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잡동사니 버리기 십계명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08)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잡동사니 버리기 십계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3.14) 작성일13-02-19 23:56 조회4,117회 댓글5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01704

본문

 


잡동사니 버리기 십계명



세상에 잡동사니가 얼마나 많기에 그것만 전문적으로 치워주는 사람이 생겼을까? 
여럿이 모여 잡동사니 중독을 치유하는 재활 프로그램이 생겼을까? 
우리나라에도 있는지 모르겠는데 미국에는 다 있다. 

그런 전문가가 책을 한 권 썼는데 결코 바다 건너 남의 얘기가 아니다. 미국 최고의 잡동사니 처리 전문가라는 "브룩스 팔머"... 그는 10년 넘게 남의 집과 사무실, 차고 등에 쌓인 잡동사니를 버리는 일을 도와온 베테랑이다. 

◇ 나는 값비싼 쓰레기통 속에서 산다.

그는 어떤 집을 막론하고 그 집 물건의 75%는 쓸 데 없는 잡동사니라고 장담한다. 그리고 이 잡동사니는 마음을 어지럽히는 심리적 잡동사니의 산물이라고 규정한다. 

우리 마음의 75%는 잡동사니로 채워져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 세상 물건의 75%, 우리 인생의 75%도 잡동사니라면 지나친 비약일까? 
맙소사! 만약 그렇다면 나는 거대하고 값비싼 쓰레기통에서 뒹굴고 있는 게 아닌가? 거꾸로 말해서 내가 잡동사니를 치운다면 그것은 내 마음과 세상의 쓰레기를 치우는 대단한 일 아닌가? 

브룩스 팔머는
'우리는 술이나 마약처럼 중독성이 강한 잡동사니에 중독돼 있다.'

고 말한다. "우리는 어떤 물건을 갖고 싶을 뿐"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실은 무의식적으로 그 물건이 선물하는 느낌을 갈구한다. 그런 느낌 속에 들어 있는 마약 같은 성분을 찾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물건 안에 행복, 즐거움, 열정이 녹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건 오산이다. 우리는 소유물과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데 혈안이 돼 있으며, 그 물건이 자신의 참모습을 대변한다고 생각한다." 
<브룩스 팔머:잡동사니로부터의 자유> 

당신은 이런 진단에 동의하는가? 나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래서 그의 훈수대로 내 안팎의 잡동사니를 좀 더 시원하게 털어버리려고 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잡동사니일까? 막상 버리려 하면 멈칫하고 들었던 손을 놓게 만드는 잡동사니! 그것의 질긴 유혹에 넘어가지 않기 위해 미국 최고 전문가의 가르침을 열 가지만 추려본다.


◇ 이른바 '잡동사니 버리기 10계명'이다.

1. 육체적으로든 심리적으로든 무엇인가 어색하고 거북하다고 느껴지면 그 물건을 버려라. 

2. 어떤 물건이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 결정하는 데 우물쭈물한다면 그것은 잡동사니다.

3. 1년 동안 한 번도 쓰지 않는 물건은 잡동사니다.

4. 물건이 비싸다는 이유로 버리지 못하고 붙들고 있다면 그것은 잡동사니다.

5. 사진들은 대부분 잡동사니다. 살아있는 순간으로 가득한 사진들만 간직하라. 

6. 만일 어떤 물건이 잡동사니라는 첫인상을 받는다면 그것은 잡동사니가 확실하다. 첫인상은 틀리는 법이 없다.

7. 트로피처럼 '소중하다'는 이유만으로 간직하고 있는 물건들은 눈 딱 감고 버려라.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기 위한 물건을 간직하는 것은 시간낭비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다. 

8. 과거가 지금 이 순간보다 특별하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물건, 그때만큼 좋은 시절이 없었다고 옛날을 그리워하게 만드는 물건은 무엇이든 버려라. 현재의 인생이 중요하다는 진리를 일깨워주는 물건만 남겨라.

9. 망가져서 고칠 수 없는 것이나 고치고 싶지 않은 물건은 무엇이든 버려라. 

10. 잡동사니는 접착성이 탁월하다. 겹겹이 쌓여 있거나 뒤엉켜 있는 물건들을 주목하라. 그런 물건은 전부 잡동사니일 가능성이 높다. 



◇ 청소에도 수준이 있다.

둘러보면 나에게도 잡동사니가 수두룩하다. 나름 열심히 비우면서 살려고 하는데도 그렇다. 아직 멀었다. 
잡동사니를 버리고 가볍게 사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내 마음의 쓰레기도 같이 치워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간디가 존경한 수제자이자 동지였던 비노바 바베. 그는 쓰레기 치우기를 영적인 차원으로 해석한다.

주변에 널린 쓰레기를 그냥 두지 못하는 사람은 자기 내면에 있는 쓰레기도 참지 못하므로 치워버리고픈 강렬한 충동을 느낀다. 이것이 바로 영적인 충동이다. 

그에 따르면 청소하는 것도 수준이 있다. 처음에는 어지간하고, 조금 지나면 깨끗해지고, 다음에는 아름다워지고, 마지막에는 성스러워진다는 것. 그는 "어지간함에서 깨끗함으로, 아름다움으로, 성스러움으로 나아가는 것은 외적 청결 뿐 아니라 내적인 청결도 마찬가지"라고 가르친다. 

정말 그렇다. 치우고 치우고 또 치우면 그것은 수행이 된다. 성스러워진다. 그런데 우리의 솔루션은 정 반대로 간다. 어떤 잡동사니도 버리지 않는다. 다 담아 낸다. 요즘 아파트들의 수납공간은 거의 마술이다.

주방, 화장대, 신발장, 베란다, 화장실, 드레스룸, 다용도실 곳곳 구석구석 어떤 잡동사니도 다 담아낼 정도로 많은 공간을 만들어낸다. 한뼘도 빈 곳이 없다. 모두 활용공간이다. 어떻게 그런 아이디어를 떠올렸는지 감탄이 절로 나온다.

한 건설사는 자기들만의 혁신적인 수납시스템이라며 이름까지 '채움 2030'이라고 지었다. 버리지 말고, 어지럽히지 말고, 잘 채우세요! 이런 뜻이렸다.

잡동사니와의 전쟁은 비움이 아니라 채움으로 이길 수 있을까? 매직 공간에 차곡차곡 채운 잡동사니는 아마 거기서 또 몇년을 지낼 것이다. 그 사이 잡동사니는 더 늘어나고, 기존의 공간들을 잠식할 것이다. 그러면 더 많은 수납공간이 필요하고, 이것도 한계에 다다르면 더 큰 집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는 잡동사니를 사들이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하고, 그것을 담아내기 위해서도 돈을 벌어야 한다. 이래저래 몸은 고단하고 마음은 산란하다. 나는 결국 값비싼 쓰레기통 속에서 산다. 


◇ 잡동사니여 안녕~

그러니 잡동사니는 채우지 말고 비우자. 나는 작별행사를 해보려고 한다. 태우기다. 자질구레한 내 과거의 흔적들을 하나씩 태우는 것이다. 

장소는 해 저무는 들판이나 강가 같은 곳이 좋겠다. 거기서 떠나간 옛 사랑의 연애편지들도 다 태우련다. 이런저런 사진과 수첩, 기념품들도 다 태우련다. 하나씩 태우며 작별인사를 한다. 그러면서 내 마음의 때도 씻어낸다.

그 다음엔 이런저런 세간들을 한 번 더 솎아 버린다. 그리고 더 이상 잡동사니가 나에게 달라붙지 않도록 사주경계를 철저히 한다. 각오가 너무 막연하면 안 되니까 조금 더 구체적으로 원칙을 정해보자.


1. 먹는 것: 다 먹으면 사세요. 
2. 냉장고: 텅 비면 넣으세요. 
3. 신발: 다 닳으면 사세요. 
4. 생활용품: 다 쓰면 사세요. 
5. 옷: 다 떨어지면 사세요. 사실 옷은 죽을 때까지 입어도 될 만큼 있다. 
6. 책: 빌려 보세요. 머릿맡에 두고 평생 읽어야 할 것 같은 책만 사세요.


같은 논리로 하면 집은 어떨까? '비우고 비워도 도저히 공간이 안나오면 키우세요.' 이런 식일 텐데 나에게 아마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역시 경계해야 한다. 

조그만 방심해도 순식간에 잡동사니가 들어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집이 마치 냉장고 같다. 썩지 않는다고 꾸역꾸역 넣어 두고 평생 사는 식이다. 거기엔 도무지 유효기간이 없다. 

무조건 쟁여 놓고 나중엔 어디에 있는 줄도 모른다. 냄새가 역하게 배어도 썩지는 않았다며 버리지 못한다. 지구와 환경에게 미안하다. 없이 사는 사람들에게 죄송하다. 나는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에 집착한다. 그러나 만족할 줄 모른다. 그래서 다른 것을 탐하고, 그것을 가지면 또 다른 것을 탐한다. 나는 평생 그와 같은 게임을 한다. 그것이 근심과 걱정을 만든다. 스트레스를 일으킨다. 지금 이 순간의 행복을 잡지 못하게 한다. 불행해지는데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한다.

하나는 원하는 것을 갖지 못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원하는 것을 모두 갖는 것이다. 그러니 어떻해야 하나? 방법은 한 가지, 원하는 것을 줄이는 것이다. 사방에서 나를 옥죄고 있는 잡동사니도 이것저것 닥치는대로 소유하려는 잡식성 욕망의 산물이 아니던가.

마지막으로 잡동사니 전문가 브룩스 팔머의 당부를 한 번 더 마음에 새겨보자. 

"당신은 부족한 게 없다. 오히려 모든 게 넘쳐난다.
이제 가진 것을 줄이고 줄여서 정말 필요한 것만 남길 시간이다. "

더 고수의 말씀이 필요한가. 
다음은 평생 '無所有'의 화두를 놓지 않으셨던 法頂 스님의 당부다.

"버리기는 아깝고 지니기에는 짐이 되는 것들은 내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필요한 사람들에게 넘겨주어야 합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8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942 일상 <416 자카르타 촛불행동 창립 출범식 및 (정)회원 모집 안내> LukeJ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07 9744
3941 일상 빛나는 얼음공주는 한국의 자존심 댓글1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30 4287
3940 일상 그냥 인도웹을 보다가.. 댓글3 죠니2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02 4592
3939 일상 telkom SMS조심 댓글9 seja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26 4863
3938 답변글 기타 Re: 발랜타인 21년 산 청국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05 2706
3937 일상 인도네시아 해외영화상영 댓글3 tyflow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8 4504
3936 기타 Jakarta 여자 룸메 구합니다~ 댓글1 dreamak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05 3250
3935 일상 인도웹 설문지 팝업에 대하여 댓글2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2 6296
3934 노하우/팁 인도네시아 토질에 쇠붙이가!? 댓글3 첨부파일 wltn129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26 3947
3933 일상 자동차 도난 극성!! 자동차 도난 방지하려면..... 댓글4 방프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7 5637
3932 일상 23개월 장티푸스 예방접종 댓글3 곰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8 6821
3931 리뷰 한국에서 건강검진 할인 받는 법 알려드릴게요! 첨부파일 suc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7 3191
3930 일상 궁금합니다. 댓글9 ca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18 3645
3929 일상 땅그랑.jkt 20.30.40대 술모임.운동.취미동호회같은건 없나요? 댓글3 sinzo8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0 4422
3928 일상 배우자 스폰 체류허가 문의 댓글2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4 6432
3927 일상 [펌] 리명박을 지지한다? 댓글17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9 4537
3926 기타 한국방송 Star TV (TV Pad) 사기 조심하세요 Manu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15 3780
3925 일상 맛있는 공연 비밥? 댓글1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5 4181
3924 일상 예쁜 바디라인 요가 동작 indoindo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16 2724
3923 일상 아파트 임대료에 대해 댓글3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13 6041
3922 노하우/팁 해외에서 드라마, 쇼, 영화 무료로 볼수있는 웹사이트 모음 foreverlov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19 11173
3921 일상 "통영의 딸 구출운동", 외국 거주자로서 남의 일이 아니네요. 우리… 하늘신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2 4648
3920 일상 패 죽이고 싶은 어글리 코리언 댓글16 개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30 7616
3919 유머 잠수를 즐기는 골든리트리버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03 3463
3918 일상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댓글6 방프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15 4521
3917 일상 새우젓? 댓글8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4 6276
3916 기타 단편영화 해시태그 SNS부작용~ 클래스넘버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30 3165
3915 일상 내려 갔나요? 댓글1 용태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04 363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