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자카르타에 매번 홍수가 나는이유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75)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자카르타에 매번 홍수가 나는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8-12-12 08:28 조회11,956회 댓글1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4669

본문

를 알고 싶습니다.

하수시설이 미비해서 그런지 바닷물이 역류해서 그런지

어떤이유로 매번1~2월달에 홍수가 나는지 알고계시는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싶습니다.

점점 침수지역이 넓어져간다는데, 그리고 자카르타 어느지역은 매번 바닷물이 몰려오는 시간때가 되면 하수구로 해서 물이 밀려서 항상 도로가상이 물에 잠겨있더군요.

궁금증을 해결해주세요.

수고들하세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운제님의 댓글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런점들 저만 궁금한줄 알았는데

이런이야기들을 잘모아놓으면 좋은 정보가 될거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정보공유 감사합니다.

한겨울님의 댓글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하수시설이 전무는 아닙니다. 
있긴 있는데요..  건기때의 쓰레기,진흙등등이 쌓여있어서요,, 제기능을 못합니다.
우기 전에 시에서 하수로를 청소(퍼냅니다)하곤 하는데,, 용량이 딸려서요,,

그리고 버스웨이를 만들면서  기존 하수로들 막아놓는 경우도 많고요. 

조금만 폭우가 내리면 도로에 금방 물이 고이지요.
그러면 오토바이들이 못지나 가면서 옆차선으로 들어오니까,, 결국 차선이 복잡,,, Macet이 됩니다.

...

데미그라스님의 댓글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여러요인이 있겠지만...가장 큰 건 이거 아닐까요?
차타고 가다 도로 한번 보세요...하수 시설 전무입니다...ㅋ
도대체 물이 어디로 빠지라는 건지..
한국의 도로 길가에 당연히 있었던 하수구가 여긴 없습디다..ㅋ
그러니 한시간만 퍼부어도 banjir라고 난리지요...
어이없는 나라입니다...

운제님의 댓글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전 인도네시아말을 전혀 못하는데 한겨울님은 네이티브스피커 수준이신가봐요 어디서 이런자료들을
찾으시는지, 능력에 한계를 느끼네요. 전시회까지 소개시켜주셨는데 아쉽게도 19일날에 도착이라 전시회는 못갈거 같습니다. 물에 대한 관심보다는 인구2천만이 넘는 자카르타에 매번 똑같은 재난이 일어나는데 의구심이 들어 이렇게 회원분들의 지식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좀더 물을 잘 다스렸스면 하는 아쉬움입니다.

한겨울님의 댓글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너무 전문적인 질문이라...  자카르타 수돗물의 질은 평가가 좋지를 않습니다.
가끔 오염 문제도 제기되기도 하더군요.

취수지역이...
Jati Luhur Purwakarta, Jawa Barat. Kali Ciliwung, mata air Ciburial, Kali Krukut,
Kali Pesanggrahan, Kali Sunter, Kanal Tarum Barat atau Kali Banjir Kanal Barat등등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주로 상류지역이네요..

혹시 물에 관심이 있어서 그러신다면...  마침 관련 전시회가 있네요..

 JCC Assembly Hall,  12/17 - 12/19
 
Nusantara Water 2008  -  Water & Waste Water Conference & Exhibitiion
..

운제님의 댓글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회원분들의 명료하고 정확한 이야기를 들으니 자연재해라기 보다는 인프라 부족과 관리부실로 인한 홍수(자카르타지역)인거 같은데, 앞으로 인프라를 구축하면 매년일어나는 자카르타 홍수가 사라질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그리고 약간 질문이 연관성은 없지만 자카르타 시내에 흐르는 개천이나 길옆 도랑(오픈하수구)에 흐르는 물들은 아무여과 없이 바다로 흘러가는지 아니면 혹시 이물들이 수돗물로 사용되는 일은 없겠죠?

chandra님의 댓글

chandr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가 너무 자카르타에 치중을 했나 보니다..
한 겨울님의 칭찬에 감사드립니다. 전 한겨울님의 많은 글을 보면서 인도네시아 생활에
많은 참조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 연말 잘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한겨울님의 댓글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의 장황한 글보다 chandra님의 원인 설명이 명쾌합니다.

홍수가 자카르타만의 문제는 아니고,, 계속 여기저기서 물난리네요..
지난  주말에는 수라바야,말랑에 비가 계속 내려 홍수가 났네요.

기차길도 물에 잠겨  승객들을 중간에서 버스로 이송,,,

chandra님의 댓글

chandr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위 글 잘 보았습니다.
조금더 추가해보겠습니다.
자카르타 대홍수는 대략 5년 주기로 발생을 하는거 같습니다. 2002년, 2007년 그리하여 몇몇 상습 침수지역을 빼고는 당분간 큰 피해는 없을꺼라 생각하고 바랍니다.
제가 업무를 하면서, 문의 하면서 수집한 몇가지 홍수 및 침수 요인을 열거해 보겠습니다.
1. 자카르타 남동쪽지역 보고르, 뿐짝, 데폭등의 강수 및 빗물은 대부분 망가라이 수문, .. 통하여
    자카르타 시내 중심을 지나 북부 자카르타 해안으로 배수되고 있습니다. 즉 Banjir Kiriman이라고
    하지요.
2. 인도네시아인들의 음식 문화에서도 찿아 볼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음식은 포장지(검은 비닐봉지
    +비닐 종이?), 외식 문화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들이 그나마 있는 배수구 및 하천의 흐름 및 배수에
    방해 요인이 되어 홍수 피해를 부추깁니다.
3. 인도네시아인 배수 시스템입니다. 오수와 상수를 분리 배출이 아니라, 한 배수구로 모두 배출 되다
    보니 관리 부재
4. 육지보다 높은 해수면, 북부 특히 안쫄, 까뿍, 쯩까렝, 무아라 바루등 지역에 있는 수문들은 보통
    30cm-150cm의 해수면 차이를 보입니다. 거기에 음력 보름이 되어 즉 밀물이 되면 그 차이는 더
    커지죠.
5. 자카르타들 특히 남동쪽 시민들이 지하수를 많이 이용한다는 , 또 동지역 높은 빌딩이 많이
    생기면서 연약한, 뻘? 같은 자카르타 지대가 세월이 가면서 조금씩 침몰이 되면서 홍수 피해를
    더 키웁니다.
6. 배후 습지 즉 reservoir가 큰손들에 의해 많이 사라졌고, 또한 펌프의 잦은 고장으로 제 기능을 못한
    다고 합니다.

더 많은 홍수 피해 요인이 있겠지만, 반대로 정부에서도 나름?? 홍수 대책 계획을 세웠고 세우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KT(Banjir Kanal Timur), BKB(Banjir Kanal Barat), 자카르타 13개 하천 및 배수로 정비 계획(준설 작업-내년 부터 주정부 PU예산 200M)이 책정 되어 졌다고 하네요, 공익 광고(분리수거, 쓰레기 버리지 말기 등등).
참고로 BKT 토지 배상으로 자카르타 주정부 공공사업국 예산이 약 800M이 책정되고 있다고 하네요.

여러 고수님들 보시고 수정 및 추가 부탁드립니다.
연말 모두 컨디션 조절 잘하시여, 새해를 잘 맞이 하시길 바랍니다. 꾸벅~~

한겨울님의 댓글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말레이시아의 모노레일을 표본으로 하여 모노레일 공사를 한다고 부산을 떤 적이 있읍니다.
(수띠요소 시장 시절에요)
기둥만 만들고 중지상태입니다.  자본이 부족하다나요..

그래서 거리의 흉물로 방치되고 있는데요, 광고선전물 부착 장소로 활용되고 있읍니다.
그걸 시에서는 돈들여서 청소하고요..ㅎㅎ

운제님의 댓글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오오  씨울프님의 답변도 감사하고 한겨울님의 링크도 감사합니다.  정확한 답인데요...

자카르타에도 태국처럼 스카이트레인 질려다가만  기둥만 도로중간에 있는거 보이던데 왜 멈춘지는 현지 친구들도 모르더군요.  아 가끔 자카르타 가는 저는 홍수가 애들맘처럼 신기하지만 앞으로 거주할생각에 홍수없는 좋은 자카르타가 되기를 바랍니다.

seawolf님의 댓글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culture/125
오 한겨울님이 여기에 자세히 적어놓으셨네여..ㅋㅋ
이정도 내용이면..자랑해도 됩니다..ㅋㅋ

한겨울님의 댓글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 글 자랑하는 은 아니구요 ㅎㅎ

"문화/관습/삶이야기"항목에 자카르타 홍수 야그가 있읍니다.
조금은 참조가 되실꺼라 생각됩니다.

seawolf님의 댓글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기본적으로 자카르타는 제대로된 한국 개념의 하수 시설이 없음, 그나마있는도..
    대부분 식민시절 많음..노후화됨
2. 배후 습지로 이용되던 곳이..용도 변경으로 상당부분이 쇼핑몰이나 아파트로 변함
    따라서 비가 많이 오거나 그럴 경우 물이 빠져 나갈곳 혹은 흡수할만한 곳이 많이 줄음
3. 강과 기본 치수에 투자할 재정이 부족, 공사 하기는 합니다만..강의 지류를 바꾸고 등
4. 기본적으로 해수면 대비 높지않음
5. 1-2월이면 한참 우기의 절정기임..

그나마..토양이 물이 잘빠지는 토양이라서..이정도에 그치는 임..
이정도 환경으로 한국같음 1년내내 물난리일듯..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199건 5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87 인터넷 넷잡에관해 질문입니다 댓글2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2 9823
2086 택배회사 댓글2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9 7351
2085 치과)치과 치료를 받고 싶습니다. 댓글9 태마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6 8358
2084 컴퓨터 고수님 도와주세요~^^ 댓글8 파프리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03 9268
2083 ipad구입을 하려고하는데요.. 댓글13 아이언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5 10654
2082 라탄 바구니 및 철재가공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댓글8 dhgog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13 8570
2081 소형 소화기 또는 중형 소화기 구매처 (중고무관) 댓글3 리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8379
2080 자카르타에 방 하나만 렌트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_-;;? 댓글1 FW달빛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3 6923
2079 생활/문화 이제 4일뒤면 출국합니다.. 댓글10 seho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8 9537
2078 비즈니스 인니의 pc방 이용요금이 어떻게 되나요? 댓글4 lomb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8 7854
2077 인니 전화번호(퍼온글) 댓글9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22 18700
2076 republik 노래좀 구하고싶어요 댓글2 태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31 11479
2075 빅마마 4집 - 끝이라는 말 댓글4 첨부파일 새종대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08 6015
2074 중국 멜라민 사태 관련 인도네시아 식약청 금지 상품 목록 댓글6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27 7152
2073 인공눈이라도 감상하시져.. 댓글3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1 8553
2072 자카르타에서 가구 싸게 살수있는곳이 어딘가요? 댓글6 루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2 10527
2071 르바란때 한국 안 가면? 댓글6 삐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14 8274
2070 르바란때 헬퍼 보너스는 얼마? 댓글11 eilee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9 7511
2069 반둥과 서라망 생활 정보 알고 싶습니다. 댓글3 neoh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29 8435
2068 인니국적에대해.... 댓글7 드니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9 10909
2067 7일 유효 비자 폐지 - SKY TOUR. 댓글4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26 7672
2066 UI BIPA 코스 나이제한 댓글3 USB120G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06 6480
2065 생활/문화 인도네시아인과 근무할 때 주의사항이 있을까요? 댓글3 EDE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7 7364
2064 인력수출 댓글1 mejaco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10 8762
2063 은행 ㅎㅎ 현지통장 어디 은행에 가서 만들어야 할까요? ㅎ 댓글6 chri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17 11310
2062 발리 자주 가보신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7 Jir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24 13263
2061 구매 랜트 가격이 궁금해요 댓글2 ghddntj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19 10106
2060 인도네시아 사이트 댓글5 버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24 2094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