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행복을 돈으로 살 수 있는 5가지 방법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49)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감동 | 행복을 돈으로 살 수 있는 5가지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35.31) 작성일12-01-24 07:11 조회5,286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2122

본문


돈으로 시계(Clock)는 살 수 있어도 시간(Time)은 살 수 없다.

돈으로 책(Book)은 살 수 있어도 지식(Knowledge)은 살 수 없다.

돈으로 지위(Position)는 살 수 있지만 존경(Respect)은 살 수 없다.

돈으로 약(Medicine)은 살 수 있지만건강(Health)은 살 수 없다.

돈으로 피(Blood)는 살 수 있어도 생명(Life)은 살 수 없다.

돈으로 친구(Friend)는 살 수 있어도 우정(Friendship)은 살 수 없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우리가 가진 돈의 효용이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행복도 예외일 수 없지만 다행히 이 예외에도 몇가지 예외가 있는 것 같다.

똑같은 돈을 갖고도 행복한 사람이 있고 불행한 사람이 있다. 똑 같은 돈을 쓰고도 행복한 사람이 있고 불행한 사람이 있다. 행복은 돈이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문제라고들 한다. 행복을 느끼는 마음은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돈 쓰는 방법을 조금만 바꿔도 이전보다는 조금 더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엘리자베스 던, 하버드 대학의 대니얼 길버트, 버지니아 대학의 티모시 윌슨 교수가 행복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소비 방법을 연구해 '소비자 심리 학술지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최근호에 실었다. 똑같은 돈으로 더 많은 행복을 살 수 있는 방법 5가지를 소개한다.





◆ 1. 명품 백을 사지 말고 여행을 떠나라

물건을 사는 것보다 경험을 사라. 다양한 종류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람들은 소유하고 있는 것보다 했던 일에서 더 많은 행복을 느꼈다.

경험이 물건보다 더 많은 행복을 주는 이유는 경험이란 우리 마음이 지금 이 순간에 온전히 집중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3명의 쟁쟁한 교수들은 논문에서 "이리저리 방황하는 마음은 불행한 마음"이라고 지적했다.

경험이 더 많은 행복을 주는 또 다른 이유는 사람들은 기억을 통해 과거에 했던 활동과 느꼈던 감정을 자주 떠올리기 때문이다. 반면 새로운 물건은 소유하는 즉시 그 상태에 적응이 되어 버려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진심으로 사랑했다면 설사 이별했다 해도 사랑했던 기억은 남는다. 때로 "아, 내가 그런 사랑을 했었지"라고 생각할 수 있는 추억이 남는다면 훗날에라도 행복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헤어진 남자친구가 선물한 100만원짜리 구찌 백은 "그 때 200만원짜리 백을 사달라고 하는 건데 아깝다"라는 생각을 들게 만들어 오히려 불행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당신의 자녀가 훗날 커서 성인이 됐을 때 "우리 아빠가 중학교 때 아이패드를 사줬지"라고 생각하며 행복을 느낄까. 아마도 아이패드 따윈 까맣게 잊어버릴 것이다. "12살 때 아빠랑 캠프를 갔는데 그 때 정말 재미있었지"라는 추억만이 지속하는 행복을 줄 수 있다.





◆ 2. (이기적인 이유로라도)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는 문구로 유명한 '리바이어던'의 저자 토마스 홉스는 인간은 오로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한다고 생각했다. 어느 날 홉스가 길을 가다 거지에게 적선했다. 그 모습을 본 친구가 거지에게 선을 베푼 것은 이기적인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홉스 자신의 이론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홉스는 이렇게 답했다.

"내가 거지에게 돈을 준 것은 거지를 돕기 위해서가 아니라네. 내 돈을 받고 기뻐하는 거지의 모습에서 내 자신이 즐거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지."

억지로 착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남을 도와주면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자비는 받는 사람보다 베푸는 사람을 더 행복하게 만든다. 자비를 베푸는 사람은 더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아울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논문에 따르면 다른 사람과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행동이면 무엇이든 우리의 행복감을 증진한다. 좋아하는 사람에게 밥을 사라. 밥값으로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하는 시간과 대화의 즐거움을 살 수 있다.





◆ 3. 자동차를 사지 말고 속옷에 투자하라

물건을 소유할 때 생기는 문제 중의 하나는 너무 빨리 새 물건에 적응이 된다는 점이다. 그러니 돈으로 행복을 느끼려면 비싼 물건 하나를 사는 것보다 값싼 물건을 자주 많이 사는 것이 낫다. 예컨대 1000만원짜리 자동차를 사는 것보다는 야한 속옷이나 예쁜 꽃, 달콤한 초콜릿을 자주 사는 것이 오히려 행복을 느끼는데 더 좋은 방법이다.

경험도 마찬가지다. 한번의 강렬하고 짜릿한 경험보다는 작지만 소소하게 자주 느낄 수 있는 경험이 더 많은 행복을 준다. 행복하려면 내년에는 반드시 2주일간 남미 여행을 떠나야지, 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매일 가까운 공원이라도 나가 산책하는 편이 효과적이다.





◆ 4. 돈을 모아 현금으로 사라

현대는 신용사회다. 신용카드와 자동차 할부금융이 일반화됐다. 일단 소비한 다음 돈은 나중에 지불한다. 돈을 늦게 지불하는 대가가 이자 부담이다.

지금 당장 물건을 살 수 있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큰 착각이다. 신용으로 지금 즉시 소비하는 사람들은 자신에게서 기대감이라는 행복을 스스로 빼앗는 것이다.

사람들은 즐거움을 연기하면 지금처럼 강렬한 쾌감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착각이다. 이 착각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미래의 쾌감을 상실해버리는 판단 오류를 저지른다.

다양한 실험 결과는 오히려 반대가 진리임을 증명한다. 연기된 즐거움은 지금 느끼는 것과 똑같은 쾌감을 줄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즐거움을 가슴 설레며 기다릴 수 있는 기대감이라는 행복까지 선사한다.





◆ 5. 남들처럼 살아라

당신은 특별하고 유일한 존재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이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당신이 행복을 느끼는 일이라면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 일에서 행복을 느낀다는 점이다. 그러니 남들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평범한 일을 마음 편하게 즐겨라.

"어머나, 그런 통속적인 영화를 왜 보니?"라며 남들 안 보는 골치 아픈 영화만 골라 보지 말고 때로는 남들이 다 보는 유치찬란한 영화를 봐주라. "남들이랑 똑 같은 건 싫어"라며 너무 고고하게만 살지 말고 "사는게 다 똑같지"라고 여유 있게 생각하며 남들처럼 살아라.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revival님의 댓글

reviv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30.74 작성일

늘 유용한 글을 써 주셔서 참 감사하네요. 외국 에서 어려운이 많이 있더라고 우리 모두 다 행복하게 살게 되시길 바랍니다 ~~~~~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335건 9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감동 행복을 돈으로 살 수 있는 5가지 방법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4 5287
110 일상 자동차 이야기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3 4611
109 일상 넋두리좀 들어주세요 댓글23 라일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16 5805
108 일상 참이슬 vs 바람소주? 댓글27 JDKi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12 6756
107 일상 여행시 환전문제 댓글4 반둥에서살고싶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07 4460
106 일상 인도네시아 여자와 결혼을 하려고 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__) 댓글21 달빛의그림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27 19108
105 일상 무궁화 마트 유통기한이 어떻게 되는건지요? 댓글40 in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7 6551
104 감동 여행을 끝내며 댓글7 쌍골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30 6178
103 일상 VISA/KITAS process 대행비용 적당히 좀 합시다! 댓글13 maxch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23 10239
102 일상 말레이지아로 떠나는 비자여행 댓글3 goodnigh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23 5021
101 일상 k마트의 가격이 왜 비싸지요? 댓글15 삼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23 6124
100 기타 홍삼의 장기 복용은 금물 / 부작용 너무 많다. 댓글4 엄동설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15 11368
99 일상 참 순한 인.니 교민들...에구 댓글19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2 8024
98 일상 인도네시아 국적취득조건 댓글6 반둥에서살고싶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23 13913
97 일상 너무 억울하고 힘든일들 댓글7 곰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16 5883
96 일상 네비게이션 과 후방카메라 댓글4 강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06 7146
95 일상 네팔 북한식당 "한국인 첩보활동".. 평양관도 ㅠㅠ, 조심하세요 하늘신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8 8731
94 일상 북한식당 "한국인 대상 첩보활동",, 우리 모두 조심해야겠습니다.. 댓글8 하늘신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8 6057
93 일상 무궁화에서 겪은 황당한 사건 댓글16 marin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8 8015
92 일상 오늘이 여기 가입한 지 백일째 되는 날입니다. 댓글2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5 4300
91 일상 금일 오전에 올라온 이민청 단속 관련 대사관 공지 사항입니다. 댓글7 Ngkro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8 5540
90 일상 악몽같은 2011년이 어서 지나가면 좋겠습니다. 댓글9 블링블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5 4803
89 일상 VISA 비자연장에 대하여 댓글1 jack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1 5574
88 일상 소주" 홍보 아닌 홍보 그만합시다... 댓글13 soj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1 5820
87 일상 집세가 왜 그렇게도 많이 오르는지 댓글2 thenther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8 7590
86 일상 배우자 스폰 체류허가 문의 댓글2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4 6353
85 일상 인터넷 소비자 불만글 올렸다고 중형 때리는 인도네시아 법 댓글3 pempe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14 5579
84 일상 삼성전자의 실망스런 마케팅 행태... 댓글11 바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2 692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