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이주 관련 질문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92)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이주 관련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씨마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3-04 12:01 조회9,152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5393

본문

안녕하세요.
이 사이트 발견하고 거의 한달 내내 여기서 살았던 것 같네요.
낙서장과 인니 스토리의 거의 대부분의 게시물을 읽은듯... ^^;;;

주재원 발령을 받아서 4년정도 자카르타에 거주하게 되었어요.
출국은 늦가을이나 되어야 할 것 같은데, 현재 사는 집 정리는 좀 빨리 하게 될 것 같아서
이주 이삿짐 관련 질문 몇가지 드려요.
일단 저희는 컨테이너 1개를 회사에서 지원 받는다고 하구요.

1. 장롱-혼수로 마련한 12자짜리 장롱이 있는데, 글 읽다보니 가져 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하는 글이 많던데요. 이사비용 대비 별로라구요. 정말 그런가요? 어차피 컨테이너가 가니까 상관 없는 건가요?

2. 가전제품
TV - 현재 29인치짜리 TV를 쓰고 있는데요.(삼성) 4년 뒤 한국으로 돌아오면 TV를 바꿀 예정이라... 만약 자카르타에서 TV를 새로 사는 것이 낫다고 한다면 현재 저희 TV는 누굴 주어버릴려고 해요. 집 정리를 하면서.
세탁기 - 현재 통돌이 쓰고 있구요.
가스렌지 / 오븐 - 현재 디오스 광파오븐 쓰고 있는데요. 제가 요리에 취미가 있어서 오븐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요즘 한국 아파트는 대부분 가스오븐렌지가 빌트인으로 들어가 있잖아요. 자카르타도 그런지, 그렇다면 가스렌지와 오븐은 남을 줘도 되는 건지요? 가져가면 쓸수 있기는 한가요?

3. 아파트 문제
현재 4살 2살 아이가 둘 있는데요. 큰 아이는 회사에서 학비가 지원되는 관계로 외국인 학교와 연계되어있는 유치원(영어를 주로 사용하는)이나 프레스쿨에 넣으려고 하는데요. 미국 국제학교나 영국 국제학교 (유치원 이후 초등학교까지 쭈욱 다니게 할 생각) 근처에 있는 아파트의 시세가 어떤지 (방 3개에 가구 없는 것) 궁금하구요, 비슷한 조건(지역, 건물 등)에서 방 3개짜리 아파트와 4개짜리 아파트의 가격차이가 대충 어느정도 나는지요.

4.유치원 관련된 글들을 검색해서 읽다보니, 외국인 유치원을 보내려면 간단한 영어 의사소통 정도는 되어야 할 거라는데, 저희아이는 현재 영어라곤 ABCD도 전혀 모르거든요. 유치원 입학 시기에 저희 아이는 40개월 정도가 될 것 같은데 간단한 영어는 가르쳐야 할까요? 뭐 hello 정도 가르치는게 뭐가 어렵겠습니까마는 제가 영어 울렁증이 있어서...ㅠ.ㅠ

5. 음식문제.
컨테이너 박스에 라면한두상자 넣어가도 됩니까? 김, 마른 미역, 당면, 고춧가루 등등 마른 식재료(상하지 않는 것/유통기한이 긴 것)는 넣어가도 되는 건지요? 넣어가도 된다면 어느 정도의 양을 한계점으로 잡아야 할지(예를 들어 라면은 세박스 이상은 넣지 말라든가... 하는) 구체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적도를 넘어서 가는 거라 장류는 넣으면 상할 거라고 해서,
고추장 된장 간장 액젓류랑 김치 정도는 핸드캐리 하려고 하는데요. 혹시 반입 금지 물품이 있나요?

6. 병원 문제
둘째 아이 돌 지나고 얼마 안되어 들어가는 거라, 예방접종이 다 끝나지 않을 것 같은데,
자카르타에 있는 한국 소아과에서 한국에서 하는 예방접종은 다 하나요? 최근 새로 나온 것들(폐구균이나 로타텍등)도요? 가격은 얼마나 되는지. 보험 적용이 안된다니 병원비 걱정이 큽니다.

7. 상비약 / 예방접종
남편이 먼저 들어가는 거라 상비약을 좀 챙겨서 보내려고 하는데요.
타이레놀 정도는 거기에도 흔하게 팔겠지요?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면 한국에서 좀 넉넉히 사서 짐(핸드캐리)에 넣어보낼 생각인데요.
제가 생각하는 건 진통제(타이레놀) 소화제(훼스탈) 지사제(정로환-이건 거기 안팔겠죠? ㅎ) 마데카솔 정도거든요. 미리 사갈 필요 없다면 ^^;;;
그리고 약간 오지 밀림쪽으로 갈 일이 있을 것 같은데
(밀림이 있긴 한가요? 하여튼, 도시가 아닌 오지) 미리 예방접종 하고 가야 하는 건 뭐가 있나요?
그리고, 이런 것에 관한 안내는 회사에서도 해 주겠죠?

8. 피아노
아이가 9살 정도에 귀국을 하는 건데, 6살 정도가 되면 피아노를 가르치고 싶거든요. 거기서도 당연히 피아노 렛슨을 받을 수 있을 거라는 건 알겠는데, 피아노를 한국에서 사서 가지고 나가는 게 나을 까요, 아니면 현지에서 사는 게? 아니면 사지 말고 그냥 학원만?



제가 이런 일이 있으면 걱정이 앞서는 타입이라 요즘 잠이 다 안옵니다.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seawolf님의 댓글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장롱: 막써도 되는 거면 가져와도 됨..근뒤 좋은거면..비추. 장농이란게 옮기면 꼭 조금씩 긁히고 상하는 물건이라서리..ㅋㅋ

2. TV: 32인치 LCD도 가격 내려서 얼마안함.
  주고 오는게 나을듯. 29인치는 한화 새걸로 10만 -20만원사이에서 구매가능
3. 아파트는 덥썩 오자마자 계약 말고, 주위의 한국인과 현지인 부동산 다 물어본다음 구매 혹은 계약하시길..
4. 유치원은 와서 여기저기상담 받압고 결정..영어/한국 유치원다수
5. 음식은 넣어오는것 비추
6. 현재까지 뭐 예방접종받았는지 뭐 더 받아야하는지 기록 꼭 들고오시면 여기서도 가능
    유명한 제약사들 다 들어와있어서리..ㅋㅋ
7. 굳이 가져온다면..정로환정도?
    오지근무면..신경쓰이는 댕기열 말라리아가 예방백신이 없는 걸로 아는뒤..(확신없음==;)
    그 2가지 아니면 나머지는 복걸복이라서리..ㅋㅋ, 위 2가지는 대책세울수있음 대책 세우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
8. 피아노는 개인 레슨 혹은 여기도 가르치는 학원은 좀 있는 듯 합니다만..
    원하는 수준 및 가격이 문제일듯..ㅋㅋ

제우스2님의 댓글

제우스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장롱-혼수로 마련한 12자짜리 장롱이 있는데, 글 읽다보니 가져 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하는 글이 많던데요. 이사비용 대비 별로라구요. 정말 그런가요? 어차피 컨테이너가 가니까 상관 없는 건가요?

가져오는것 상관없으나 습기에 약하면 웬만하면 가져 오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가실때 바리바리 싸가실거면 가져오세요.. 여기 제대로 된 장롱을 갖추기 만만치 않습니다.

2. 가전제품
TV - 현재 29인치짜리 TV를 쓰고 있는데요.(삼성) 4년 뒤 한국으로 돌아오면 TV를 바꿀 예정이라... 만약 자카르타에서 TV를 새로 사는 것이 낫다고 한다면 현재 저희 TV는 누굴 주어버릴려고 해요. 집 정리를 하면서.
세탁기 - 현재 통돌이 쓰고 있구요.
가스렌지 / 오븐 - 현재 디오스 광파오븐 쓰고 있는데요. 제가 요리에 취미가 있어서 오븐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요즘 한국 아파트는 대부분 가스오븐렌지가 빌트인으로 들어가 있잖아요. 자카르타도 그런지, 그렇다면 가스렌지와 오븐은 남을 줘도 되는 건지요? 가져가면 쓸수 있기는 한가요?

tv는 남주시면 되고요. 여기랑 안맞습니다. 방식이..
오븐은 가져오시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사는것이 좋습니다.
저도 6년전에 가져왔는데 한번고장나니 서비스도 안돼고 그냥 방치상태로 4년입니다.


3. 아파트 문제
현재 4살 2살 아이가 둘 있는데요. 큰 아이는 회사에서 학비가 지원되는 관계로 외국인 학교와 연계되어있는 유치원(영어를 주로 사용하는)이나 프레스쿨에 넣으려고 하는데요. 미국 국제학교나 영국 국제학교 (유치원 이후 초등학교까지 쭈욱 다니게 할 생각) 근처에 있는 아파트의 시세가 어떤지 (방 3개에 가구 없는 것) 궁금하구요, 비슷한 조건(지역, 건물 등)에서 방 3개짜리 아파트와 4개짜리 아파트의 가격차이가 대충 어느정도 나는지요.

==>잘 몰릅니다. 죄송~~

4.유치원 관련된 글들을 검색해서 읽다보니, 외국인 유치원을 보내려면 간단한 영어 의사소통 정도는 되어야 할 거라는데, 저희아이는 현재 영어라곤 ABCD도 전혀 모르거든요. 유치원 입학 시기에 저희 아이는 40개월 정도가 될 것 같은데 간단한 영어는 가르쳐야 할까요? 뭐 hello 정도 가르치는게 뭐가 어렵겠습니까마는 제가 영어 울렁증이 있어서...ㅠ.ㅠ

==>전 한국 유치원 보냅니다. 영어유치원 보내거나 현지유치원 보내면 한국말이 서툴어지네요..

5. 음식문제.
컨테이너 박스에 라면한두상자 넣어가도 됩니까? 김, 마른 미역, 당면, 고춧가루 등등 마른 식재료(상하지 않는 것/유통기한이 긴 것)는 넣어가도 되는 건지요? 넣어가도 된다면 어느 정도의 양을 한계점으로 잡아야 할지(예를 들어 라면은 세박스 이상은 넣지 말라든가... 하는) 구체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적도를 넘어서 가는 거라 장류는 넣으면 상할 거라고 해서,
고추장 된장 간장 액젓류랑 김치 정도는 핸드캐리 하려고 하는데요. 혹시 반입 금지 물품이 있나요?

요즘 콘테이너 단속이 심해서 넣으면 안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장류 예전에 가져왔는데 단속만 피한다면 가능합니다. 김치등등 핸드캐리어 걸립니다. 적당히 돈을 주어 빼야 합니다.


6. 병원 문제
둘째 아이 돌 지나고 얼마 안되어 들어가는 거라, 예방접종이 다 끝나지 않을 것 같은데,
자카르타에 있는 한국 소아과에서 한국에서 하는 예방접종은 다 하나요? 최근 새로 나온 것들(폐구균이나 로타텍등)도요? 가격은 얼마나 되는지. 보험 적용이 안된다니 병원비 걱정이 큽니다.

다합니다. 비싸서 그렇지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7. 상비약 / 예방접종
남편이 먼저 들어가는 거라 상비약을 좀 챙겨서 보내려고 하는데요.
타이레놀 정도는 거기에도 흔하게 팔겠지요?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면 한국에서 좀 넉넉히 사서 짐(핸드캐리)에 넣어보낼 생각인데요.
제가 생각하는 건 진통제(타이레놀) 소화제(훼스탈) 지사제(정로환-이건 거기 안팔겠죠? ㅎ) 마데카솔 정도거든요. 미리 사갈 필요 없다면 ^^;;;
그리고 약간 오지 밀림쪽으로 갈 일이 있을 것 같은데
(밀림이 있긴 한가요? 하여튼, 도시가 아닌 오지) 미리 예방접종 하고 가야 하는 건 뭐가 있나요?
그리고, 이런 것에 관한 안내는 회사에서도 해 주겠죠?

약값은 일단 한국보다 한국약은 비싸고 구하기 만만치 않습니다. 오실때 가져오시면 좋습니다.
하지만 감기약 같은것은 이곳에서 먹어야 잘 안통합니다.
적당히 진통제/ 소염제/ 파스/청심환 등등 가정 상비약 정도만 구비하시면 됩니다.

8. 피아노
아이가 9살 정도에 귀국을 하는 건데, 6살 정도가 되면 피아노를 가르치고 싶거든요. 거기서도 당연히 피아노 렛슨을 받을 수 있을 거라는 건 알겠는데, 피아노를 한국에서 사서 가지고 나가는 게 나을 까요, 아니면 현지에서 사는 게? 아니면 사지 말고 그냥 학원만?

피아노 여기서 사셔도 되고 가져오셔도 됩니다. 전 가져와서 잘 쓰고 있습니다.
단지 배울만한곳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유념하시길~~


(출처 : '인도네시아 사랑' - :::인도웹::: http://www.indoweb.org)

청년바구스님의 댓글

청년바구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가 아는 한가지만 간단히 말씀드리면, TV는 한국과 방식이 다른 PAL방식이라 가져가셔도 공중파는 보실 수 없습니다.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1,052건 18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76 도와주세요 댓글6 한무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3 7306
575 입국시 주의사항 병아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12 8968
574 자카르타 헬스클럽문의입니다^^ 댓글6 hanz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02 16182
573 mbc time' 이라는 케이블 발송업체가 있나요? 댓글3 WIGZZ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04 9975
572 회사 주소지 갱신 ( Surat Domisili ) 댓글5 가을하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26 9460
571 인니 초보자입니다. 댓글6 진형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7 9525
570 싱가폴행 이사 방법 도움 요청입니다 히로21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26 5882
569 자카르타 공항에서 대사관 가는길이 궁금합니다. 댓글6 조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22 9243
568 [질문] 한국에서 인니 방문 관련 댓글5 자스민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8 7545
567 여행 여행사 지점 capu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1 6635
566 부인과 검사 받을 수 있는 병원 좀 알려주세요 댓글6 샐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30 8170
565 [질문] 스티커 제작 업체(현지인) 어디가 좋나요? 댓글3 자깔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08 10985
564 자카르타 공항 근처 값싸고 가까운 게스트 하우스...?? 댓글7 sand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05 12604
563 반둥생활 댓글22 sand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07 11283
562 30일 도착비자 클리어 관련 댓글4 그라나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01 7981
561 인도네시아 전통 레스토랑을 찾습니다. 댓글2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30 9337
560 은행 은행에서 환전하려는데....도와주세요 댓글10 무상보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23 13179
559 도와주세요,,^^ 댓글2 아이비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28 7028
558 Summer school 댓글3 비르빈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1 7359
557 [질문] 침대 저렴하게 살수 있는 곳 댓글1 KIMER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13 8363
556 자카르타 근교 등산하고 싶습니다. 댓글7 1ManCorpMin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4 10440
555 한인이 운영하는 pc방 좀 알려주세요 댓글4 rhaxld1g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4 7421
554 온천 연락처 정보 좀 부탁 ~~ 댓글5 초록나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8 61571
553 문의좀할려구여~ 댓글1 사마봉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12 6737
552 질문드립니다 ( 화산폭발 ) 댓글2 196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31 9348
551 한국 산업 인력 관리 공단 인도네시아 지부의 주소와 전번을 알려 주세요. 댓글2 영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4 8926
550 생활/문화 이제 4일뒤면 출국합니다.. 댓글10 seho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8 9566
549 숙박 스라망 지역 한국인 하숙집 문의 댓글2 아메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03 6212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