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고암 큰스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98)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감동 | 고암 큰스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195.12) 작성일09-04-18 10:34 조회4,480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29613

본문

   우리나라 불교 대표종단인 조계종단에서 종정(宗正)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이 지고지엄(至高至嚴)한 종정의 자리에 한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추대된 분이 계셨으니 바로 그 분이 윤고암(尹古庵)
                  큰스님이셨다.

                  1899년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나 1988년 가야산 해인사에서
                  열반한 고암스님은 19세에 해인사에서 제산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이후 무소유, 무집착, 자비보살의 화현으로 한평생을
                  사셨고, 그 덕화로 종정의 자리에 세 번이나 추대될 수 있었다.

                  고암 스님은 말 그대로 욕심이 전혀 없는 분이었다.
                  흔히 불가에서는 무소유, 무집착, 무차별, 자비보살이라는 말로
                  사람을 칭찬하지만, 고암 스님이야말로 무소유, 무집착, 무차별,
                  자비보살이라는 말에서 한치 한푼도 어긋남이 없는 그런
                  스님이셨다.

                  어느 사찰에서 보살계 법문을 내리시고 법사료 봉투라도 받으시면
                  형편이 어려운 사찰임을 헤아리시고 주지스님 모르게 법사료
                  봉투를 법단에 올려 놓고 나오시는 분이었다.
                  형편이 어렵지 않은 사찰에서 법문을 하시고 봉투를 받으시면
                  그 돈은 곧 제자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스님, 저 부산에 좀 다녀오고 싶습니다. 노잣돈 좀 도와 주십시오.”
                  어떤 제자건 고암스님께 이렇게 말씀드리면 스님은 두말없이
                  있는대로 꺼내어 주었다.
                  봉투에 담긴게 있으면 봉투째 내 주었다.
                  고암스님은 누구에게 돈을 줄 때 한 장, 두장, 돈을 헤아려서 주는
                  법이 없었다.
                  잡히는대로, 있는대로, 아낌없이 망설임없이 내주었던 것.

                  돈 뿐만이 아니었다.
                  고암스님께는 많은 거사들과 보살들이 마음의 정성을 담아
                  가져오는 선물도 많았다.
                  그리고 귀한 책도 많이 보내왔다.
                  고암 스님은 그 갖가지 진귀한 선물도 당신이 소유하거나 쓰는
                  일이 별로 없었다.

                  “고암스님 돈은 받아쓰는 사람이 임자”

                  “아이구 스님, 이거 아주 귀하고 값진 물건인데요?”
                  “자네 마음에 들면 자네가 갖게나.”
                  “아이구 스님, 좋은 책들이 굉장히 많이 있네요.”
                  “자네가 볼만한 책 있거든 몇 권이건 가지고 가시게.”

                  고암스님은 늘 이러셨다.
                  돈도, 물건도, 책도, 누구나 갖고 싶어하면 주저없이
                  나누어 주었다.
                  그래서 고암스님 문하에 있던 스님들 사이에서 이런 말이
                  퍼질 정도였다.


                  “고암스님 물건은 누구나 선착순, 가져가면 임자요,
                  고암스님 돈은 누구나 먼저 얻어쓰면 임자.”

                  “자고나면 늘어나는 옛날 빚”

                  이렇듯 고암스님은 돈에도, 물건에도, 책에도, 감투에도
                  애착이 없이 손에 잡히는대로 나누어주고 물려주고, 그러고도
                  돈이 수중에 남으면 제자를 시켜 그 돈만큼 단주나 108염주를
                  사오게 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불교 신도들이 읽을 만한
                  좋은 책을 사오게 하셨다.
                  그리고는 찾아오는 사람에게 무조건 단주나 염주나 책을 나누어
                  주셨다.


                  고암스님은 돈만 있으면 무조건 이렇게 단주, 염주, 책을 무한정
                  사다 놓고 무차별로 나누어주셨으니 스님은 늘 빈털터리 신세를
                  면치 못하셨다.

                  곁에서 모시던 제자가 하루는 스님께 간절히 말씀드렸다.
                  “스님, 이제 돈이 들어오면 통장 하나 만들어 저금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요 다음에 더 늙으시면 약도 잡수시고 용돈도 쓰셔야지,
                  들어오는대로 남김없이 다 나눠줘버리시면 요 다음에 어쩌실려구
                  그러십니까?”
                  이 말을 들은 고암스님은 한동안 먼 하늘을 바라보시더니 나직히
                  말씀하셨다.


                  “옛날빚 갚기도 바쁜데 어찌 저금을 하라는겐가?”
                  “스님께서 무슨 옛날빚이 있으시다는겁니까?”
                  “자고나면 늘어나는 옛날빚이 있다네….”

                  고암스님은 다시 먼 하늘을 한참 바라보시더니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내가 스무살때였네. 처음으로 운수행각길에 올라 임진강을 건너
                  묘향산으로 들어가려고 나룻터에 당도했는데, 나룻배 뱃삯이
                  10전이라는게야. 헌데 내 수중에는 단돈 5전 밖에 없었어.
                  그래 뱃사공에게 사정을 해봤지만 소용없었지.
                  나는 그만 나룻배에서 내려 처량한 모습으로 강건너만 바라보고
                  있었네.


                  헌데 바로 그때, 나룻배에 타고 있던 한 젊은 아낙이
                  아기 젖을 물리다 말고 돌아앉더니 허리춤에서 돈 5전을 꺼내
                  뱃사공에게 내밀며 저 젊은 스님 태워드리라는게야.
                  나는 그만 감사하기도 하고 부끄럽고 창피하기도 하고 어쩔줄
                  몰라서 고개만 푹 숙이고 있다가 강을 건넜는데, 아 그만
                  그 아낙이 어디 사는 어느 집 며느님인지 그걸 물어보지도
                  못한채 헤어졌어.


                  그 후로 나는 아침마다 그 아낙과 그 자손이 잘되게 도와 주십사
                  기도를 드렸네만, 그래도 그 때 진 빚 5전이 자고나면 자꾸
                  늘어나는게야.

                  은혜 입은 아낙 위해 매일 기도

                  어디 사는 누구인지도 모르니 당사자에게는 갚을 길도 없고….
                  그 후로 돈만 생기면 누구에게나 대신 빚 갚는 심정으로
                  나눠주지만, 그래도 그 빚은 지금도 자고나면 자꾸 늘어나는것만
                  같은데 내 어찌 옛날빚 갚기도 바쁜데 저금을 할 수 있겠는가.”
                  고암스님은 그 후로도 여전히 돈, 물건 가릴 것 없이 생기면
                  나누어주고, 생기면 나누어 주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고암스님은 종정을 세 번이나 지내면서도 당신께서 후에 편히
                  지낼 사찰 하나도 점지해 둔 일이 없었다.
                  출가수행자는 무엇에든 애착심을 가져서는 안된다는게 스님의
                  생각이었다.


                  “출가자는 늘 떠나는 삶을 살아야 참다운 수행자라 할 것이야.”
                  그러면서 스님은 한 사찰에 결코 오래 머무는 일이 없었다.
                  스님은 ‘늘 떠나는 삶을 사는 타고난 수행자’였던 셈이다.
                  종정에 세 번이나 추대되고도 문도들이 머물 수 있는 큰 절 하나
                  없이 빈손으로 훌훌 털고 종정 자리에서 내려오신 스님은 아마
                  윤고암 스님 한 분 뿐이 아닌가 한다.

                  

                  윤청광 /법보신문에서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산지골님의 댓글

산지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240.224 작성일

나름 불자라며 절문턱을 기웃되지만
큰스님의 나눔으로 일관된 삶에 절로 숙연한 마음이....
많이 나누며 이웃과 함께하려구요__()()()__

TunasBaru님의 댓글

TunasBar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89.31 작성일

대단한 분이셨네요.
그렇게 모든 것을 나눠줄 수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욕심이 나를 지배하려고 하는 때마다 생각할 만한 본이 되는 듯 합니다.

조금이나마 더 나누도록 노력하며 살겠습니다.

* 좋은 글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깜치님의 댓글

깜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8.♡.5.152 작성일

스님이든 재가불자 이든지 간에 윤고암 스님처럼만 살아간다면
이 세상이 얼마나 평화스러울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사는 재미도 없겠구려...

출가를 하신 스님들 만이라도 항상 수행자와 같은 삶을 사신다면
그나마 다행이겠지요.

힘들고 어려운 요즘의 세상살이에
나도 힘이 들지만 나 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면서 작은물건 하나라도 아끼고
다시쓰고 나눠쓰고 재활용하면서 생활하는
인도웹 회원이 되고싶습니다.
_()_ 합장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2,480건 67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32 기타 노안 (老眼)을 예방 합시다.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17 4450
631 일상 대한민국의 빼어난 경치 43선 댓글5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11 6510
630 일상 이제 돌아갈 시간이 다되어가네요. 댓글5 Tro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4 4437
629 감동 딸아이가 붙여 온 시 댓글3 솔리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16 5068
628 감동 이연 - 유익종 댓글3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08 7010
627 기타 뎅기열 유행 댓글2 trustsind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30 5648
626 일상 김 여사 Series 완결판 댓글4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0 4409
625 감동 시중에 유행하는 유머들 댓글2 버섯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6 5365
624 감동 거북이를 사랑한 토끼 댓글2 ㅇrㄸ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0 11429
623 일상 일식집 부럽지 않은 새우튀김 리얼 레시피 /만들어보자!!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5 7340
622 일상 트랜스포머2: 패자의 역습 얼른 감상하세요^^ 이리저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31 4774
621 감동 오리를 잡으려면[펀글] 댓글6 곰곰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6 4678
620 기타 양생법(養生法)- 손이 건강한 사람만이 오장육부가 건강하다.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2 7442
619 기타 성장을 원천 봉쇄하는 식욕부진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2 4587
618 기타 붉은 갑옷을 입은 '부아나가'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1 5795
617 기타 건망증을 없애고 머리를 맑게 해주는 '끌렝껭'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30 5605
616 일상 다른 회원님들에게도 행운이 가득하시길,,, 댓글3 첨부파일 태권V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7 5628
615 감동 가슴이 따뜻해 지는 글(퍼온글) 댓글6 창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28 5573
614 감동 감동의글(펌): 시어머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댓글3 그린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3 4196
613 일상 조심합시다... 댓글3 kode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03 6487
612 일상 한국 vs 이란 KBS월드에서 안해주나요? ㅠㅠ 댓글4 무소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1 7499
611 일상 설날, Imlek,,, 복 많이 받으세요.. 댓글1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26 4707
610 일상 한번 웃어볼까요? 댓글3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5 4600
609 일상 Selamat Hari natal! 댓글3 At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11 5467
608 일상 AWAS!!! 인도웹 게임 댓글4 노마가르시아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25 5293
607 일상 한국집에서 오래일했다는 기사넘! ㅡㅡ; 댓글11 럭삐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05 7713
606 답변글 일상 아쉬움. 댓글2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10 6813
605 푸념 저도 인터넷 푸념... 댓글4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22 6167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