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홍차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116)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홍차

페이지 정보

작성자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1.82) 작성일14-03-19 10:38 조회5,694회 댓글8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57856

본문

흔히들 (The) 인니어로 알고 있지만 떼는 인니어가 아니고 중국어 입니다.

한문으로 쓰면  , 우리는 다로 읽는 한자가 아시아에서 혹은 티로 발음되어 유통되었습니다.  

또는 떼는 둘다 과거 향료 무역시대 흔히 유럽에서 대항해 시대라고 불리우던 시절의 동남아시아에서 통용되던 중국식 발음에서 유래 합니다.

 

중국에서 차를 수입한 영국인은 초기에는 티와 떼를 혼용해 썻지만 지금은 Tea라는 말을 많이 쓰고 인디아와 인도네시아 지역에는 여전이 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한국에서는 이제는 . 라는 말은 문어체에서나 쓰고 구어체에서는 다들  차라는 말로 씁니다.

재미 있는 것은  혹은 차라고 다르게 발음하지만,  한자로 때는 라고 쓴다는 것입니다.  설날과 추석에 아침에 올리는 제사를 차례라고 하는데 차례를 차를 제사에 올린 것에서 유래합니다.

 

인도네시아인에게 차는 전통적으로 커피 보다 중요한 음료수입니다.

시골의 와룽에 가면, 예전 한국의 중화반점에서 엽차를 내놓듯이 일단 한잔을 내놓고 주문을 받습니다.

(갑자기 예전 중국집에서 주던 엽차잔이 그리워 지네요, 빗살무늬가 들어간 묵직한 엽차잔. 아버지가 특별한 사주시던 짜장면을 먹기 연탄 난로위에서 끓던 주전자에서 따라 주던 엽차 한잔과 옆차를 담은 묵직한 엽차잔)

 

우리가 인도네시아인의 집에 방문 , 잊지 말아야 예의는 주인이 주는 다과를 거절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남의 집에 가면 하다 못해 물이라도 한잔 얻어 마시고 나와야 집주인이 부끄러워 하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인도네시아인의 집에 가시거든 하다못해 냉수라도 한잔 얻어 마시고 나오셔야 실례가 안됩니다.

 

다시 얘기로 돌아와서, 가끔 이들이 마시는 차를 보면 경악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호프집의 맥주잔만큼이나 큰잔에 마시는 Es Teh Manis 과연 이것이 사람이 마시는 차인지 아니면 개미를 꼬드기기 위한 미끼인지 구분이 안갈 만큼 엄청난 설탕을 넣습니다.

바닥에 설탕이 녹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을만큼 설탕을 달달하게 넣고 마시는 이러한 취향은 시골로 갈수록 같습니다.

어릴적 컬러TV 보급되던 시절, 미원의 광고 처럼 적게 쓰면 맛이 나나 맛이…’ 이런 정신으로 설탕을 씹어 먹으라고 주는 건지 마시라고 주는 건지 알아 만큼 넣어 주는 달달한 이들의 한잔

 

기회가 되시면 KFC 맥도날드에서 이들의 주문을 한번 지켜 보십시오. 셋트 메뉴를 주문할 보통은 콜라나 사이다 보다는 병에 보톨을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극적인 탄산음료 보다는 달달한 병에 홍차를 즐기는 이들은 어쩌면 이들의 성격만큼이나 자극에 반응하는 것이 느긋한것 아닌가 싶습니다.

이들의 식문화를 보면서 이들의 성격만큼이나 재밌다는 생각을 합니다.

아주 뜨거운 것도 아주 차가운 것도 별로 안좋아하고 뜨뜻미지근하게 불분명한 성격 .

 

세계시장에서 인도네시아의 차는 아직 커피만큼 막강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인디아,스리랑카,중국, 케냐가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그뒤을 따르는 그웁에  속합니다. 한국은? 세계 시장에서 품질에서나 물량에서 명함도 내밉니다.

인도네시아의 산업은 과거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 커피와 함께 동인도회사의 주요 취급품이었습니다. 영국인이 인디아의 아삼지방에서 재배를 시작한 나무를 얻어와 인도네시아의 차재배가 시작된 차는 현재 세계 수출국 10위권 안에 정도로 큽니다.

중국은 차를 가장 많이 생산하고 2 스리랑카의 7 가까운 차를 생산하지만 정작 수출은 스리랑카에 미칩니다. 재배도 많이 하지만 마시기도 엄청나게 마시는 나라니까요.

여기서 잠깐 화교와 교류가 많은 분들을 위한 한가지

인니의 화교는 상당수가 복주출신입니다. 한국의 화교가 산동성에서 건너 것에 반해,

싱기포르와 말레이 화교는 복주출신이 주류를 이룹니다

우롱차 계열의 차를 주로 마십니다. 물론 젊은층은 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점점 늘지만 어느정도 사회적 지위가 있고, 벼락부자가 졸부가 아니라면 차는 여전히 중요한 사교의 수단입니다.

차는 보통 집주인 끓여서 대접합니다. 주방에서 끓여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손님 앞에서 찻물을 끓이고 찻잔과 주전자를 데워서 손님에게 접대 합니다.

아랫사람을 시키지 않고 자신이 손님을 위해 준비하는 만큼 이는 주인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면 주인은 좋아 합니다.

잔은 손님 앞에 놓고 첨잔을 하며, 잔에 차를 따를 잔을 드는 것은 예의가 아닙니다. 술잔이 아니니까요. 잔을 따를 때까지 찻잔에는 손을 대지 않고 주전자가 바닥에 내려지면 잔을 들어 마십니다.

감사의 뜻으로 고개를 숙여도 되지만 보통은 보통은 테이블을 손가락(중지)으로 두번 정도 두드립니다. 손은 자신의 몸을 중지는 머리를 의미하며 머리를 땅에 조아려 감사를 표시함을 상징합니다.

첨잔을 하므로 마시기전에 따라주기를 반복합니다.

 

물론 이런 차의 예절은 자카르타 이외의 화교밀집 지역일 수록 강하게 남아 있고, 특히 메단쪽 화교들은 예절에 많은 신경을 씁니다.

음식은 하나의 문화이고 기억이고 아련한 그림움입니다.

우리가 어릴적 먹은 짜장면 맛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의 추억을 기억합니다.

지금이야 짜장면을 먹는 것이 그리 대단하겠습니까만은 어릴적 한국에서 짜장면은 시험에서 100점을 맞아올 때나 사주시던 음식이고, 아버지가 명절 떡값을 받아야 있던 것이 전기구이 통닭이었었습니다.

 

우리는 과연 미지근 인도네시아 홍차에 어떤 추억을 만들어 있을까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리비님의 댓글

리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2.♡.6.150 작성일

어제 업뎃된거 봤는데, 결국 못 읽었는데...

오늘 출근해서 읽고, 전혀 몰랐던 새로운 사실을 알고 무거운 아침이 한결 즐거워졌습니다~

덕분에 아침을 즐겁게 시작하게 됬습니다~

좋은글 고맙습니다,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

댓글의 댓글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7.♡.1.82 작성일

그냥 쬐그마한 공장에서 일하는 한국 사람 ㅋㅋㅋ
뭐 대단한 일을 하거나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은 아닙니다.

무대포님의 댓글

무대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57.178 작성일

Jawafrog님의 이번 연재글을 모두 모아 책을 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좋은 교과서가 될수도 있을것 같고요.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별나리님의 댓글

별나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39.♡.45.225 작성일

좋은글 잘보았습니다..다음 이야기도 기대하겠습니다...
우리애들은 자라서 음식에 관한 추억이 어떤게 될련지..
20살 갓넘은 저희 아들은 아빠랑 낚시 갔다오면서 먹었다는 순대국이야기를 가끔합니다,,10년도 전의 일인데..

응삼이님의 댓글

응삼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2.♡.119.152 작성일

인도네시아 차  품질이  상품은 안보입니다 솔직히 하급 등급 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기후조건이 나쁘달수는 없지만 역시 관리와 상품 처리 능력입니다 인도네시아인은  커피와 차에 얼음    설탕에 섞어 버리면서 모두 음료수로  만들어 버립니다
식당에 가면 마실것 주문 하라 합니다    싸게 먹으려해도 음식은 3만 루피아 해도 음료수는  만 만오천 루피아 하지요
 결국 오만 루피아  세금 뭐해  6만돼도 한국음식보다 질 품질이 뭣합니다  저가로 부가가치 올리는 품목이랄수 밖에 없지요.. TWG처럼 좋은차 마셔 보려 해도 별로 없더군요 퍼시픽 플레이스 일층에 좋은 차집이 있긴 하더구만요..
인도네시아서 좋은것 마시려면 한국보다 비싸게 지물해야하는 생활수준의 차이... 수입품은 비싸서..

댓글의 댓글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7.♡.1.82 작성일

차 수출이 전체 수출의 70%를 차지 할 만큼 국가에서 비중이 큰 스리랑카나 중국차의 역사가 인류의 차 역사라고 할 만큼 오래되고, 차가 음료수인 중국과 비교 자체가 무리죠
탄자니아가 5대 차 수출국이지만 한국에서 탄자니아 차를 보신 적이 있나요? 물론 베트남차도 한국에서 마찮가지 입니다
인도네시아의 다원은 2차 대전 중 사실상 버려진 채로 방치되었고, 차 생산이 본격적으로 시작 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 집중적인 산업화가 시작되었습니다.
2차 대전 직후 일본의 종합상사에 의해 관리되고 육성된 커피에 비할 바가 아니죠

인도네시아에서 차는 일상입니다. 당연히 저소득 국가에서 저가의 대량소비를 목적으로 한다면 품질의 저하는 감수해야 합니다.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5건 77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107 노하우/팁 IB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gongma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2 7440
4106 일상 좋은 친구 많아야 장수한다. 댓글2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03 3161
4105 일상 안녕하세요,한국에서 마스크 및 다양한제품 수출하고있는 업체입니다. 디엠에스트레이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5 13068
4104 일상 가족 사우나(완죤 싸고 좋음)와 심빠띠끼리 공짜 전화 방법 댓글13 바람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16 6329
4103 일상 조금은 멀지만 그래도 반가운 소식 댓글2 드렁큰티라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02 5132
4102 노하우/팁 피부과 의사들이말하는 피부관리 비법 첨부파일 김성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5 12553
4101 일상 인니어 결코 쉬운 언어가 아닙니다 댓글36 행복예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15 8577
4100 일상 자카르타에서 서울까지 특급 우편 비용과 시간알고 싶어요 기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2 5661
4099 일상 족자 쁘람바난 사원의 비밀.... 댓글13 발리어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25 4673
4098 일상 기억속에 넣고 싶은사람 댓글1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3 3101
4097 기타 (22년 1월 8일 마감)재외국민 투표 신청하세요 세자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0 8229
4096 일상 터키를 왜 형제국이라 하는가? 댓글10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9 4469
4095 기타 발리 4성급 호텔 매장에서 물건 판매 희망하시는분 ....... 첨부파일 순수문화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24 6982
4094 일상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축구 경기 일정(한국시간) 댓글2 첨부파일 이수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21 3341
4093 감동 칭찬할때 쓰면 좋은 말 - 중현 royut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07 11130
4092 일상 스마트폰 관세 및 배송 관련,,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댓글6 족자지킴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1 3935
4091 노하우/팁 [세계대학백과]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Caltech) gongma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07 7972
4090 일상 장미무늬 자띠 16번지거 티테이블 oyo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9 3216
4089 일상 2023학년도 서울대학교 해외고 수시 입시 완전 정복 iik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13 4755
4088 일상 자띠 티테이블에 관심있으신분~~~ oyo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17 2878
4087 일상 강심장에서 언급됐던 과거 동엽신 에피소드 맘마미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30 3934
4086 일상 국내외 쇼핑몰 판매자 파트너를 찾습니다 HSGLOBALST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14 1448
4085 일상 인터넷 직거래 하다가 만난 황당한 사나이, 어이없음요 derk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7 4567
4084 기타 [국내외입시] 영미권 경영대학원 입학시험, GMAT이란? gongma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18 4052
4083 일상 퍼레이드 보는 아기ㅋㅋㅋㅋㅋㅋㅋㅋ 천상치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16 3029
4082 기타 뉴진스 x 무신사 NewJeans X MUSINSA 무신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2-20 3039
4081 일상 에세담배 인니에서 생산하나요? 댓글4 JAY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4 5150
4080 일상 여동생 때문에 미쳐버릴거 같습니다. 댓글2 derk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06 3892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