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노팬티와 정력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236)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노팬티와 정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6-16 00:16 조회6,234회 댓글1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20225

본문

영화배우 샤론 스톤이 영화 “원초적 본능”에서 ‘노팬티’임을 드러내
는 장면으로 화제를 낳은 바 있다. 현대사회에서 팬티(panty)는 위생적으
로는 물론 예의상으로도 반드시 갖춰 입어야 할 필수 복장인 만큼 샤론 스
톤의 몸짓은 곧 성적 개방을 암시하는 까닭이다. 샤론 스톤은 이에 대해
“옷과 피부 사이에서 무언가 걸리적거리는 게 싫다”고 주장하기도 했
다. 영화의 예가 아니더라도 팬티에 대한 관심은 남녀노소에 차이가 없
다. 흥미로운 점은 팬티 모양에 성별 구분이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남
성팬티는 앞트임이 있고 사각형 혹은 삼각형인데 반해, 여성팬티는 앞트
임이 없고 삼각형이 기본이다. 왜 그럴까?

팬티라는 이름은 18세기 헐렁한 판탈롱이 ‘짧은 바지’를 뜻하는 팬츠
(pants)를 거쳐 생겼는데, 요즈음에는 팬츠와 팬티가 사실상 혼용되고 있
다. 그러나 팬티의 역사는 고대사회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인류 최초의
옷이 속옷이었던 것이다. 인류는 성적 수치심을 느끼게 되면서 낙엽으로
성기를 가렸고 이것이 팬티의 출발점이다. 중요한 곳을 보호하기 위해 가
죽이나 천으로 둘러싸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다 점차 장식이 추가
되면서 옷은 신분이나 성별을 구별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했고 팬티 또한 이
때부터 서서히 나타나게 됐다.

그러나 고대 로마인들에게는 겉옷과 속옷의 구분이 따로 없었다. 중세 들
어 유럽인들은 북방민족의 영향을 받아 비로소 속옷을 입기 시작했다. 18
세기 이후 유럽 병사들은 위생을 목적으로 군복 안에 넉넉한 속바지를 입
었다. 19세기 들어서면서 사람들은 속옷을 입지 않는 것을 불결하다고 생
각하게 됐다. 당시는 세균의 존재가 처음 밝혀진 때여서 세균이 우글거리
는 공기 중에 신체의 부분을 노출하기를 두려워했다. 위생을 강조하다 보
니 색깔은 대부분 흰색이었다.

1950년대 중반 ‘브리프’(Briefs)라는 남성용 팬티가 나타났고 그후 10
년 동안 많은 스타일의 변화가 있었다. 그렇지만 남성팬티는 그 뒤로도 오
랫동안 앞트임과 사각형을 유지했다. 앞트임은 엉덩이를 노출시키지 않고
용변을 보기 위해 고안된 것이고, 사각형은 보수관념을 반영한 디자인이었
다. 요컨대 속옷일지언정 성적 체통을 지키려는 정서가 앞트임과 사각형
을 남성팬티의 전형으로 만든 것이다.

한편, 고환이 몸에 착 달라붙게 만든 팬티나 청바지는 남성의학적으로 볼
때 상당히 잘못된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고환이 제 기능을 다하려면 통
상 체온보다 3∼4도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것을 역이용해 옛날 인
도에서는 남성피임법으로 고환을 덥게 하는 방법이 응용되기도 했다. 다
시 말해 옥죄는 밀착팬티를 입으면 고환은 숨이 막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게 뻔하고 결국 정력이 감퇴된다. 팬티 하나에도 남성의학의 신비가
담겨 있는 것이다. 최근 각종 소재들을 이용한 ‘정력팬티’들이 선보이면
서 팬티는 강한 남성을 만드는 도구로까지 발전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
력을 강화하려면 노팬티로 잠자리에 들라는 말이 설득력이 있다. 중요한
부위의 혈액순환이 한층 원활해지는 외에도 간간이 이불과의 마찰 때문에
생기는 자극이 고환까지 전달돼 국소충혈을 도와준다는 것이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103건 15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11 도움 을 청합니다수라바야 에있는 성형탄 장보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20 6109
1710 인도네시아에서 해산물 유통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나요? (그 외 이것저것..) 댓글17 Jun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4 8538
1709 한국에서 고양이 데리고 오려면..? 댓글4 상리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08 8047
1708 여성분들 인도네시아에서도 인터넷 쇼핑을.... 댓글3 여니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27 6681
1707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인천공항 댓글3 몽키디루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8 7903
1706 농산물 식품 공급 하시는분 연락주세요... 댓글1 식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3 4764
1705 급 아파트 재임대 합니다. Duf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04 6330
1704 건물의 층 표시(약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댓글6 자스민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22 18078
1703 베이비 시터에 관해 알고 싶어요~ 가르쳐주시면 좋겠어요~ 댓글7 성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2 10136
1702 끌라빠가딩몰 연말 행사.. 댓글1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28 5584
1701 인도네시아어 과외 댓글4 득사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17 9965
1700 인도네시아어 어렵나요????? 댓글1 스포이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0279
1699 [여쭈어보아요]인터넷뱅킹 사용여부 댓글5 도깨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20 10112
1698 차량/교통 토요일 뿐짝 방향 교통 상황? 댓글4 birbint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07 7592
1697 Metro Big Sale기간 중 Super Specials : 10/31 하루만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30 5553
1696 한국으로 컨테이너 들어갈 때요~~ 댓글4 조약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22 8228
1695 여름정장(양복) 구입할수 있는 곳 알려주세요! 댓글9 인도네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14 12686
1694 해고위로금 댓글5 챨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02 10691
1693 취업비자(kitas) 문의 댓글4 하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22 11973
1692 부동산 정보 댓글3 천일야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15 10659
1691 한국말을 할줄 아는 인도네시아인 댓글9 어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01 8980
1690 [문의]가딩라야(golf) 근처 주택 임대 문의.. 댓글1 빈속에커피한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25 9480
1689 토지 임대, 건설, 세금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댓글4 엘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10 11662
1688 현대 트라제(Trajet) vs 토요타 기장 이노바 장단점.. 댓글4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29 7438
1687 인도네시아 렌트카 댓글1 마타하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14 16168
1686 시세좀 알려 주세요. 좌우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29 7967
1685 소유부동산(Apt)의 재산세(토지분,건물분)납입기간 좀 알려주세요? 댓글1 coc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19 10032
1684 GSM 폰의 사용 지역 범위는? 댓글3 새종대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6 8045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