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사라져 가는것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445)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사라져 가는것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02.199) 작성일12-01-23 08:59 조회4,679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14889

본문


경북 의성군 성냥공장 아가씨는 직업이 없다(?).

지난해 발간된 ‘한국직업사전’에서 ‘성냥제조원’이라는 직업명칭이 삭제됐기 때문이다.아직 명맥이 유지되곤 있으나 직업으로 분류할 수 없을 정도로 종사자 수가 미미한것이 삭제의 이유라고 노동부측은 밝혔다.

성냥공장은 1886년 인천에 처음 생겼다.이후 1917년 인천시 동구 금곡동에 2,000여평 규모의 성냥공장 조선인촌(朝鮮燐寸)이 설립되는 등 지난 70년대 후반까지 전국적으로 300여개에 이를 정도로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성냥의 소비가 급격히 줄어든 데다 값싼 중국산 성냥과 라이터가 마구 수입돼 사양화 길을 걸었다.

62년 3월설립된 성냥협동조합도 84년 6월 문을 닫았다.

현재 성냥 완제품 생산공장은 경북 의성의 성광성냥,영주의 영화인천성냥,광주시의 광작성냥 등 전국에 3곳이 고작이다.

이중 성광성냥이 규모가 큰 편이다.종업원수는 25명,연간매출액 6억원이다.경영난을 견디다 못해 50명이던 종업원을지난해 10월 반으로 줄였다.

그래도 일손이 남아돈다.9대의 기계중 2∼3대만 가동된다.그것도 오전만.

0-2-7.gif성광성냥은 70년대 후반 전성기를 누렸다.

주문이 밀려들었다. 일부 도매상은 제때 성냥을 공급받기위해 로비를 하기도 했다. 종업원이 200여명에 이르렀고 이마저도 모자라 의성읍 가정집에 일감을 나눠 주기도 했다.

50세이상 의성지역 주민중 성광성냥 월급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지금 먼지만 쌓여 있는 기계들도 그때 들여온 것이다.

지난 54년 성광성냥공장 설립 때부터 근무해온 손진국(孫晋國·65)사장은 “당시에는 집집마다 성냥이 필수품이었다.전기가 들어오지 않던 농촌에서는 물에 젖을까봐 신주처럼잘 모셨고 한 개비라도 아껴서 불씨를 지폈다”고 회상했다.

요즘은 일반 가정에서의 소비는 거의 없다.

이 공장의 매출액중 80∼90%가 식당,다방 등의 판촉물이다.

손사장은 “선진국에서도 성냥산업이 사양산업으로 분류돼있지만 결코 사라지지 않았다. 남은 생을 종업원들과 함께성냥을 만들며 마무리짓고 싶다”고 말했다.

life-306-8-2.jpg

인천의 성냥공장

40대이상 군복무를 한 대한민국 남자 치고 아마 "인천의 성냥공장"이란 노래를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노랫말을 누가 만들었는지는 몰라도 가사내용이 몹시 저속해 대놓고 부르기에 민망스러운 노래이다.

하지만 비속어가 통용(?)되는 군대라는 특수집단 내에선 6·25 이후 군인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불린 「애창곡」이었다.

군인들은 「우스개 말」이 담긴 이 노래를 부르며 피곤한 심신을 잠시 달래기도 했다.

'성냥'은 마치 우리 고유어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한자어. 즉 '석뉴황<石硫黃>'이 음운변화를 거쳐 '성냥'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life-306-8-4.gif우 리나라에 성냥이 들어온 것은 1880년 개화승 이동인(李東仁)이 일본에서 가져온 것이 처음이었으나, 일반인에게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은 한일합방 직후 일제가 인천에 ' 조선인촌(朝鮮燐寸) '이라는 성냥공장을 세우고 대량 생산을 하면서부터였다.

인천에 성냥공장이라는 말은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일제는 이후 수원, 군산, 부산 등 전국 각지에 성냥공장을 잇달아 설립했는데, 우리에게는 제조기술을 숨기고 일본이들끼리만 시장을 독점, 성냥 한 통에 쌀 한 되라는 비싼 값을 받아 착취의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니 매일 성냥을 만들면서도 성냥 하나 살 수 없었던 가난한 조선의 여직공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를 빼내고자 했던 것도 당연했을 성싶다.

사실 조선시대에도 성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작은 소나무 가지에 유황을 찍어서 딱딱하게 말린 "석류황(石硫黃)"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지금처럼 마찰에 의해 불이 붙는 것이 아니라, 이를 화로 속에 집어넣어야 불이 붙는 것이어서 사실상 큰 의미가 없었다.

하지만 선조들은 성냥에 대한 말의 표현이나마 일본식 표현인 인촌 '대신에 "석류황" 을 고집했고, 바로 이 말이 빨리 발음되다 보니 오늘날의 성냥 '으로 변하게 되었던 것이다.

지금은 라이터에 밀려 사양화의 길을 걷고 있지만, 성냥의 발명은 사실 인류에게 진정한 의미의 불을 가져다 준 셈이다.

성냥이 나오기 전까지는 불이 일단 꺼지면 부싯돌을 수차례 두드리고 나뭇가지를 힘들게 비벼대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던 것이다.

오죽했으면 과거 우리 나라에서는 불씨를 꺼뜨리는 며느리를 내쫓기까지 했을까?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6건 71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76 유머 여자들의 런닝머신 실패 영상모음 댓글1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7 3873
4275 일상 한국 vs 아르헨티나 스코어 예상 댓글12 shine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3 4665
4274 기타 문채원 유연석 주연 영화 그날의 분위기 재밌네요~ 댓글1 hli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06 3539
4273 일상 월드컵 사상 첫 원정16강 진출!!!!!!!!! 댓글4 후우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3 4704
4272 노하우/팁 잘나가는 선배들의 온라인 봉사활동 후기(꿈드림 프로젝트-번역기부 봉사… gongma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9 7180
4271 일상 Puncak safari의 고릴라 댓글3 첨부파일 코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1 6391
4270 일상 왕따 당하지 않으려면... 사알짝 쉬어가세요. II 댓글10 첨부파일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04 8300
4269 연예/스포츠 올림픽 축구 조편성, '1승' 한국 메달 가능성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05 3382
4268 일상 백기 항복 일본(2010 U-17 여자 월드컵) 댓글7 wwhit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6 6139
4267 [브랜드평판] 은행 브랜드 빅데이터 7월 조사...1위 국민은행, 2… ger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31 3000
4266 일상 이것은 불법 입니까..아니면 횡포 일까요? 댓글63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01 7338
4265 극한직업 - 카메라맨 hanma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7 2957
4264 자동차 메이커 별 국가간 워런티 정종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30 3892
4263 일상 은근히 짜증나는 광고 입니다. 댓글8 보물지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9 6297
4262 일상 자칼타 20대후반~30대 중반 친구 구해용 댓글15 wlgus7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23 6526
4261 일상 날 보면 무슨 색이 떠올라? 댓글4 myungh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3 4711
4260 일상 좋아요6 [미대선] 지금껏 본 적 없었던 것들 댓글5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9 4444
4259 일상 세공관련문의 댓글1 짱구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2 4134
4258 일상 "국산이 다 그렇쵸 뭐"? 댓글4 thsk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4 4585
4257 기타 인니에서 주식 또는 배팅 즐기는 분 클릭해주세염 Jakartabo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11 7677
4256 일상 “배추값 폭등 4대 강 탓” 외치던 그들 … 값 떨어지자 “기상이변도… balijo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16 4153
4255 일상 바람소주 12월27일 경품결과가 나왔습니다!! BARAMSOJ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7 4709
4254 기타 LCF 가상화폐 무료얻기 pachir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1 3446
4253 일상 싱가폴 하늘 투어 이 명철 사장님 보셔요~~ 댓글10 eskri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06 9439
4252 기타 <박원순 서울시장 초청 간담회> 장소 변경 안내 댓글1 LukeJ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15 3816
4251 일상 [문의] 한국-이란 TV 중계 알려주세요. 댓글4 기계쟁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1 6405
4250 일상 필립의 넋두리3 댓글6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04 6536
4249 기타 한국어 가르쳐 주실 선생님 찾습니다. 양념반후라이드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11 265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