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환율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43)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환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주피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8-10-10 10:43 조회7,529회 댓글6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4109

본문

한국원화가 1400원대이고 루피아는 9500원대
몇달전까지만해도 원화대 루피아가 9.5:1정도였는데, 이제 7:1도 안되는군요
 
인도네시아가 재정이 튼튼한가요? 루피아가 그나마 강세를 보이는 이유가 뭐죠?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창공님의 댓글

창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미국의 월가의 금융기관들이 자금 경색으로 급히 자금을 회수해야 합니다. 그럴려면
전세계 어딘가에 투자한 돈을(주식이든 채권이든) 가져 와야 되는데... 만만한게 한국 금융시장입니다. 왜냐하면, 최근 몇년간 그래도 가장 이익을 많이 내고 실적이 좋았던 시장이
한국시장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외국인들이 매도가 최근 몇달간 지속되는 겁니다. 물론 투기성 자금이 환율을 교란 시키는 부분도 있지만, 외국인도 어쩔수 없이 팔수 밖에 없는 상황이죠. 환율 및 주식시장이 안정이 될려면, 기본적으로 미국 및 유럽의 금융기관들의 자금 경색이 완화 되야 한다는게 기본 전제 조건입니다.
이제, 한국 뿐만 아니라, 태국/인도네시아/호주까지 금융시장이 거의 패닉상태입니다.
한치앞을 예측 한다는 게 불가능한 상황...
참고로 만디리 은행 그일 최종 고시 환율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은행 매도 환율이 RP12,010(BCA : 10,250) . 제 눈을 의심 할 정도로 몇번을 확인 했습니다. 은행도 RISK를 안기 싫었겠죠... 달러로 급여 받는 분들은 좋겠습니다. ㅎㅎㅎ

댓글의 댓글

빌리님의 댓글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가장 이익을 많이 낸 나라에서 돈을 빼간다는 논리 외에 추가로 자금을 회수하는게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단타성으로 팔고 사고를 반복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의 달러부족과 우리나라의 단기성 채무 또한 환율을 부추기고 있는 요인들이지요.
거기에 한은의 금리인하 발표로 해외에서 투자금 회수 요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정책으로 외국의 언론에서 연신 한국경제에 대해서 우려를 하는 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오늘 해외 일부 언론에 한국에 대한 비방 여론을 조성하지 말라는 경고성 멘트를 날리더군요.
호주쪽은 모르겠고..태국 또한 한국과 유사한 빌비를 제공하고 있고
말씀하신대로 인도네시아도 상당한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인니 언론도 심층뉴스 시간에 이 문제를 깊이 다루고 있어요.

빌리님의 댓글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환율이 안정되려면 증시 또한 동반 안정되어야 하는데
증시 또한 지금 사상초유의 사태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환율은 심리적인 부분이 적잖게 작용하는데 지금 국내는 물론
해외의 여론이 좋질 않습니다.
오늘 오후에 청와대에서는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한국에 대해 안좋은 보도를 하는 해외 여론에 질타를 했다고 하는데
정부와 한나라당은 이젠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까지 남탓을 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투기꾼들은 약점을 찾아 공격해들어가는 법인데
계속 공격의 빌미를 주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상적인 해외 투자자 또한 불안한 심리를 느끼게 되면
투자금을 빼가는 형국이 되는 입니다.
세계경제논리에 모랄이 어디있습니까. 돈되면 그저 덤비는 법인데..
사고팔면서 차익을 보는 쪽과 일방적으로 쏟아붓는 쪽과 장기전에서
누가 유리하겠습니까..
차라리 침묵이 더 약이 될 듯 합니다.

우시시님의 댓글

우시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런데 문제는 , 울나라가 젤 많이 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엔화는 오히려 달라 대비 올랐어요. 위엔화도 잘 지키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돈쟁이들이 미국발 금융위기에 자사재정을 위해 가장먼저 뿌린돈을 걷어가는 곳이
아시아라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중 한국은 제일빨리 묻어둔 돈 꺼내간다는 거죠.
왜? 제일 위험해 보이니까.
왜? 정부 하는 꼬라지 보니 여차하면 주가에 환율 말아먹게 정치를 해대니까, 그래서
못미더운 거니까 말이죠.

에구... 워런버핏이 2~3년 전만해도 한국 아직도 매력적이다, 한국에 투자하라 라고 할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보수신문들 항상하는 소리가 경제파탄이다 세금폭탄이다 아마추어정부다
이러더만 지금 위기에 오늘자 신문을 보니 한국 경제 보기보다 튼튼하다느니 한국경제 씹는
외신언론들이라느니  MB,만수 문제 없다느니 그러면서 달라모으기 하자는건 또 먼지..

빌리님의 댓글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루피아가 강세를 보이는게 아니고 한화가 약세를 보이는겁니다.
만일 한국에서 한화 10만원을 보낸다면 손에 쥐어지는건 70만 루피아가 훨씬 못됩니다.
세계 70여개 통화국가 중 한화가 가장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거구요.
지금 미화 대비 약세를 보이는 나라 가운데서 한국을 첫 손으로 꼽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상적인 원.미달러 대비를 1000원선에서 많이 보면 1050원 정도로 보고 있는데 심각하게 오버된 상황입니다.
한국은 전적으로 수출에 의지하는 나라잖아요? 동시에 수입과의 관계에 따라 국내 경제는 울고 웃는 입니다.
특히 해외에서의 에너지 수입이 98%에 해당하니 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대단한거죠. 에너지 수입에 따른 결제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미달러 환율이 폭등하는데 따라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이 도래한 입니다. 과거에 1000원에서 최대 1050원 정도만 결재하면 되는데 이제는 1400원 이상을 결재해야 하는 상황이 되버리니..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는거죠. 수출 또한 실제로는 원자재.부품을 수입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수출만이 지름길이라고 할 수 없는 입니다. 미원화 상승에 따라 수입 또한 침체되버리면 국내의 소비재 시장은 당연 인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의 장기 침체국면에 이르는 입니다.
이에 대한 국내 소비재 시장의 몸살은 내년 초에 극심하게 될 으로 보이구요..
왜 21세기는 ‘에너지 전쟁’이라고 일컫는지 아시겠지요..수요는 증가하고 공급은 부족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오일 쇼크 이후에 이미 이를 예견한 나라들-일본을 예로 들자면-은 4/4분기 글로벌 경제위기 상황을 예견하고 있었습니다.
준비된 나라와 그 반대의 나라는 지금 미국경제 위기의 몸살을 다르게 체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니 자체도 지금 심각한 경제위기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한국에서 송금되는 원화의 가치는 두배의 이중고를 치르게 되는 이지요,.
루피아대 미달러의 환율도 상승을 할 으로 인도네시아의 각종 언론에서 보도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
금일 대기업과 당국의 공조로 1309원으로 환율 마감했다고 하네요.
내주 초 월요일과 화요일에 상승이 예상됩니다.
환투기꾼들이 팔고 사고를 계속 반복하고 있어요..
돈 찾을 일 있으면 가급적 오늘 찾으시길..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284건 1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84 혼인신고 댓글9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25 12993
2283 JIKS 초등부 친구들끼리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인니어인가요? 댓글4 유비쿼터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31 9363
2282 급질문- 자칼타에 가장 괜찮고 큰 산부인과 댓글22 오랑인도네시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20 13181
2281 주한인니대사관의 비자발급비용 질문 댓글5 파랑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0 11256
2280 sim card 관련 질문좀 드릴께요..... 댓글3 찬이만만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09 9834
2279 순간온수기 가격대를 알고 싶어요! 댓글1 서퍼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28 8149
2278 끌라빠가딩에 있는 Artha Gading 아파트 댓글4 노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26 9144
2277 신용카드 발급 문의 댓글4 Y2eeeeeee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11 9704
2276 sms 댓글2 smur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03 9877
2275 고장난 캐논카메라 수리 댓글1 무소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7 9011
2274 "pengkajian"이 무슨뜻인가요???? 댓글3 행복예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27 13191
2273 BEJ(JSX, 자카르타 증권거래소)가..강제 폐쇄했다고..아시는 분? 댓글8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10 11824
2272 궁금한게 너무많은 새내기 입니다. 댓글4 까르페디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15 8364
2271 한국수출시 환율기준에 대해 여쭙니다. 댓글10 좌우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30 10475
2270 KITAS 관련 댓글2 kurniaw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7 9830
2269 자카르타에 매번 홍수가 나는이유 댓글14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12 11964
2268 인터넷 설치 문의 댓글3 powermat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5 8462
2267 태어날 아기에 대해서 댓글10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30 9014
2266 인니 국제면허 한국 사용 가능여부 댓글3 초록나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6 10346
2265 경찰,이민국,노동부 에서 나와서.. 댓글5 엉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23 7396
2264 인니에서 한국 방송 보기?? 댓글2 똘똘이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09 9290
2263 인터넷 관련 문의 드립니다. 댓글4 진형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26 7970
2262 무선 인터넷 찾습니다. 댓글2 b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08 7967
2261 루이보스티 파는 곳 아시는분 댓글4 정열정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28 9675
2260 메인에 소주광고 맞나요? 댓글13 바익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2 10511
2259 전화로 인터넷하는 방법 (단순 이메일체크용) 댓글5 HarryKi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0 7289
2258 가루다항공 terminal2도착후 인니내 국내선 terminal2로 이동시 소요시간 아시는분? 댓글5 deser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6 8749
2257 Wallstreet Institute Indonesia. 댓글2 첨부파일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1 778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