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마(식품)에 관해 몇자 적어봅니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109)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건강 | 마(식품)에 관해 몇자 적어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송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1-11-07 06:01 조회11,511회 댓글11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17520

본문

안녕하십니까? 지난 11월 4일 어느 교민께서 마(식물)에 관해
질문하신 것을 보고, 제가 아는대로 마에 관해 적어보려고 합니.
 

저도 한국에 있을때, 어머니께서 아침마 마를 갈아 우유나 요구르트와
섞어 주시던 생각이 납니.  마는 위장과 대장에 특히 좋고 하니,
기회있을때 마 많이 챙겨 드시기 바랍니.
 

저는 반둥과 가룻에서 한국채소를 재배하는 농사꾼입니.
 

그동안 제 주변의 지인가운데, 마에 관해 물어오는 분에게는 일일이
설명을 드렸으나, 이렇게 인도웹에서도 질문이 나오는 것을 보면,
많은 교민들이 궁금해 하시는 것같아서, 아는대로 몇자 적어봅니.
 

우선 제가 채소를 재배하면서 터득한 노하우인데, 한국에서 보던것과
외관상으로 비슷한 채소 혹은 식물같아 보인고 해서, 한국에서와
같은 식물이라고 생각하시면 틀릴수도 있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
.  예를 들어보면, 많은 교민들이 마를 Ubi jalar 혹은 ketela
rambat 이라고 알고 계신듯 합니. 아주 비슷하니까요.
 

하지만 Ubi jalar 혹은 ketela rambat 의 학명을 보면 Ipomoea
batatas L. 입니.  즉, 한국의 고구마 종류입니.
이렇듯 한국에서 보시던 식물과 이곳의 식물을 정확하게 비교하시
려면, 반드시 학명을 확인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
물론 현지인들이 학명을 잘 모르니, 쉽지는 않겠지만.... 어쨋든요.
 

마과 식물 (Dioscoreacea)은 전 세계적으로 10속 65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  이 가운데 한국의 산림청에서 운영
하는 DB인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품종은 18품종입니.
 

이 가운데 한국에서 판매용으로 재배하고 있는 품종은 대략 4종류
입니.
 

   1. 학명 Dioscorea batatus Decne : 한국에서 마 혹은 크기에
      따라 장마 혹은 단마로 불리웁니.
 

   2. 학명 Dioscorea Opposita Thunb : 1번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마 혹은 크기에 따라 장마 혹은 단마로 불리웁니.
 

   3. 학명 Dioscorea japonica Thunb : 한국에서 참마, 산마
      혹은 둥근마로 불리웁니.
 

   4. 학명 Dioscorea bulbifera : 한국에서 둥근마 혹은 황약자로
      불리우며, 안동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습니.
 

   한국에서는 위의 4종류 중에서도 특히, 위의 1번과 2번이 주로
   재배되고 있고, 년간 5,000톤정도이며 주경작지는 안동입니.
 

   그외 각시마(D. tenuipes)는 식용 가능하며, 도꼬로마(D. tokoro)는
   한약규격집에 비해(萆薢)로 수재되어 있는 약용식물입니. 그밖에
   부채마(D. nipponica), 단풍마(D. quinqueloba),
   국화마(D. septemloba)등은 독성을 지니고 있어, 바로 식용할 수는
   없고, 독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쳐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
 

이제 인도네시아의 마에 관해 알아봅니.
 

우선 마는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열대지역이 원산지입니.
한국에는 18종 밖에 등록이 되어있지 않으나, 이곳의 마 종류는
수백종은 된고 여겨집니.  마 이외에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아열대지역이 원산지인 식물들이 많은데, 이런 종류는 한국에 비해
그 수가 엄청나게 많습니. 원산지 이니까요.
 

이런 종류가운데는 구근식물들이 많은데, 고구마, 마, 토란, 생강,
강황, 울금, 고사리,고비 등등 입니.
 

또한 한국에서 보던 쑥, 질경이, 민들레, 도토리,뽕나무 등
한국에서 보던 식물들도 많습니.
 

이번엔, 고사리를 예를 들어보면 전 세계적으로 약 1만 2000종 정도
고 하는데, 그중 한국에는 대략 350종 정도 된고 합니.
하지만 인도네시아에는 줄잡아 3,000종이상이 된고 일본학자들이
얘기하는군요.
 

시, 인도네시아 마 얘기로 돌아가서, 여기는 마 종류가 엄청나게
많지만, 인니 농업청이나 식물(허브)도감에서 루는 종류는 크게
4종류 입니.
 

인도네시아는 1960-70년대에 쌀 생산이 부족하였고 하는데,
그때 쌀을 대신하여, 마를 주식으로 했고 하는군요.
그래서인지 현지인 가운데 50세가 넘은 분들은 비교적 마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편입니. 하지만 점차 쌀 생산과 생활 소득이 늘자,
차츰 마를 식용하지 않게 되었고 합니
 

그래서인지 대도시 젊은이 특히, 자카르타중심의 서부자와 사람들은
마에 관해 잘 모르는 편입니.  하지만 스마랑등 중부자와 지역
에서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식용을 하고 있고, 재래시장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
 

중부자와 재래시장에서 파는 품종은 열대마 (자와어 Uwi 학명
Discorea alata L.) 입니.
 

 인도네시아 마의 주요한 4가지 품종은 음과 같습니.
 

 1. 학명 Dioscorea alata  L. 영어로는 water yam, winged
    yam이며, 한국에서는 열대마 혹은 열대 둥근마로 불리웁니.
    전 세계 가운데 인도네시아가 최초 원산지인 품종이고, 전세계
    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는 품종입니.
 

    인도네시아에서는 같은 식물인데도, 지역별로 불리우는 이름이
    른 경우가 매우 흔합니. 순지역과 자와지역 사람들이 식물
    이름을 르게 부르기 때문에, 같은 식물인데도 서로 혼동하는
    경우도 많습니.  그래서 식물(허브)도감을 보면, 한 식물을 놓고
    각 지역에서 불리우는 이름을 일일이 열거해 놓습니.
 

    위의 Dioscorea alata는 지역별로 음과 같이 불립니.
 

      - 자와      : Uwi (우이), Ubi Kelapa
      - 순      : Huwi, Ubi Rambat, Ubi Manis
      - 수마트라 : Ubi
      - 마두라   : Ubi
      - 슬라웨시 : Same
      - 말루쿠   : Lutu

 

    현지인들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서, Ubi Manis 라고 하면,
    고구마 중에서 특별히 단맛이 나는 고구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  뿐짝 올라갈 때 길가에서 파는 고구마
    (Ubi Cilembu, 주산지: 가룻)가 단맛이 많이나고 맛있는데,
    이것과 혼동하는 현지인이 많습니.
 

    이 품종은 최근 한국의 경북 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에서
    도입하여, 안동에서 일부 재배되고 있습니.
 

    생물자원연구소와 안동대 식품영약학과에서 지난 2010년 8월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품종 (Dioscorea batatus Decne (경북1호)라고 명칭함) 과
    인니에서 가져간 위의 품종 (Dioscorea alata (경북6호)라고
    명칭함)을 서로 비교하였는데, 인니에서 가져간 품종
    즉, Dioscorea alata (경북6호)이 항균 및 항산화 실험에서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발표한 바 있습니.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품질도 우수하고 하니, 많이 챙겨
    드시면 됩니.
 
    
 2. 학명 Dioscorea esculenta L, 영어로는 Sweet Yam,
    Lesser Yam 혹은 Potato Yam이라고 하며, 한국에는
    감자마라고 소개되고 있음.
  

    인도네시아에서는 Ubi Gembili 혹은 Ubi Itik 이라고 함.
  

    이 감자마에 대해서는 세계적인 생명공학회사인 일본의
    Takara라는 회사에서 음과 같이 홍보하고 있음.
    (이 내용은 일본 Takara 회사의 한국지사인 카라코리아
     바이오메디칼주식회사의 웹사이트에 실린 것입니.)
 

* 주소: http://bio.takara.co.kr/subPage/subPage12.asp?strMenu=Menu03
 

    카라코리아에서는 감자마가 일본의 오키나와등에서 재배되는,
    오키나와 현지인들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약효가 탁월한
    전설적인 마로 소개하고 있습니.
 

    카라코리아는 한국의 일반적인 마, 은행마, 참마 등과 감자마를
    대상으로 여러가지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사이트에 실었
    습니.  그 실험에 의하면, 감자마에는  이오스게닌 배당체라는
    항 피로물질이 비교대상인 한국 일반마, 참마, 은행마 등과 비교
    하여, 월등하기 때문에 피로를 빨리 풀어주고, 힘을 나게 하는
    정력 식품으로 홍보하고 있습니.  이 사이트는 쥐를 대상으로
    7일간 실험했고 합니.
 

    어쨋든 이렇게 좋고 하는 품종이 인도네시아에는 많으니,
    또한 많이 챙겨드시면 됩니.
 

 3. 학명 Dioscorea Bulbifera, 영어로는 Aerial Yam,
    Air Potato 혹은 Air Yam이라고 하며, 한국에서 둥근마
    혹은 황약자로 불리우며, 안동지역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습니.
 
 
    인도네시아에서는 Ubi Gembolo 라고 함.
  

    이 역시 한국 안동에서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고, 한국에서도
    많이 식용하는 품종이니, 안심하고 드셔도 됩니.
 

4. 학명 Dioscorea hispida Dennst, 영어로는
   Asiatic Bitter Yam 혹은 Intoxicating Yam이라고 함.
   한국에는 없는 품종 임.
  

   인도네시아에서는 Gadung 이라고 함.
  

   독성이 매우 강해서, 그냥 드시면 절대로 않됨.
   이 품종을 바로 먹어본 인도네시아 현지인에 의하면,
   먹으면 구역질이 심하게 나고, 머리가 터질듯이 아프고,
   3박 4일동안 혼수상태에 빠진고 합니.
   행히 죽지는 않는고 하네요.
 

   현지인들은 이 Gadung을 독을 제거해서 먹는데, 독을
   빼는 방법은 3일이상 흐르는 물에 담궈주어야 하고, 그후
   잘 말려야 한고 합니.  그리고나서, 껍질을 벗겨내고,
   얇게 썰어 칩(튀김)을 만들어 먹는고 합니.
 

   반둥의 시외버스터미널 등지에 가면 Gadung으로 만든
   칩을 구할 수 있습니.
 

위에 적었듯이, 인도네시아에서는 마를 식용으로 먹는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에 (특히 서부자와) 전문 재배농가가 없습니.
시중에 유통되는 마는 대부분 야산에서 저절로 자란 것들을
캐온 것입니.  Gadung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믹서기에
갈아서, 우유나 야쿠르트하고 섞어 드시면 됩니.
모양도 색도 크기도 아주 양합니.
(속이 보라색인 자색마도 많이 있음.) 
산속에서 오래 묵은 야생마는 나무뿌리처럼 크고, 질깁니.
 

마에 관해 아는대로 적었는데, 저 또한 마 전문가가 아니어서,
혹시 틀린 점도 있을 수 있습니.  양해 바랍니.
 

제 전문분야는 한국채소 재배이니, 혹시 한국채소 재배 관련하여,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환영합니.  감사합니.
 

이 석호 배상 ( 휴대폰 : 0815-995-1582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송원님의 댓글

송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글을 읽어 주신 회원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

인도웹의 댓글 문화가 한국의 포털싸이트와 크게 르네요.
이런 문화가 인니 교민사회를 따뜻하게 만드는데, 크게 도움이 되겠네요.

HappyVirus님 의견대로, 한국에서는 재배를 많이 하지 않는,
그러나 인니에는 비교적 흔한 식물(채소)들이 많이 있습니.

특히, 건강에 좋은 기능성(?) 식품들도 많아요.
제가 아는게 아직 부족하고, 여유가 없는 편이라 추가로 게재
하겠고 약속할 수 없지만, 노력해 보겠습니.

행복하게 지내세요.  감사합니.

happyvirus님의 댓글

happyviru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정말 농사도 과학적이시군요
크게 성공하시기 바랍니
인니에 가끔 마와같이 특용 건강 식품을 계재해 주셨으면 고맙겠습니
좋으신 하루 되세요

SHKons님의 댓글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안녕하십니까 좋은 글 감사드립니.
그러고 보니 뿐짝에서 먹던 군고구마도 생각되네요. 이번주말에 또 뿐짝이나 가볼까나~ ㅎㅎㅎ

코인님의 댓글

코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감사합니~
마의 종류가 저렇게 많군요.
그런데 마트나 시장에서 '이게 마구나~'하고 알아볼 수는 없을 것 같아요 ㅠ.ㅠ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9,600건 18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124 교육 인도네시아 학교 관련해서 비용 문의 드립니ㅠㅠ 댓글2 꼭알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10 6506
9123 생활/문화 혹시 한국에서 인도네시아 물건보내기 댓글1 남시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13 7753
9122 생활/문화 LG U플러스 인도네시아에서 사용가능한가요???? 댓글1 acha1958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19 5247
9121 생활/문화 모이 대장금 인도웹카드 할인 끝났나요? 댓글1 saridew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01 2996
9120 비즈니스 1 댓글3 HelloJK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07 9307
9119 통관 수출 컨테이너 인도네시아세관에서 적색라인 떨어져 물품검색명령 떨어지면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댓글4 꿈이뭡니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19 7753
9118 부동산 타만 라수나 아파트 문의 댓글4 김군임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2 3651
9117 생활/문화 - 댓글3 빈땅제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26 4200
9116 비즈니스 안녕하세요 인도네시아에서사업질문 댓글4 보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9 11522
9115 비즈니스 뱀피가방공장 어디있을까요? 댓글3 Audreylee22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23 4331
9114 기타 자카르타에서 실내에서 농구할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댓글4 김브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25 3576
9113 통관 한국으로 물건(책 등 무게가 있는) 배로 보내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댓글2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30 7221
9112 부동산 끌라빠가딩 지역 아파트,, 댓글1 Ksur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1 2747
9111 통신/전자 인니산 갤럭시노트 한국서 LTE 지원되나요? 댓글3 BERKA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02 5300
9110 기타 전기 순간 온수기 쓰고계신 분이나 써보셨던분께 질문 댓글8 첨부파일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5 6946
9109 비자 배우자 비자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 댓글1 하후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22 6101
9108 건강 . 댓글1 깨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27 3536
9107 차량/교통 인니 운전면허증의 대해 궁금해요 꼭 좀 알려주세요 댓글3 funny23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18 16624
9106 기타 자카르타에 믿고 구입할만 금은방 추천 부탁드립니. 댓글2 행운의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0 7762
9105 교육 자카르타 내 영어유치원 (IS) 설립 예정중에 있습니. 댓글2 MrLJ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7 4548
9104 비자 한달짜리 관광비자를 연달아 받게 되면? 댓글8 jadisendir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23 8033
9103 비즈니스 잔업 계산(찌까랑) 댓글5 mil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27 6220
9102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에서~~ 댓글4 요잇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0 4851
9101 기타 1번 정확히 무슨 장관인가요? 댓글5 포커페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14 12422
9100 세법/법률 인니에서 한국인 체불임금 받는 방법 좀 알려 주세요... 댓글1 adel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02 3123
9099 생활/문화 솔로지역으로 이주 계획이 있습니. 댓글6 sayang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4-28 6781
9098 통신/전자 [Telkom-simpati] 요즘 정말로 부정기적으로 통신사에 의해서 블록되나요? 댓글4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5 3521
9097 생활/문화 베를린 영화 댓글7 Won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14 1351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