풍미2. 미감

 [레제트]

(맛을)냈었다 혹은 (맛이)났었다

인도네시아어 kecap

ke~에 

cap 쩝    쩝쩝 거리는 소리 ㅠㅠㅠ

pengecap

[쁭으짭]

어원 kecap


1.시식가 2.미각

1.

명사 시식가 ‎

2.

명사 미각 (alat perasa; lidah) ‎


pengecap

맛, 기호.

kecap 

1. 혀를 차다, 입맛을 다시다, 쩝쩝 소리를 내다

2. 맛보다, 시식하다, 먹어보다, 경험하다, 겪어보다(= menikmati, mengenyam, merasai)

kécap 2 [ 끄짭 ] 

1. [명사]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 (penyedap makanan)

2. [명사] [비유어] 거짓; 헛소리 (bual; omong kosong)

kecap 1 [ 끄짭 ] 

[명사] 먹을 때의 입술 움직임; 쩝쩝거림

mengecap 2 [ 믕으짭 ] 

(원어 → kecap)

1. [동사] 쩝쩝 소리를 내다

2. [동사] 맛보다 (mengenyam); 시식하다 (mencicipi)

3. [동사] 즐기다 (menikmati)



Proto-Sino-Tibetan: *thjŭt ( ~ dh-)
Meaning: go out, come out
Chinese: 出 *thut go out, come out; bring out; expel; 黜 *thrut expel.
minus-8.png 
Character: 
Modern (Beijing) reading: chū
Preclassic Old Chinese: thut
Classic Old Chinese: thwǝt
Western Han Chinese: thwǝt
Eastern Han Chinese: ćhwǝt
Early Postclassic Chinese: ćhwit
Middle Postclassic Chinese: ćhwit
Late Postclassic Chinese: ćhwit
Middle Chinese: ćhwit
English meaning : to come out, go out, go away
Russian meaning[s]: 1) выходить; вылезать; происходить из...; выходить; выход; 2) выдавать; выпускать, издавать; вывозить; экспорт; 3) производить, рождать; 4) выдаваться из...; превосходить; 5) выйти из...; прекратить, перестать; 6) превысить, превзойти (напр. лимит); 7) израсходовать; расход; 8) вне, снаружи; [-chu] [-chū] глагольный суффикс, указывающий, что действие направлено наружу
Comments: Also read *thut-s, MC ćhwì (FQ 尺�) 'to bring out, send out, hand out'.
Sino-Tibetan etymology: Sino-Tibetan etymology
Dialectal data: Dialectal data
Radical: 17
Four-angle index: 1008
Karlgren code: 0496 a-e
Vietnamese reading: xuất
Jianchuan Bai: -ćhi6
Dali Bai: -śi6
Bijiang Bai: čher6
Shijing occurrences: 29.3, 29.4_, 39.2, 39.3, 39.4, 40.1
Tibetan: ćhud, ãćhud, ãʒ́ud to go, to enter.
Burmese: thut to take out, to pick, to let out.
Comments: Luce 50.

rasa


1. 감정 (= keadaan hati, sentimen, emosi)

2. 의견, 주장 (= pertimbangan piriran, pendapat, pikiran)

3. 맛(= selera)


1. [명사] (오감에 의한) 감각

2. [명사] (육체의 자극에 의한) 느낌

3. [명사] (물체에 대한 좋고 나쁜 혹은 공포 등에 대한 마음의) 감정


perasaan 2 [ 쁘라사안 ]  

(원어 → rasa)

1. [명사] 느낌의 결과; 감각

2. [명사] 마음 (hati)

3. [명사] 감정 (emosi)

merasai [ 므라사이 ] 

(원어 → rasa)

1. [동사] 맛 보다; 시식해보다 (mengecap; mencicipi)

2. [동사] (즐거운 느낌을) 경험하다, 갖다 (mengalami kesenangan)

3. [동사] (손발로) 느끼다


출처:네이버 인도네시아어사전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목록
Bahasa 인도네시아 목록
  • Total 1,746건 5 페이지
  • RSS
Bahasa 인도네시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34 인니어 개인교습 선생님 구합니다 (찌라짜스 지역) 치어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28 1201
1633 끌라바가딩-우이대 카플 원합니다. 댓글1 양갱8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12 1202
1632 인니어 선생님 구해요. 레오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28 1207
1631 인도네시아말로 본 우리말의 어원 ~거리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6 1208
1630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잡았다,잡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8 1215
1629 한자가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ceria 편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5 1220
1628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palun 편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6 1224
1627 인니어 선생님 구합니다 바하사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14 1229
1626 pura pura와 parah의 구어적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댓글1 오랑솜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1 1254
1625 인도네시아어도 우리말로 풀이가 가능하다 예)musuh 댓글3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6 1262
1624 일본어가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aku(아꾸-->나)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6 1266
1623 인도네시아에서 온 우리말 신나다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5 1274
1622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놓을,방 放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8 1276
1621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cincin 편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5 1277
1620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각하 (閣下)의 각,우리말 깍(듯이)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6 1286
1619 Kota Bandung Memiliki Banyak Tempat… 댓글1 rent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17 1297
1618 한.영.인니 통역해주실 인니인 찾고있습니다 댓글1 Gongj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27 1302
1617 꿈이있는 교회 무료 영어/인니어 강좌 안내 rut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3 1308
1616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아이,동 童 말씀,언 言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1309
1615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samar편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0 1310
1614 [인도사랑] 인도네시아어 12강 비교급 인도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19 1325
1613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salah 편 댓글3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3 1326
열람중 우리말이 보이는 인도네시아어 rasa 편-->우리말과 일본어와 …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5 1340
1611 [인도사랑] 인도네시아어 6강 시제 인도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19 1346
1610 [인도사랑] 인도네시아어 3강 지시어 인도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19 1351
1609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安靜 안정 /安定 안정/安全안전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1351
1608 인도네시아에서 온 한자음 잴,측 測 생각,안 案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1356
1607 우리말 꼭(반드시 확신의 뜻) 이란 말은 인도네시아어에서도 쓴다 댓글2 나비우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6 135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