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지진발생시 안전수칙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744)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지진발생시 안전수칙

페이지 정보

작성자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9-04 08:06 조회5,799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20737

본문

그저께 강한 지진을 느끼면서, 순간적으로 당황해서 어찌할지 몰랐었습니다.

항상 지진의 위험을 가지고 여기서 사는한 지진발생시 안전수칙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문득 들더군요..
현지인들 우르르 건물밖으로 몰려나가길래 따라나가긴 했는데, 나가는 내내..한꺼번에 많은 인파가 움직이니까..그게 더 무섭더군요..

인터넷에서 찾아본 지진 안전 수칙입니다.. 회원님들도 한번 읽어보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지진 안전수칙 7계명

① 책상·침대 밑으로 대피
② 방석 등으로 머리 보호를
③ 불끄고 가스밸브 잠가야
④ 창문·발코니서 떨어져야
⑤ 엘리베이터 이용은 금물
⑥ 유리·간판 낙하물 조심
⑦ 산악지역선 평지로 이동

출처 : 문화일보 2007-01-22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B4%EB%C1%F6%C1%F83_nemablog.jpg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B4%EB%C1%F6%C1%F84_nemablog.jpg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B4%EB%C1%F6%C1%F85_nemablog.jpg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 기상청 홈페이지(www.kma.go.kr)를 검색하거나 방송을 청취하여 지진 상황을 주의 깊게 파악합시다.

 

 

 

지진 상황 묘사 보다도 배우들의 표정연기가 정말로 일품이네요.
지진이 실제로 발생한다면 우리 모두의 표정도 저렇게 절망적으로 변하겠죠?
위급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하는 자세를 갖춘다면
절망 속에서 한 줄기의 빛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signature_nemablog.gif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출처] 영화로 보는 안전상식 : <대지진>을 통해 알아보는 지진 안전수칙|작성자 네마

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출처] 영화로 보는 안전상식 : <대지진>을 통해 알아보는 지진 안전수칙|작성자 네마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공간이동님의 댓글

공간이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상기 정보에 따르면 건물안 튼튼하고 견고한 책상 아래쪽에 있는 것이 더 안전해 보이는데,
현재까지 살면서 지진이 나면 전부 회사 또는 공장 건물 밖 또는 아파트 밖으로 피했는데,
앞으로는 회사 건물이나 아파트 내부에 있어야 하는 것인지 좀 혼동이 됩니다.

아파트 고층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인니에서는 어떻게 지진시 어떻게 대비하는 것이
좋을까요? 몇 년전에 밤 12시 전에 지진이 나서 전부 아래 내려왔는데,
거의 모두 아파트 근처 20M 반경에 몰려 있더군요. 건물이 무너지는 강진이었다면,
건물 밖으로 탈출한 의미가 없을 뻔 했습니다.

찐따천사님의 댓글

찐따천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좋은글 감사 드립니다. 벌써 2번째지만 안전 수칙 보다는 우선 뛰쳐 나가고 보자...이생각이 먼저 들더라구요...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312건 2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84 야자수 껍질로 만든 조경자재? 부장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2 10065
2283 도와주셔용~ 댓글11 isabellll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1 13042
2282 [도와주세요] 자카르타 항공권 질문입니다~ 댓글6 Amoti3007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1 11457
2281 남아공 월드컵 토너먼트 대진표 댓글1 첨부파일 아이언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6 8501
2280 반둥에 소매업 가계를 open.....? 댓글4 sigjo112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3 10820
2279 직원 해고에 관한 물음 댓글3 올인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4 9233
2278 중년층 여성이 좋아할만한 인기있는 한류 드라마나 영화 뭐가 있을까요? 댓글3 Alis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1 7578
2277 폰독인다와 끌라빠가딩에 있는 SIS 차이점 댓글5 똘똘이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01 8360
2276 서울에 있는 동안 묵을 댓글3 Zez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07 12992
2275 답변글 도와주세요~~~한국에서 자카르타로 가는 편도티켓과 자카르타에서 제3국으로가는 편도티켓? 댓글2 handym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18 9892
2274 차량 구입때문에요... 댓글9 현하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9 8922
2273 저 잠깐 도와주실 분 찾습니다. (자카르타, 꼬스 관련^^;;) 댓글2 FW달빛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05 7369
2272 비자관련해서 여쭙습니다. 댓글4 다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3 8670
2271 불루베리 농장에대한 정보를 찾습니다. 댓글2 보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2 8694
2270 책 구매 댓글1 보짜에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01 6627
2269 한국 인니 문화교류 주간행사 관련 표 구매처는? 댓글2 뿌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1 6609
2268 생활/문화 이제 4일뒤면 출국합니다.. 댓글10 seho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8 9584
2267 교육 인니의 교육 댓글2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22 12525
2266 인도네시아 새화폐 댓글1 요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28 7634
2265 팀자칼타 동호회에서 각종 사진 촬영 합니다 댓글8 첨부파일 민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28 7261
2264 친환경, 대체에너지 관련 1 첨부파일 denn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11 6524
2263 렌트카 & 중고차 구입 문의 댓글1 helme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17 9332
2262 골프장문의도 드립니다...^^ 댓글2 jakartagu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6 6861
2261 실전 Excel교재 - 우노 사이트것 [기초 전강의포함] 댓글8 첨부파일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02 9488
2260 거래종료 댓글2 첨부파일 자트로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23 6815
2259 Kelapa Gading의 Glodok Electronic - 전부 다 있음...ㅋㅋ 댓글1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22 7477
2258 답변글 ==사발면 끓여 먹끼=>아주~맛나욤^^ 댓글1 열공모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15 7228
2257 第2回日韓交流会のおしらせ(제2회 한일교류회) 댓글2 이이치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9 638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