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필수정보, 장마철 폭우와 태풍 피해 줄이는 예방법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106)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필수정보, 장마철 폭우와 태풍 피해 줄이는 예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성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180.148) 작성일22-09-07 02:10 조회4,190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3014

본문

장마철, 집중호우와 태풍 피해 줄이는 예방법 안내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본격적인 장마철과 휴가철을 맞아 호우, 태풍, 낙뢰 등으로 인한 풍수피해와 물놀이 안전사고 등이 많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그 어느 때보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데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집중호우란 한 지역에 짧은 시간동안 내리는 많은 양의 강한 비를 말하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와는 달리 기후가 빠르게 변하면서 게릴라성 호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게릴라성 호우는 장기간 빠른 속도로 비구름대가 진행되면서 동시다발적으로 넓은 비를 뿌리게 되는데, 이동경로의 예측이 힘들어 순식간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2554263553CF5ACC05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집중호우의 대표적인 피해 사례는 지난 2011년에 발생한 서울 우면산 산사태가 유명합니다.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산등성이의 지반이 약해져 토사가 그대로 흘러내려오면서 도로와 주택가를 덮쳐버렸고, 이 피해로 인하여 많은 사상자와 재산상의 손실이 상당했습니다. 그럼 이런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자신이 살고 있는 주거지가 저지대 침수와 수해 그리고 하천범람 위험 구역은 아닌지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고, 대피로와 대피소 등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또한 비가 내리기 전 각 가정에서는 축대나 담이 무너져 내릴 염려는 없는지, 하수구와 배수구에 막힌 곳은 없는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만약 오래된 축대나 담이 있다면 보수작업을 통해 붕괴의 위험을 사전에 막아야 합니다. 

 

2740544653CF568431

 

<맨홀뚜껑 이탈실험 예시>

 

최근에는 우리가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자주 눈에 띄이는 맨홀뚜껑이 큰 피해를 주고있어, 평소에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맨홀뚜껑에 대한 안전인식이 거의 없어 쉽게 지나칠 수 있지만, 지난 6월 마산에서는 폭우로 인하여 하수관로 물이 넘치면서 맨홀뚜껑이 튀어 올라 운행 중이던 시내버스와 충돌하여 기사와 승객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맨홀뚜껑은 40kg의 철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갑자기 튀어올라 사람이나 기물을 덮친다면 상상보다 훨씬 심한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분석 결과, 시간당 50mm의 집중호우가 강남역에 유입됐을 경우에는 맨홀뚜껑이 불과 41초만에 지상으로부터 27cm 가량 튀어 오르면서 50cm에 가까운 높은 물기둥을 내뿜고 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험결과 집중호우로 인한 맨홀 뚜껑의 역류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 보행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산사태와 하천범람 등의 자연재해가 우려될 때는 먼저 몸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라디오나 TV를 통해 기상예보와 특보상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40AB64753CF580D31

<강풍예보시 유리창 파손을 위해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집중호우 발생시 예방법


노후시설물은 미리미리 보수해 놓아야 합니다.

강한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을 단단히 고정하고 집 주변 배수구를 점검해 막힌 곳을 뚫어주어야 합니다. 태풍 예보 시 유리창 파손을 막으려면 테이프와 젖은 신문지를 붙이는 것이 좋지만, 태풍이 심하게 불 때는 창문 가까이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상습 침수지역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사전에 알아둡니다.

상습 침수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 방법을 미리 알아두어야 합니다. 거주지역이 수해 상습지구·고립지구·하천범람 우려지구 등 피해 우려지역에 속하는지를 파악하고 지정된 학교 등 대피장소와 헬기장 위치를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농어촌 지역은 농수산물 피해 없도록 배수로 점검 및 모래주머니를 준비합니다.

농촌지역 주민들은 농업시설물과 경작지 용·배수로를 정비해 물 빠짐을 원활하게 하고, 모래주머니를 준비해 놓아 비상시에 하천물이 넘쳐 흐르지않게 대비합니다. 비닐하우스와 인삼재배시설은 바람에 날아갈 것을 대비해 단단히 묶어둡니다. 특히 비닐하우스는 낮은 강도의 태풍에도 쉽게 망가져 피해가 커지니 더욱 신경을 써야합니다.

 

해안지역은 어망과 어구를 미리 철거하고 선박을 대피해 둡니다.

태풍·호우 시 어업활동을 중단하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야 합니다. 배의 파손 부분을 사전에 보수하고 통신장비와 항해장비·구명장비가 튼튼한지 점검합니다. 대피선박에는 고무타이어를 충분히 부착하고, 어망과 어구는 태풍이 오기 전에 미리 철거해서 피해를 줄여야 합니다.


공사 작업을 중단하고 파손 우려가 있는 기자재를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태풍이 불어오거나 장마비가 심하게 해닐 때는 공사 작업을 즉각 중지해야합니다. 또한 떠내려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는 기자재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위험한 공간에 인부들이 노출되어 있는만큼 인명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취약요인에 대한 정비를 해서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이동중 태풍을 만나면 신속히 안전지대로 대피합니다.

보행자는 태풍이 불어 천둥이나 번개가 칠 때는 전신주와 큰 나무 밑을 피해 큰 건물 안으로 대피합니다. 하천변에 세워두거나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 지하공간에 주차한 차량은 침수에 안전한 고지대로 이동시키세요. 물이 가득한 곳에서 차량을 운행할 때는 저단기어로 맞춰놓고 운전하고, 물에 잠긴 도로나 잠수교 등은 피하고 평소 잘 아는 길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등산 중 호우를 만나면 서둘러 하산하세요.

태풍·호우 시 등산객은 하산을 서두르거나 급히 높은 지대로 피신해야 합니다. 물살이 거세 휩쓸릴 위험이 큰 계곡 근처에는 가지 않는 것이 좋아요. 강가 근처에서 야영을 하거나 낚시를 하던 중에는 물건 에 미련을 두지 말고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매 해마다 집중호우의 피해는 점점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늦은대책은 실효성이 없습니다. 우리모두 다가오는 장마철, 사전에 안전점검을 스스로 실시하여 태풍과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난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도록 합시다. 재난재해를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 할 수는 있습니다!

출처: https://mopasblog.tistory.com/11811368 [행정자치부 블로그:티스토리]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87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30 일상 아래 일정데로 하면 대략 어느정도 금액이 들어갈까요? 댓글3 야남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3 7189
3829 기타 르바란 기간중 오토바이로 잘란잘란 같이 하실분 댓글6 바이크몰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21 5019
3828 일상 어제 있었던 에피소드 댓글3 ondalk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2 5594
3827 일상 안녕하세요~인도네시아 초보 25세 여성입니다. 댓글26 미니천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14 6700
3826 일상 인도웹 쉼터는 물먹는 하마 인가요... 댓글11 bahen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5 5587
3825 답변글 기타 Re: 서울 영동고 보스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28 7847
3824 일상 (제안)교민,교포라는 단어 대신 동포 또는 한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자 댓글4 버섯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1 4994
3823 일상 한국인을 위한 사이버 커뮤니티 인도웹의 위력.... 댓글2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4 5699
3822 기타 저안에 뭐가 있다냥?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29 1913
3821 일상 중고 피아노 구합니다! 댓글1 73122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6 11233
3820 일상 ezfile.in 이용 하시는 분~ 댓글2 소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30 5390
3819 유머 미끄럼틀 타는 골든리트리버 강아지 표정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26 4464
3818 일상 간다리아에서 유식한척...........우!!이!!씨!! 댓글5 인드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16 7265
3817 뉴질랜드 남섬의 밀포드 사운드, 사진으로 말하다. 첨부파일 NZ홍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26 3260
3816 일상 보관 하시였다 시간 나실때 읽어주세요 ^^ 나루터마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6 4307
3815 일상 벼룩시장에 원화를 루피아로 교환요청이 왜 그렇게 많은가요? 댓글8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0 6772
3814 기타 한국 평창동계 올림픽 생중계 볼 수 있는 곳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18 3861
3813 일상 세무행정 강화 댓글2 찌까랑C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3 3871
3812 유머 나혼자산다 박나래 행복도우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20 4390
3811 일상 한성파라볼라 실시간 위성TV 시청가능 댓글8 방프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3 7161
3810 기타 한국어 가능한 직원이 필요하시면 연락 주세요. 세종한국문화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1 3124
3809 일상 자주 즐겨듣는~~~꺄오 댓글7 첨부파일 나르키수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13 5387
3808 유머 안전불감증 저리 비켜! 국내 최초 종합안전체험관 개관! mvp7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02 2373
3807 일상 혹시 네비 판매하시던 "인드라"님 연락처 아시는지요.. 홀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3 3393
3806 기타 900마리가 넘는 유기견들이 지내는 곳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23 2311
3805 일상 한인회 자게판에 올린 글입니다 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8 4435
3804 백종원의 지적도 마냥 좋은 사장님 세현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01 7046
3803 일상 글쓰기를 허용하심에 감사드리며 한인회 홈피에 올린 글을 인용합니다 댓글1 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2 5038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