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뭐든 찍어내는 3차원프린터 특허 2014년초 만료…산업계 '지각변동'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88)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뭐든 찍어내는 3차원프린터 특허 2014년초 만료…산업계 '지각변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30.116) 작성일13-08-18 21:00 조회4,672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28548

본문

                                                                                                              한국경제| 기사입력 2013-08-18 17:01

3D프린터로 만든 항공기 부품.
3D프린터가 몰고 올 제조업 혁명 - 5억짜리 프린터가 수천만원…2025년 84억弗 시장

재료혁명…덜 쓰고도 속이 빈 강판 '척척'

설계혁명…주물과정 없이 파일로 설계

유통혁명…해외법인, 현장서 부품 생산

생산기지혁명…값싼 노동력 메리트 없어져


벨기에 루벤의 인테리어 제품 생산업체 머티리얼라이즈 본사. 3층 건물 지하에 마련된 생산라인에는 주물제작 설비도 절삭기계도 조립로봇도 없다. 50~60대의 3D프린터가 줄지어 놓여 있을 뿐이다. 그물 모양의 스탠드, 눈꽃 모양의 조명, 나무 뿌리처럼 생긴 꽃병 등 전통적 제조 방식으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모양의 인테리어 제품들이 3D프린터를 통해 생산된다.

이 공장에서 주로 쓰이는 3D프린터는 선택적 레이저소결(SLS) 방식. SLS 방식 3D프린터는 고급 인테리어 소품이나 의족과 같은 고가 의료제품의 맞춤형 소량생산에만 적용됐다. 프린터 가격이 대당 1억~5억원 정도로 비싸기 때문이다. 

내년 2월부터는 상황이 바뀐다. 미국의 3D시스템스가 갖고 있던 특허가 만료되기 때문이다. SLS 방식 프린터 가격도 1000만~수천만원까지 내릴 것으로 보인다. 3D프린터를 만드는 캐리마의 이병극 대표는 “그간 3D프린터가 산업계에 적용되지 못한 가장 큰 장애요소는 가격이었다”며 “3~5년 내 적용 분야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SLS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학기술이기 때문에 특허가 풀려 여러 업체가 개발경쟁에 뛰어들면 인쇄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대량생산에 걸림돌이 됐던 느린 속도도 해결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럭스리서치는 3D프린터를 이용해 생산한 제품 시장 규모가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빠르게 커져 현재 8억달러에서 2025년 84억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SLS 방식 특허가 풀리면서 산업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네 가지로 정리했다.

①재료혁명=3D프린터는 정확하게 필요한 부분만 찍어내는 적층 방식을 사용한다. 금속덩어리를 깎아내는 CNC머신보다 재료 사용량이 훨씬 적다. 제품의 가격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3D프린터를 사용하면 자동차나 항공기에 쓰는 부품이나 강판을 특수패턴으로 찍어 강도를 높이면서도 무게는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료로 철과 알루미늄을 동시에 써 강도를 높이는 대신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제품을 인쇄하는 것이다. 3D프린터를 이용하면 속이 비어 있거나 그물 형태 등 복잡한 모양도 인쇄할 수 있다. 김소령 3D시스템스 부장은 “3D프린터를 이용한 경량화는 연비가 중요한 자동차나 항공산업에 특히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②설계혁명=CNC 가공과 함께 금속 제품 생산에 많이 쓰이는 방식은 금형에 쇳물을 부어 주물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 같은 방법은 제품 디자인을 변경하려면 금형과 설계라인을 처음부터 다시 제작해야 했다. 3D프린터는 이런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다. 설계도 파일만 바꾸면 되기 때문이다. 3D프린터 제작업체 에이팀의 고산 대표는 “기존에는 제품이 바뀌면 생산 설비를 다 바꿔야 해 돈이 많이 들었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며 “3D프린터를 이용하면 이런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③유통혁명=제품 유통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 아프리카 법인이 수리용 부품이 소량 필요하다고 하면 지금은 한국 등에서 만들어 배나 비행기로 보내야 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아프리카 법인에 3D프린터를 몇 대 가져다 놓으면 다양한 모양의 부품을 필요한 만큼 생산하면 된다. 프린터·원료·설계도만 같다면 어디서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미국의 3D프린터 제조업체인 스트라타시스 직원이 3D프린터를 이용해 만들어진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스트라타시스 제공
3D프린터를 사는 게 부담스럽다면 3D프린팅 위탁업체를 이용하면 된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3D프린터를 이용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물건을 만들어 원하는 곳에 배달해 주는 업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미국의 3D프린팅 위탁업체 셰이프웨이스는 지난 2년간 3510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미국 투자자들이 이 업종의 전망을 그만큼 밝게 보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세계적인 물류기업 UPS도 3D프린터를 이용한 위탁생산업에 뛰어들었다.

④생산기지혁명=3D프린터를 쓰면 제품 생산에 필요한 인력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전엔 복잡한 모양의 제품을 만들려면 여러 부품을 만들어 조립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필요했다. 하지만 3D프린터는 복잡한 모양의 제품도 조립 없이 한 번에 찍어낼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의 비행기 제조 업체인 보잉에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만드는 데 3D프린터를 쓰고 있다. 값싼 임금의 이점이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주승환 오브젝트빌드 고문은 “일부 제조업의 생산기지가 중국·동남아에서 선진국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병종/남윤선 기자 ddak@hankyung.com

■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선택적 레이저 소결 기술. 레이저를 이용한 3D프린팅 기술로 플라스틱은 물론 금속도 인쇄할 수 있다. 가루 형태의 원료를 원하는 부분만 레이저로 소결(열이 가해진 분말이 결합·응고되는 현상)시켜 한층 한층 쌓아나가는 방식이다.

제품 설계도를 횡단면으로 얇게 썰어 각 부분을 인쇄해 결합하는 미적분 개념이 적용됐다. 미국 텍사스오스틴대 학부생이었던 칼 R 데커드가 그의 스승이었던 조 비먼 교수와 함께 1980년대 중반 개발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명랑쾌활님의 댓글

명랑쾌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163.82 작성일

재료까지 해서 1대 만달러 정도로 잡고 대략 1~2년이면 본전 뽑을 수 있을듯 합니다만, 회사가 관심을 보일까 회의적입니다.
리스크 관리 역시 비용 절감인데, 사고가 안터지면 당연한 거라고 생각할뿐, 사전 사고 방지 활동에 발생되는 비용을 손실이라고 보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이 걸림돌이네요.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88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02 일상 . 댓글2 Bucketlis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9 3847
3801 일상 현충사 은행나무길~ 댓글4 첨부파일 no마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01 5378
3800 기타 2016 K-Move 멘티 추가모집(10.10~10.23) 첨부파일 멘토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18 3382
3799 일상 한국식당에서 파는술 댓글9 fbtnsg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8 6770
3798 기타 인도네시아 주식 모임 댓글6 몽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16 4287
3797 일상 베트남 호치민 한국 식당 매니저 금고 부순 후 4만불을 들고 한국으로… 댓글6 worldpokro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3 15363
3796 일상 박칼린, 임정희 - "아름다운 널" 댓글1 sunnyroa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11 4874
3795 노하우/팁 北韓 여행을 알선하거나 北韓에 협력하는 사람을 알고 계시나요? nkblu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30 8944
3794 일상 M마트내 식당. 댓글11 킹돼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17 7213
3793 일상 눈구경 하세요~^^* 댓글4 no마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30 4206
3792 일상 2017 아라테 오픈 테니스대회 안내 첨부파일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21 8003
3791 일상 안녕하세요 스맛폰 사용자입니다. 댓글2 꾸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13 5975
3790 푸념 삼성갤럭시s8+를 질렀는데 실망입니다 댓글5 천일야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18 4441
3789 일상 한국군 소말리아해적 8명사살 5명생포. 인질 모두 구출. 댓글2 Jun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2 4482
3788 리뷰 국내영어캠프의 지존~! 제22차 등대EIL영어캠프에 초대합니다^^ 공부할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22 4513
3787 일상 어떤게가장 비참할까용~? (해설포함) 댓글3 And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2 4372
3786 답변글 일상 Re: 안녕하세요~인도네시아 초보 25세 여성입니다. 댓글2 Lolyt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14 4203
3785 일상 죄솔합니다. 많이 늦었읍니다!! 댓글15 첨부파일 goodpet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4 5447
3784 일상 안녕하세요. 인도네시아에 온 지 2주된 26살 새내기입니다:) 댓글17 LIZ9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12 16530
3783 일상 2011 한국국제유통산업전 2011한국국제유통산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4 5309
3782 기타 영화 ;윈드 리버; 감독판 21일 개봉…청불등급 ..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22 4022
3781 일상 투표방법이 더 쉬워졌네요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5 3963
3780 기타 비자 오버 스테이 되시분들 도와 드려요 댓글2 1막2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05 5072
3779 일상 자장면에 환장하신 사모님 모시고 가렵니다. 댓글6 Benjamin120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6 7812
3778 기타 수라바야 지역 가이드 급구합니다!!!! 댓글1 픽업스캐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3 5868
3777 일상 주말에 심심하신분,,,,,,, ?? 댓글14 배고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30 9236
3776 유머 눈을 처음 본 저먼셰퍼드 강아지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25 5505
3775 일상 HP프린터 렌탈 서비스 개시! 댓글1 잉크천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19 548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