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인도네시아의 독립영웅 양칠성, 그는 누구인가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23)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인도네시아의 독립영웅 양칠성, 그는 누구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90.224) 작성일14-04-02 10:52 조회7,172회 댓글2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59851

본문


민족해방 위해 싸운 조선인 출신 인도네시아 영웅 - 오마이뉴스에서 '펌'
1975년 11월 인도네시아 가룻 영웅 묘지에 세 명의 일본인이 인도네시아 독립영웅으로 추대되어 재매장되었다. 이들은 모두 1949년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를 상대로 독립전쟁을 벌일 때 네덜란드 군에 의하여 총살된 사람들이다. 

그런데 그 중 한 명의 분골용 관은 인수할 사람조차 없었다. 아무도 유족들에게 연락을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인이 아닌 조선인이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일본의 유족들에게만 연락을 취했다. 한국 정부는 무심했다.

그의 이름은 양칠성. 고향은 완주 삼례. 일본식 이름은 야나가와 시체에이, 인도네시아 이름은 코마르딘이었다. 인도네시아 이름이 독특하다. 코마르딘, 그 의미는 '인도네시아를 비추는 달'이라고 한다. 인도네시아 주민들이 붙여준 이름이다. 그의 묘비는 1995년이 되어서야 한국인 양칠성으로 바뀌게 된다. 

조선과 인도네시아 독립을 위해 싸우고 네덜란드군에 총살당하다

그의 인생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놀라움의 연속이다. 그는 일제하 군무원으로 인도네시아에 배치되어 포로감시원으로 근무했다. 당시 조선인 군무원들은 인도네시아에서 고려독립청년당을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양칠성도 필시 관여했을 것이다. 고려독립청년당원들 중 12명이 2008년부터 순차적으로 한국 정부에 의하여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었다.

양칠성의 죽음을 가족들에게 알려준 것은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이었다. 1975년 독립영웅 추대식에 참석했던 우쓰이 아이모, 무라이 요시노리씨가 1978년 여동생에게 전한다. 어머니는 이미 1966년에 돌아가셨다. 돌아가시기 전 매일같이 아들이 귀향열차를 타고 돌아올지 모른다고 하면서 전주역에 나가셨다고 한다.

일본의 양심적인 지식인 우쓰이 아이모, 무라이 요시노리씨는 이 이야기를 1980년 <도하 조선인의 반란>라는 이름으로 출판했다. 한국어판은 <적도에 묻히다>라는 제목으로 2012년에 나오게 된다. 

인도네시아의 독립영웅 양칠성, 그리고 한국의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고려독립청년당 당원들. 이들은 전쟁과 식민의 시대, 독립과 해방의 시대에 우리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을 겪으면서도 민족해방, 인간해방이라는 인류의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쳤다.

이들이 겪은 개인적인 고민의 뿌리는 정체성일 것이다. 민족적 정체성이 이들을 가장 괴롭혔을 것이다. 이들은 조선인이었다. 고려독립청년당을 결성할 정도로 조선의 독립을 원했던 이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다른 한편 일본군 군무원으로서 연합군 포로를 감시했다. 연합국의 입장에서 보면 전범이다. 이런 이유로 이들 중 일부는 실제로 B,C급 전범으로 처벌받는다.

민족적 정체성을 넘어 민족·인간해방이란 인류 보편의 가치로

한편,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는 일본인, 인도네시아인과 함께 네덜란드 군대와 전투를 벌인다. 인도네시아를 지배했던 일본 제국주의 군인, 식민지 피압박민중인 인도네시아인, 조선인이 함께 군대를 조직한 것이다. 독립전쟁의 상대방인 네덜란드는 일본을 상대로 전쟁을 하여 승리한 반파시즘 연합전선의 일원이다. 

한마디로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의 편이었다. 그런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일본과 싸웠던 조선인 청년이 일본인과 손잡고 네덜란드와 싸우게 된다. 이쯤 되면 누가 옳고 누가 정의인지 알 수가 없다. 좁은 편가르기 시각, 좁은 민족적 시각으로는 도저히 판단할 수 없다.

문제 해결의 유일한 방법은 바로 인류 보편의 가치에 있다. 인류 보편의 가치는 착취와 억압이 없는 세상, 모두가 평등하고 자유로운 상태인 민족해방, 인간해방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시각이 없었다면 양칠성은, 그리고 고려독립청년당원들은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위해서 총을 들고 싸우지 못했을 것이다. 이러한 대의 앞에서는 민족적, 인종적, 문화적, 종교적, 계급적 차이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직도 사라지지 않은 과거의 식민과 독립의 아픈 역사는 이러한 인류 보편의 가치를 통해서만 치유될 수 있다. 좁은 민족적 시간, 좁은 경제적 이해관계로는 해결할 수 없다. 너무 단기적이고 너무 투쟁적이고 너무 계산적이기 때문이다. 민족해방, 인간해방을 위해 싸웠던 이들, 인류의 자유와 인권, 평등과 평화를 위해 싸웠던 진정한 국제주의자들이 소중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물론 가해자의 철저한 반성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말이다. 

국가권력 피해자의 번역- 역사(歷史)는 역자(譯者)를 통해서도 이어진다

조선인 군무원 이야기를 추적한 일본 책 '적도에 묻히다'는 김종익씨가 번역했다. 김종익씨가 누구인가? 그 역시 국가권력의 피해자이다. 그는 2008년 KB한마음 대표이사로 재직하던 중 이명박 정부의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민간인 불법사찰을 당했다. 그로 인하여 대표이사직을 강제 사임하고  지분을 강제로 이전했다. 

개인적으로는 문재인 의원과 함께 진행한 검찰개혁 콘서트에 나와 검찰의 피해자로 증언해 주신 인연이 있다. 같이 이야기를 나누면 밤을 새울 정도로 풍부한 교양을 가지고 있다. 그는 민간인 사찰의 피해자가 된 이후 몹시 괴로운 인생을 보냈다. 자살까지 생각할 정도였다고 스스로 말한 적이 있다.

정리해야 할 과거의 역사를 현재의 피해자가 번역했다는 것은 우연일 수 없다. 김종익씨의 풍부한 인문학 소양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무엇인가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필시 인류 보편의 가치, 인류의 자유와 인권, 평등과 평화가 이들을 이어주는 것이리라. 또한 좋은 역사(歷史)는 좋은 역자(譯者)를 통해서 이어지기도 한다는 사실을 새삼 떠올린다.

* 양칠성 (梁七星, 일본식 이름: 일본어: 梁川七星 야나가와 시치세이인도네시아어: Komarudin1919년 5월 29일 ~ 1949년 8월 10일) 은 인도네시아의 독립에 공헌한 한국인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전라북도 전주군 삼례면 삼례리(현 완주군 삼례읍)에서 태어났다. 그는 태평양 전쟁 중이었던 1942년일본 남방군에 입대하여 1945년까지 자와 섬 포로 수용소의 감시원으로 있었다.  

1945년이후 조선에 돌아가지 않고, 인도네시아에 남아서 네덜란드의 재식민지화 정책에 대항하 던 인도네시아 독립군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가, 1948년 11 부대원들과 산에서 게릴라전을 모의하던 도중, 네덜란드 군에 체포돼 1949년 8월 주민들이 보는 앞에서 총살되었다. 

그의 공적은 그가 사망한 지 26년 만인 1975년 11, 인도네시아 군의 고위 장성이 된 옛 독립 운동 동료들의 노력으로 세상에 알려졌으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그를 외국인 독립 영웅으로 공인하였다. 양칠성은 현재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위치한 칼리비타 국립 묘지에 안장돼 있으며, 현재 그의 묘비에는 KOMARUDIN YANG CHIL SUNG, KOREA 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7건 8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41 일상 오늘 가입하였는데 포인트가 필요한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난감하네요 댓글5 그겨울의찻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26 4731
6040 인스타그램에 최다 업로드된 뉴질랜드 명소 NZ홍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18 2184
6039 일상 내가 여행한 곳 중 가장 아름다웠던 곳 댓글5 JYSe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24 5999
6038 일상 친구를 찾습니다. kapi7b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30 5039
6037 일상 이란에서 드라마 '주몽' 시청률 85% 돌파! 댓글1 이민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17 4842
6036 일상 도움주실분계신가요? sth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17 3437
6035 일상 은근 중독성이...-ㅅ-;; kecanduan. 댓글2 elys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3 4027
6034 리뷰 전자담배 펴봤는데 첨부파일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20 4076
6033 일상 백두산처럼 폭발하는 한류의 기세! 댓글1 이민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2 4214
6032 기타 세종한국문화원 한국어 교사 자원 봉사 모집 안내 세종한국문화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1 2969
6031 일상 인터넷 소비자 불만글 올렸다고 중형 때리는 인도네시아 법 댓글3 pempe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14 5593
6030 찜통더위 남성꿀템.gif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12 3268
6029 일상 답답도 하고 깝깝도하고... 주절이 주절이 댓글5 블링블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1 5888
6028 유머 놀라운 모래조각 아트 장인들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22 2205
6027 일상 한인회 행사...관련 댓글4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8 5219
6026 유머 강심장만 건널 수 있다는 중국의 유리다리 깨지는 장난 ㄷㄷ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02 9039
6025 일상 단식이란 댓글2 FrizFrele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1 5611
6024 일상 8월29일~9월3일 자카르타 같이 돌아다니실분..? 댓글4 bobbob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3 5565
6023 기타 카메라에 잡힌 천둥번개의 순간들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18 6946
6022 일상 전화걸기에서 댓글4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16 5710
6021 감동 고양이를 키우는게 꿈이였던 소녀, 고양이를 보자 보인 반응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25 2568
6020 답변글 일상 현지 직원을 뽑을 때 조심하세요.. 생명에 위협을 느꼈습니다. 댓글9 Leopar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7 6766
6019 유머 고대 그리스 일자 눈썹 요즘 트렌드? indoindo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31 6262
6018 일상 방귀가 잦으면 x싼다더니...ㅋㅋㅋ 댓글3 토리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7 5805
6017 유머 눈 속에서 신난 강아지들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12 3234
6016 일상 이명박 대통령 세계평화에 기여한 공로로 세계지도자상 수상.. 댓글2 첨부파일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1 3596
6015 기타 2018 상반기 인기 신용카드 TOP10 댓글1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16 3651
6014 일상 까불지마라, 웃기지마라 댓글2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30 436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