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환율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85)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환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주피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8-10-10 10:43 조회7,614회 댓글6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q_a/4109

본문

한국원화가 1400원대이고 루피아는 9500원대
몇달전까지만해도 원화대 루피아가 9.5:1정도였는데, 이제 7:1도 안되는군요
 
인도네시아가 재정이 튼튼한가요? 루피아가 그나마 강세를 보이는 이유가 뭐죠?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창공님의 댓글

창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미국의 월가의 금융기관들이 자금 경색으로 급히 자금을 회수해야 합니다. 그럴려면
전세계 어딘가에 투자한 돈을(주식이든 채권이든) 가져 와야 되는데... 만만한게 한국 금융시장입니다. 왜냐하면, 최근 몇년간 그래도 가장 이익을 많이 내고 실적이 좋았던 시장이
한국시장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외국인들이 매도가 최근 몇달간 지속되는 겁니다. 물론 투기성 자금이 환율을 교란 시키는 부분도 있지만, 외국인도 어쩔수 없이 팔수 밖에 없는 상황이죠. 환율 및 주식시장이 안정이 될려면, 기본적으로 미국 및 유럽의 금융기관들의 자금 경색이 완화 되야 한다는게 기본 전제 조건입니다.
이제, 한국 뿐만 아니라, 태국/인도네시아/호주까지 금융시장이 거의 패닉상태입니다.
한치앞을 예측 한다는 게 불가능한 상황...
참고로 만디리 은행 그일 최종 고시 환율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은행 매도 환율이 RP12,010(BCA : 10,250) . 제 눈을 의심 할 정도로 몇번을 확인 했습니다. 은행도 RISK를 안기 싫었겠죠... 달러로 급여 받는 분들은 좋겠습니다. ㅎㅎㅎ

댓글의 댓글

빌리님의 댓글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가장 이익을 많이 낸 나라에서 돈을 빼간다는 논리 외에 추가로 자금을 회수하는게
여러가지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단타성으로 팔고 사고를 반복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의 달러부족과 우리나라의 단기성 채무 또한 환율을 부추기고 있는 요인들이지요.
거기에 한은의 금리인하 발표로 해외에서 투자금 회수 요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정책으로 외국의 언론에서 연신 한국경제에 대해서 우려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오늘 해외 일부 언론에 한국에 대한 비방 여론을 조성하지 말라는 경고성 멘트를 날리더군요.
호주쪽은 모르겠고..태국 또한 한국과 유사한 빌비를 제공하고 있고
말씀하신대로 인도네시아도 상당한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인니 언론도 심층뉴스 시간에 이 문제를 깊이 다루고 있어요.

빌리님의 댓글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환율이 안정되려면 증시 또한 동반 안정되어야 하는데
증시 또한 지금 사상초유의 사태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환율은 심리적인 부분이 적잖게 작용하는데 지금 국내는 물론
해외의 여론이 좋질 않습니다.
오늘 오후에 청와대에서는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한국에 대해 안좋은 보도를 하는 해외 여론에 질타를 했다고 하는데
정부와 한나라당은 이젠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까지 남탓을 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투기꾼들은 약점을 찾아 공격해들어가는 법인데
계속 공격의 빌미를 주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상적인 해외 투자자 또한 불안한 심리를 느끼게 되면
투자금을 빼가는 형국이 되는 것입니다.
세계경제논리에 모랄이 어디있습니까. 돈되면 그저 덤비는 법인데..
사고팔면서 차익을 보는 쪽과 일방적으로 쏟아붓는 쪽과 장기전에서
누가 유리하겠습니까..
차라리 침묵이 더 약이 될 듯 합니다.

우시시님의 댓글

우시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런데 문제는 , 울나라가 젤 많이 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엔화는 오히려 달라 대비 올랐어요. 위엔화도 잘 지키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돈쟁이들이 미국발 금융위기에 자사재정을 위해 가장먼저 뿌린돈을 걷어가는 곳이
아시아라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중 한국은 제일빨리 묻어둔 돈 꺼내간다는 거죠.
왜? 제일 위험해 보이니까.
왜? 정부 하는 꼬라지 보니 여차하면 주가에 환율 말아먹게 정치를 해대니까, 그래서
못미더운 거니까 말이죠.

에구... 워런버핏이 2~3년 전만해도 한국 아직도 매력적이다, 한국에 투자하라 라고 할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보수신문들 항상하는 소리가 경제파탄이다 세금폭탄이다 아마추어정부다
이러더만 지금 위기에 오늘자 신문을 보니 한국 경제 보기보다 튼튼하다느니 한국경제 씹는
외신언론들이라느니  MB,만수 문제 없다느니 그러면서 달라모으기 하자는건 또 먼지..

빌리님의 댓글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루피아가 강세를 보이는게 아니고 한화가 약세를 보이는겁니다.
만일 한국에서 한화 10만원을 보낸다면 손에 쥐어지는건 70만 루피아가 훨씬 못됩니다.
세계 70여개 통화국가 중 한화가 가장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거구요.
지금 미화 대비 약세를 보이는 나라 가운데서 한국을 첫 손으로 꼽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상적인 원.미달러 대비를 1000원선에서 많이 보면 1050원 정도로 보고 있는데 심각하게 오버된 상황입니다.
한국은 전적으로 수출에 의지하는 나라잖아요? 동시에 수입과의 관계에 따라 국내 경제는 울고 웃는 것입니다.
특히 해외에서의 에너지 수입이 98%에 해당하니 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대단한거죠. 에너지 수입에 따른 결제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미달러 환율이 폭등하는데 따라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이 도래한 것입니다. 과거에 1000원에서 최대 1050원 정도만 결재하면 되는데 이제는 1400원 이상을 결재해야 하는 상황이 되버리니..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는거죠. 수출 또한 실제로는 원자재.부품을 수입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수출만이 지름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미원화 상승에 따라 수입 또한 침체되버리면 국내의 소비재 시장은 당연 인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의 장기 침체국면에 이르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국내 소비재 시장의 몸살은 내년 초에 극심하게 될 것으로 보이구요..
왜 21세기는 ‘에너지 전쟁’이라고 일컫는지 아시겠지요..수요는 증가하고 공급은 부족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오일 쇼크 이후에 이미 이를 예견한 나라들-일본을 예로 들자면-은 4/4분기 글로벌 경제위기 상황을 예견하고 있었습니다.
준비된 나라와 그 반대의 나라는 지금 미국경제 위기의 몸살을 다르게 체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니 자체도 지금 심각한 경제위기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한국에서 송금되는 원화의 가치는 두배의 이중고를 치르게 되는 것이지요,.
루피아대 미달러의 환율도 상승을 할 것으로 인도네시아의 각종 언론에서 보도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
금일 대기업과 당국의 공조로 1309원으로 환율 마감했다고 하네요.
내주 초 월요일과 화요일에 상승이 예상됩니다.
환투기꾼들이 팔고 사고를 계속 반복하고 있어요..
돈 찾을 일 있으면 가급적 오늘 찾으시길..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220건 1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20 [질문]새해첫날 새벽에 반둥 딴꾸반 뿌라우 화산에 갈려고 합니다. 댓글1 하늘을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30 7898
2219 프르타미나 주유소 설립건 댓글7 피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29 7893
2218 비자 인도네시아인 한국여행 비자 발급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댓글9 AbsncMakesD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05 24205
2217 인니 국제면허 한국 사용 가능여부 댓글3 초록나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6 10419
2216 피스칼에 대한 질문 댓글2 powermat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05 8161
2215 인니 노동법 이궁굼합니다 댓글6 aya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1 7661
2214 여행 인도네시아인 한국여행 관련 질문입니다. 댓글6 프리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8 19238
2213 답변글 IP TV 문의(실시간 한국방송 60개 채널) 댓글1 jamesde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22 8526
2212 신차구매후 들어가는 비용에대한 질문 댓글7 두리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18 10080
2211 좀 강력한 수면제는? 댓글5 August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4 20629
2210 안여르 마르벨라 호텔 취사 가능한가요? 댓글7 허임바오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1 10198
2209 민원서류인니어공증? 댓글1 coffeebe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30 7582
2208 포인트에 대한 질문입니다. 댓글3 Adel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4 7237
2207 인도네시아 월급 체계 좀 부탁드립니다. 댓글3 spe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6 14721
2206 한국 운전 면허 기간 연장. 댓글2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2 10563
2205 핸드폰 개조 문의요...ㅠㅠ 댓글4 하늘레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8 10987
2204 외국인도 통신관련사업이 가능한지요? 댓글7 비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04 6953
2203 뿔라우스리부 - kotok 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댓글3 by그남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5 9076
2202 자카르타 호텔 뷔페 추천바랍니다. 댓글5 공주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27 19446
2201 컴퓨터 고칠수 있는 현지인 댓글4 trustsind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29 8310
2200 체험학습에 목말라요..ㅡ,.ㅜ 댓글5 꽃트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22 9366
2199 부산전자공고 동문님들 뵙고 싶습니다. 댓글12 똘똘이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04 10763
2198 수상스키 문의? 댓글8 병아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7 7174
2197 이리얀자야..에 계신 회원분들께.. 댓글3 아까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02 8727
2196 비행기에 관한 문의사항 댓글3 올인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26 9894
2195 통역 댓글4 trustsind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05 12035
2194 한국 가장 싸게 다녀오는 방법 좀 가르쳐주셔요~ 댓글5 감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6 11098
2193 한국입국시 과일 반입 안되나요?? 댓글10 양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9 16220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