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르바란때 헬퍼 보너스는 얼마?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294)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르바란때 헬퍼 보너스는 얼마?

페이지 정보

작성자 eilee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7-29 12:07 조회7,535회 댓글11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20535

본문

인도네시아에 온지 얼마 안돼어서요
저희집 헬퍼가 아직 한달이 안됐습니다.
르바란 휴가때 보너스를 줘야한다고 들었는데요~
보통 얼마나 주면 될까요?
몇%??  매우 궁금..참 기사도 담주정도부터 출근하는데..
기사도 얼마?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seawolf님의 댓글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대충 봐서..
다른데 가도..이만한데 구하기 힘들다 생각하면..
르바란 지나도 다시 돌아옵니다.

그냥 옮겨도 그만 안옮겨도 그만이라고 평소생각하고 있으면..
간김에..푹 쉬다가 와서 다른자리 찾지요..ㅋㅋ

가사도우미랑..보모는 정말..
각자 단점과 장점이 극명하게 눈에 보입니다. ㅋㅋ
보통 단점은 크게 문제가 안되고 장점은 필요한 가정에서..
안주인과 궁합 잘 맞춰서 장기 근속하는게 젤 나은듯..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봐서 좀 쓸만한 도우미들은..
뭐 필요하거나 힘든것 있음 말하라고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뭐 필요하다고 하는 경우는 참 드물고..
요청해도 상황이나 비용상 들어줄 만한것들이구요.
일단 이 이야기 하는 것만해도 서로간의 긴장이 많이
풀리는듯..
아프다고 그러면 신경좀 쓰고 이때는 비용 너무 따지면 안됩니다.

민가이님의 댓글

민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식당에서 5천룹 놓고 나오는것은 저도 좀 그렇습니다
서비스 차지 포함 되어 있으니 차라리 주지 않는게 좋을꺼 같구요

좋은 서비스를 받았다고 생각하시면 5천룹 1만룹 보다는 2만룹정도 놓고 나오심이 좋을듯

자스민차님의 댓글

자스민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사람을 쓰는 사람들마다 다르고, 자카르타나 다른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마다 사는 방식이 다 다르겠죠.
저의 경우 족자에 살다보니 주변 가정들과 맞추어서 월급을 책정하고, 보너스나 기타 등등 일한 기간등을 고려하여 서로가 비슷한 수준에 맞춰 주더라구요.
(족자는 한인들이 얼마 안되기 때문에 소위 밥숫가락이 몇개 있는지도 안다고 하잖아요. 그런지라 도우미들 문제 역시도 민감한 부분에 하나입니다)
보통 도우미들이 집에 다녀온다고 하면 차비 정도는 손에 쥐어줍니다. 줘놓고 아까워 할 일도 아니구요.

질문을 하시는 분 가정의 경우에는 아직 한달도 안된 도우미들입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일한 기간에 대해서 적당선 안에서 해결하는 것이 앞으로도 사람을 쓸 때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르바란 기간에 보너스 주죠, 차비 주죠. 선물도 사다 주죠...다 그렇게들 합니다.
하지만 주변 가정들과도 비슷한 수준에 맞춰주는 것도 생각해 봐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짜게 주라는 게 아니에요.
기간이 얼마 안되었다면 차비 쥐어주고, 선물세트 정도는 미리 사서 갈 때 가져가도록 배려해 주면 서로 좋을 것입니다. 어렵게 사는 사람들 남의 집에 와서 일해주는데 고맙죠. 더 주고 싶은 마음 다들 같으리라 봅니다.

르바란 때 차비 문제는 도우미가 어디까지 다녀오느냐에 따라 그 금액의 정도가 달라지겠군요...
교통비 문제는 교통비 전액을 다 주든 주지 않든 그것 역시도 고용한 사람의 몫입니다.

아무쪼록 르바란 전에 미리 데려다 놓고 잘 이야기 해서 오래 데리고 있었으면 좋겠네요.

kakarooky님의 댓글

kakarook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뭐..식당 팁 문화는 전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현지 식당이라면 모를까..한국식당에서는 식사 가격에 이미 service charge 가 다 포함되어서 나옵니다. 사실 굳이 팁을 줄 필요도 없는거죠...
(거기다가 팁을 주는걸 뭐라 할 수 없지만, 안 두고 간다고 뭐라 할 수도 없는겁니다.)
전 보통 5천루피 에서 보통 1만 루피까지 두고 갑니다.

엔젤님의 댓글

엔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는 생각이 조금 달라요.

자카르타에 사시는 팁에 짠 뇨냐들 보면 기분이 좀 언짢을 때가 많아요
식당에 대 여섯명이 우르르 몰려가 계속 반찬 시켜먹고 나올 땐 팁 딸랑 5천원

여기만큼 팁의 위력이 크고 금방 나타나는 곳도 없을 거예요

도우미 보너스도 마찬가지로,
물론 많이 준다고 확실히 돌아온다거나 일을 잘 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생각해 보세요
개네들 르바란 때 차비가 얼마나 비싼 지 아세요?
그리고 일년만에 고향가는 데 식구들 한테 조그만 선물이라도  하나 장만해서 가야되지 않나요

여기 애들도 이런 애있고 저런 애 있답니다

그래도 이 시기 에는 되도록 감정 자극하지 말고 잘 해 주세요

자스민차님의 댓글

자스민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일한 기간과는 상관 없이 보통 르바란 기간에 맞춰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르바란 이후에 새로운 사람 구하는 것도 다른  때보다는 수월하기도 합니다.

eileen님의 댓글

eilee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런~ 8달이나 일했는데 배신이라니 ..... 
근데 그런 경우가 많은가봐요~ 
암튼 정말 필요한 답변 감사합니다
님하도 행복하세요^^

자스민차님의 댓글

자스민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직 한달도 안된 상황이라 데려다 놓고 이야기 하면 차비정도만 줘도 됩니다. 괜히 선심썼는데, 갔다가 안오는 아이들 파다합니다.

저의 경우를 말씀 드리지만, 8달정도 일한 아이들인데 처음 올 때는 별거 없던 아이들이, 르바란이라고 집에 다녀온다 해서 보너스 주고 보내는데, 박스를 몇개 가져가더라구요. 몰랐어요.

그런데 나중에 올 때가 지나도 오지 않길래 연락했더니 전화도 다 끊어버렸습니다.
아차 싶어 집에 뭐 물건 없어진건 없는지 살피는데, 세상에...제 런닝셔츠(한국상품 새것) 몇개와 양말(새것) 제 아내 수영복, 그리고 기념품으로 받아두었던 벽시계를 비롯해서 새로 사놓은 건전지 등 크고 작은 물건들을 가져갔더라구요.(그 박스에 넣어서 말이죠...)

결국에는 오지 않았지만, 잘 해준다고 해줘도 갈 사람은 가나봅니다.

그 이후로 집에 다녀온다고 하는 아이들에게는 데려다 놓고 자기 손으로 자기 가방을 열어보라고 하고 보냅니다.
좀 잔인하고 비 인격적인 행동같지만 어쩔 수 없더라구요.

주제에서 좀 어긋난 이야기입니다만, 한달 밖에 안된 가사도우미와 기사에게 큰 선심은 쓰지 않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최소 1년 안된 아이들에게는 개월수에 따라 70%~80%까지 주기도 합니다. 가정들 마다 다르겠지만요.

그리고 갈 때 데려다 놓고, 돌아올것인지도 확인 하십시오. 앞에서는 온다고 하지만, 안오는 아이들 많아요.

행복한 시간 보내시길...^^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316건 5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04 우이 대학에 대한 정보를 부탁합니다. 댓글4 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14 8121
2203 한국말 되는 핸드폰 구입하고 싶어요. 댓글5 Jade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19 7440
2202 자카르타에서 가구 싸게 살수있는곳이 어딘가요? 댓글6 루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2 10546
2201 유니폼 제작 댓글5 똘똘이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16 6322
2200 전자민원발급... 댓글2 뿌하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6 8193
2199 아파트 임대 - 관리비는 누가 내나요? 댓글4 dec2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2 6792
2198 비자 비자를 새로받는지 궁금합니다. 댓글4 기분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0 6243
2197 Paintball Gun Fighting Survival Game. 댓글24 sgtbae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04 9560
2196 우린 인니을 어떻게 보야하나요? 댓글6 치토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25 10844
2195 IPEKA 학교 댓글2 노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11 7991
2194 [질문] 인도네시아에서 국산차의 적정 엔진 오일 교환주기는? 댓글2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10 9997
2193 혼인신고 댓글9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25 13029
2192 인도네시아 생활 질문 댓글2 아카라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27 9257
2191 ps2 구입 문의 댓글4 오랑인도네시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9 12139
2190 여행 여행 정보 문의(꼭 가야할 인니 명소...찾는 중..^^) 댓글3 교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6 10909
2189 무선인터넷 신청및 설치는어떻게하나요? 댓글3 스윗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8 17240
2188 구두 추천~ 댓글5 버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22 10875
2187 카운터 스트라이크가 인도네시아에서 되나요?? 댓글4 울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5 9284
2186 Cempakah Mas아파트에서 싸고 쓸만한 인터넷 접속없나여? 댓글7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10 11281
2185 자카르타 저렴하고 깨끗한 호텔 추천좀 댓글9 창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28 12620
2184 생활/문화 현지인 결혼식 선물이나 축의금? 댓글1 후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22 13280
2183 KTV 자카르타에서만 볼수있나요? 댓글1 그냥좋은사람09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09 12382
2182 현지인 한국출장~~ 댓글5 무사의노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01 8453
2181 한국에서 로밍 가능한 인니통신공급자 댓글5 kurniaw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22 8435
2180 도와주세요 댓글6 한무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3 7313
2179 헬스 보충제 관련 질문입니다^^ 댓글2 hanz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31 8282
2178 인니 유모차 문의드려요~~~ 댓글2 라티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09 7312
2177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댓글4 아락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7 7510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