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이주 관련 질문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75)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이주 관련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씨마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3-04 12:01 조회9,154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5393

본문

안녕하세요.
이 사이트 발견하고 거의 한달 내내 여기서 살았던 것 같네요.
낙서장과 인니 스토리의 거의 대부분의 게시물을 읽은듯... ^^;;;

주재원 발령을 받아서 4년정도 자카르타에 거주하게 되었어요.
출국은 늦가을이나 되어야 할 것 같은데, 현재 사는 집 정리는 좀 빨리 하게 될 것 같아서
이주 이삿짐 관련 질문 몇가지 드려요.
일단 저희는 컨테이너 1개를 회사에서 지원 받는다고 하구요.

1. 장롱-혼수로 마련한 12자짜리 장롱이 있는데, 글 읽다보니 가져 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하는 글이 많던데요. 이사비용 대비 별로라구요. 정말 그런가요? 어차피 컨테이너가 가니까 상관 없는 건가요?

2. 가전제품
TV - 현재 29인치짜리 TV를 쓰고 있는데요.(삼성) 4년 뒤 한국으로 돌아오면 TV를 바꿀 예정이라... 만약 자카르타에서 TV를 새로 사는 것이 낫다고 한다면 현재 저희 TV는 누굴 주어버릴려고 해요. 집 정리를 하면서.
세탁기 - 현재 통돌이 쓰고 있구요.
가스렌지 / 오븐 - 현재 디오스 광파오븐 쓰고 있는데요. 제가 요리에 취미가 있어서 오븐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요즘 한국 아파트는 대부분 가스오븐렌지가 빌트인으로 들어가 있잖아요. 자카르타도 그런지, 그렇다면 가스렌지와 오븐은 남을 줘도 되는 건지요? 가져가면 쓸수 있기는 한가요?

3. 아파트 문제
현재 4살 2살 아이가 둘 있는데요. 큰 아이는 회사에서 학비가 지원되는 관계로 외국인 학교와 연계되어있는 유치원(영어를 주로 사용하는)이나 프레스쿨에 넣으려고 하는데요. 미국 국제학교나 영국 국제학교 (유치원 이후 초등학교까지 쭈욱 다니게 할 생각) 근처에 있는 아파트의 시세가 어떤지 (방 3개에 가구 없는 것) 궁금하구요, 비슷한 조건(지역, 건물 등)에서 방 3개짜리 아파트와 4개짜리 아파트의 가격차이가 대충 어느정도 나는지요.

4.유치원 관련된 글들을 검색해서 읽다보니, 외국인 유치원을 보내려면 간단한 영어 의사소통 정도는 되어야 할 거라는데, 저희아이는 현재 영어라곤 ABCD도 전혀 모르거든요. 유치원 입학 시기에 저희 아이는 40개월 정도가 될 것 같은데 간단한 영어는 가르쳐야 할까요? 뭐 hello 정도 가르치는게 뭐가 어렵겠습니까마는 제가 영어 울렁증이 있어서...ㅠ.ㅠ

5. 음식문제.
컨테이너 박스에 라면한두상자 넣어가도 됩니까? 김, 마른 미역, 당면, 고춧가루 등등 마른 식재료(상하지 않는 것/유통기한이 긴 것)는 넣어가도 되는 건지요? 넣어가도 된다면 어느 정도의 양을 한계점으로 잡아야 할지(예를 들어 라면은 세박스 이상은 넣지 말라든가... 하는) 구체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적도를 넘어서 가는 거라 장류는 넣으면 상할 거라고 해서,
고추장 된장 간장 액젓류랑 김치 정도는 핸드캐리 하려고 하는데요. 혹시 반입 금지 물품이 있나요?

6. 병원 문제
둘째 아이 돌 지나고 얼마 안되어 들어가는 거라, 예방접종이 다 끝나지 않을 것 같은데,
자카르타에 있는 한국 소아과에서 한국에서 하는 예방접종은 다 하나요? 최근 새로 나온 것들(폐구균이나 로타텍등)도요? 가격은 얼마나 되는지. 보험 적용이 안된다니 병원비 걱정이 큽니다.

7. 상비약 / 예방접종
남편이 먼저 들어가는 거라 상비약을 좀 챙겨서 보내려고 하는데요.
타이레놀 정도는 거기에도 흔하게 팔겠지요?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면 한국에서 좀 넉넉히 사서 짐(핸드캐리)에 넣어보낼 생각인데요.
제가 생각하는 건 진통제(타이레놀) 소화제(훼스탈) 지사제(정로환-이건 거기 안팔겠죠? ㅎ) 마데카솔 정도거든요. 미리 사갈 필요 없다면 ^^;;;
그리고 약간 오지 밀림쪽으로 갈 일이 있을 것 같은데
(밀림이 있긴 한가요? 하여튼, 도시가 아닌 오지) 미리 예방접종 하고 가야 하는 건 뭐가 있나요?
그리고, 이런 것에 관한 안내는 회사에서도 해 주겠죠?

8. 피아노
아이가 9살 정도에 귀국을 하는 건데, 6살 정도가 되면 피아노를 가르치고 싶거든요. 거기서도 당연히 피아노 렛슨을 받을 수 있을 거라는 건 알겠는데, 피아노를 한국에서 사서 가지고 나가는 게 나을 까요, 아니면 현지에서 사는 게? 아니면 사지 말고 그냥 학원만?



제가 이런 일이 있으면 걱정이 앞서는 타입이라 요즘 잠이 다 안옵니다.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seawolf님의 댓글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장롱: 막써도 되는 거면 가져와도 됨..근뒤 좋은거면..비추. 장농이란게 옮기면 꼭 조금씩 긁히고 상하는 물건이라서리..ㅋㅋ

2. TV: 32인치 LCD도 가격 내려서 얼마안함.
  주고 오는게 나을듯. 29인치는 한화 새걸로 10만 -20만원사이에서 구매가능
3. 아파트는 덥썩 오자마자 계약 말고, 주위의 한국인과 현지인 부동산 다 물어본다음 구매 혹은 계약하시길..
4. 유치원은 와서 여기저기상담 받압고 결정..영어/한국 유치원다수
5. 음식은 넣어오는것 비추
6. 현재까지 뭐 예방접종받았는지 뭐 더 받아야하는지 기록 꼭 들고오시면 여기서도 가능
    유명한 제약사들 다 들어와있어서리..ㅋㅋ
7. 굳이 가져온다면..정로환정도?
    오지근무면..신경쓰이는 댕기열 말라리아가 예방백신이 없는 걸로 아는뒤..(확신없음==;)
    그 2가지 아니면 나머지는 복걸복이라서리..ㅋㅋ, 위 2가지는 대책세울수있음 대책 세우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
8. 피아노는 개인 레슨 혹은 여기도 가르치는 학원은 좀 있는 듯 합니다만..
    원하는 수준 및 가격이 문제일듯..ㅋㅋ

제우스2님의 댓글

제우스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장롱-혼수로 마련한 12자짜리 장롱이 있는데, 글 읽다보니 가져 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하는 글이 많던데요. 이사비용 대비 별로라구요. 정말 그런가요? 어차피 컨테이너가 가니까 상관 없는 건가요?

가져오는것 상관없으나 습기에 약하면 웬만하면 가져 오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가실때 바리바리 싸가실거면 가져오세요.. 여기 제대로 된 장롱을 갖추기 만만치 않습니다.

2. 가전제품
TV - 현재 29인치짜리 TV를 쓰고 있는데요.(삼성) 4년 뒤 한국으로 돌아오면 TV를 바꿀 예정이라... 만약 자카르타에서 TV를 새로 사는 것이 낫다고 한다면 현재 저희 TV는 누굴 주어버릴려고 해요. 집 정리를 하면서.
세탁기 - 현재 통돌이 쓰고 있구요.
가스렌지 / 오븐 - 현재 디오스 광파오븐 쓰고 있는데요. 제가 요리에 취미가 있어서 오븐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요즘 한국 아파트는 대부분 가스오븐렌지가 빌트인으로 들어가 있잖아요. 자카르타도 그런지, 그렇다면 가스렌지와 오븐은 남을 줘도 되는 건지요? 가져가면 쓸수 있기는 한가요?

tv는 남주시면 되고요. 여기랑 안맞습니다. 방식이..
오븐은 가져오시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사는것이 좋습니다.
저도 6년전에 가져왔는데 한번고장나니 서비스도 안돼고 그냥 방치상태로 4년입니다.


3. 아파트 문제
현재 4살 2살 아이가 둘 있는데요. 큰 아이는 회사에서 학비가 지원되는 관계로 외국인 학교와 연계되어있는 유치원(영어를 주로 사용하는)이나 프레스쿨에 넣으려고 하는데요. 미국 국제학교나 영국 국제학교 (유치원 이후 초등학교까지 쭈욱 다니게 할 생각) 근처에 있는 아파트의 시세가 어떤지 (방 3개에 가구 없는 것) 궁금하구요, 비슷한 조건(지역, 건물 등)에서 방 3개짜리 아파트와 4개짜리 아파트의 가격차이가 대충 어느정도 나는지요.

==>잘 몰릅니다. 죄송~~

4.유치원 관련된 글들을 검색해서 읽다보니, 외국인 유치원을 보내려면 간단한 영어 의사소통 정도는 되어야 할 거라는데, 저희아이는 현재 영어라곤 ABCD도 전혀 모르거든요. 유치원 입학 시기에 저희 아이는 40개월 정도가 될 것 같은데 간단한 영어는 가르쳐야 할까요? 뭐 hello 정도 가르치는게 뭐가 어렵겠습니까마는 제가 영어 울렁증이 있어서...ㅠ.ㅠ

==>전 한국 유치원 보냅니다. 영어유치원 보내거나 현지유치원 보내면 한국말이 서툴어지네요..

5. 음식문제.
컨테이너 박스에 라면한두상자 넣어가도 됩니까? 김, 마른 미역, 당면, 고춧가루 등등 마른 식재료(상하지 않는 것/유통기한이 긴 것)는 넣어가도 되는 건지요? 넣어가도 된다면 어느 정도의 양을 한계점으로 잡아야 할지(예를 들어 라면은 세박스 이상은 넣지 말라든가... 하는) 구체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적도를 넘어서 가는 거라 장류는 넣으면 상할 거라고 해서,
고추장 된장 간장 액젓류랑 김치 정도는 핸드캐리 하려고 하는데요. 혹시 반입 금지 물품이 있나요?

요즘 콘테이너 단속이 심해서 넣으면 안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장류 예전에 가져왔는데 단속만 피한다면 가능합니다. 김치등등 핸드캐리어 걸립니다. 적당히 돈을 주어 빼야 합니다.


6. 병원 문제
둘째 아이 돌 지나고 얼마 안되어 들어가는 거라, 예방접종이 다 끝나지 않을 것 같은데,
자카르타에 있는 한국 소아과에서 한국에서 하는 예방접종은 다 하나요? 최근 새로 나온 것들(폐구균이나 로타텍등)도요? 가격은 얼마나 되는지. 보험 적용이 안된다니 병원비 걱정이 큽니다.

다합니다. 비싸서 그렇지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7. 상비약 / 예방접종
남편이 먼저 들어가는 거라 상비약을 좀 챙겨서 보내려고 하는데요.
타이레놀 정도는 거기에도 흔하게 팔겠지요?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면 한국에서 좀 넉넉히 사서 짐(핸드캐리)에 넣어보낼 생각인데요.
제가 생각하는 건 진통제(타이레놀) 소화제(훼스탈) 지사제(정로환-이건 거기 안팔겠죠? ㅎ) 마데카솔 정도거든요. 미리 사갈 필요 없다면 ^^;;;
그리고 약간 오지 밀림쪽으로 갈 일이 있을 것 같은데
(밀림이 있긴 한가요? 하여튼, 도시가 아닌 오지) 미리 예방접종 하고 가야 하는 건 뭐가 있나요?
그리고, 이런 것에 관한 안내는 회사에서도 해 주겠죠?

약값은 일단 한국보다 한국약은 비싸고 구하기 만만치 않습니다. 오실때 가져오시면 좋습니다.
하지만 감기약 같은것은 이곳에서 먹어야 잘 안통합니다.
적당히 진통제/ 소염제/ 파스/청심환 등등 가정 상비약 정도만 구비하시면 됩니다.

8. 피아노
아이가 9살 정도에 귀국을 하는 건데, 6살 정도가 되면 피아노를 가르치고 싶거든요. 거기서도 당연히 피아노 렛슨을 받을 수 있을 거라는 건 알겠는데, 피아노를 한국에서 사서 가지고 나가는 게 나을 까요, 아니면 현지에서 사는 게? 아니면 사지 말고 그냥 학원만?

피아노 여기서 사셔도 되고 가져오셔도 됩니다. 전 가져와서 잘 쓰고 있습니다.
단지 배울만한곳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유념하시길~~


(출처 : '인도네시아 사랑' - :::인도웹::: http://www.indoweb.org)

청년바구스님의 댓글

청년바구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가 아는 한가지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TV는 한국과 방식이 다른 PAL방식이라 가져가셔도 공중파는 보실 수 없습니다.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312건 67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4 JKT 성요셉 성당 근처 Koridor 번호 및 Halte 명 아시는 분 댓글5 첨부파일 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16 11154
463 인도네시아에 폴로 랄프로렌 매장이?? 댓글6 Standardh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05 24603
462 rayab(나무벌레) 퇴치방법 좀 갈켜주세요.... 댓글5 치질과변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9 23090
461 VISA관련 추가 문의 사항입니다. 댓글3 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31 11928
460 코트라 댓글3 두리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17 9591
459 운전면허증 취득방법 sim이라고 하나요.. 댓글5 오리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6 10844
458 한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이사랑 애견.. 댓글7 잡초i1987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05 12471
457 인니 인터넷 쇼핑몰 & 모바일 인터넷 댓글6 치즈케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20 8059
456 인니에서 사기를 당했을 경우 ... 댓글5 바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04 11972
455 인도네시아 음식 중 한국 사람입에 맞는 음식은?? 댓글10 흰눈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5 10560
454 [질문] 골든 랍스타 라는 식당 위치 문의 댓글1 바람따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07 11192
453 찌까랑에 대해 가르쳐주세요 (^^) 댓글6 공못치는4번타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18 14274
452 이삿짐 세금에 대해 알고 싶어요. 댓글3 인생한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17 8783
451 2008년 러바란, 뿌아사, 건기/우기 댓글5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1 10292
450 소유부동산(Apt)의 재산세(토지분,건물분)납입기간 좀 알려주세요? 댓글1 coc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19 10022
449 인니어로 사업자 등록증이 먼가요? 댓글7 비르빈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02 14342
448 네비게이션 댓글3 부울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17 11572
447 수라바야에서 인니어 배울 수 있는 곳? 으아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11 8925
446 땅거랑쪽에 중고물품 일괄 구매하시는분 안계시나요? 댓글2 스윗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23 9113
445 여러분의 사업장에서는 어떻게 계획하고 계신지요~ 댓글4 열공모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30 6564
444 르바란 기간에 대해서 댓글2 iza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14 12365
443 인니 체류 기간 문의 댓글5 크리스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01 7924
442 달러 한국 송금시... 댓글3 이뿐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14 11726
441 출국시 소지가능금액? 댓글3 좌우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23 12863
440 체류하기위한 서류 powermat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06 7330
439 케세이퍼시픽 자카르타 사무실 아는분?? 댓글2 팬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27 10326
438 해외에서 자카르타로 DHL 같은걸 이용해서 전자제품을 보낼때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11 8390
437 중고차 시세 궁금해여... 땡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28 754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