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서울 동교동 '어쩌다 가게'의 이색 실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82)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서울 동교동 '어쩌다 가게'의 이색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116.189) 작성일14-05-10 20:50 조회7,453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64745

본문






“예전 같지 않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서울 홍대 앞, 강남 신사동 가로수길을 보며 이렇게 말하는 사람이 적잖다. 아기자기한 카페를 비롯해 독특한 가게들이 하나둘 자취를 감추고, 그 자리에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이나 커다란 간판을 내건 주점이 속속 들어서고 있는 풍경을 안타까워하는 얘기다.

 알 만한 사람은 안다. 왜 작은 가게들이 조용히 그곳을 떠나야 했는지…. 임대료 부담 때문이다. 떠난 이들의 사연은 둘 중 하나다. 월세가 더 싼 곳을 찾아 새로운 골목을 파고들거나 아니면 잠시 펼쳤던 꿈을 접어버리거나.

 ◆‘어쩌다 가게’의 파격=요즘 서울 동교동 공항철도 홍대입구역 인근의 가게 하나가 화제다. 낡은 2층 단독주택을 새로 고친, 이름도 수상쩍은 ‘어쩌다 가게’다. 연남동·동교동은 새로운 가게들이 하나둘씩 자리잡으며 ‘핫 플레이스’로 뜨고 있는 곳이다.

 주택을 식당이나 카페로 고쳐 쓰는 것은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그런데 ‘어쩌다 가게’는 좀 다르다. 마당이 있는 이 2층집에 옹기종기 둥지를 튼 가게가 모두 8개 나 된다.

 서점 주인이 입맛대로 고른 책만 파는 서점 ‘별책부록’, 손님 한 명에게 딱 3잔까지만 판다는 원칙을 세운 싱글몰트 위스키 바 ‘엔젤스 쉐어’, 1인 미용실 ‘바이 더 컷’ 등이 둥지를 틀었다. 문을 연 지 한 달밖에 안 됐지만 ‘센스 터지는 곳’ ‘감동의 라인업’이라는 호평이 줄을 잇고 있다.

 ‘어쩌다 가게’에는 이름과 전혀 다른 반전이 숨어 있다. 가게 8곳이 ‘그냥 어쩌다’ 모인 게 아니라는 점이다. ‘임대료 걱정 없이 해보고 싶은 일을 맘껏 해보면 얼마면 좋을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대안 공간이다. 여기에 5년 임대 보장이라는 솔깃한 조건을 결합한 실험공간이다.

 ◆‘따로 또 같이’ 가게=건축가 이진오·박인영·김성준씨와 사이(SAAI)건축을 이끌고 있는 임태병씨는 2001년부터 홍대 지역에서 카페 ‘비하인드(b-hind)’를 공동 운영하며 주변의 나름 괜찮던 가게들이 하루아침에 사라지는 것을 숱하게 지켜봤다. 

 “아이디어와 재능을 밑천으로 기껏 터를 잡았다가도 2년 뒤 임대 재계약 시점이 되면 상황이 달라지기 일쑤였죠. 그들의 아까운 꿈을 여럿이 함께 나눌 장소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그들의 구상은 2012년 두 전시를 계기로 한 걸음 더 발전했다. 사이건축이 참여한 ‘한일 현대건축 교류전: 같은 집 다른 집’에서 본 ‘쉐어드 하우스 프로젝트’(나루세+이노쿠마 건축)와 건국대 산업디자인 전공 졸업전시작 ‘어쩌다 가족’(김자현+이영지)이다.

 “두 전시 모두 입주자들이 방은 따로 쓰되 거실·주방·식당·화장실 등 공간을 공유하며 전체적인 삶은 더욱 풍요로워진다는 내용이었어요. 그래서 이런 생각을 해봤죠. 주거뿐만 아니라 가게나 사무실에도 적용해 보면 어떨까 하고요.” 임씨의 설명이다.

  공상과도 같았던 아이디어는 점차 구체화됐다. 마당과 공용공간(라운지)을 공유하면서도 서로 각자 일을 하는, 그러면서도 시너지 효과를 내는 시스템을 만들어보자고 뜻을 모았다. 임씨는 “건축이 꼭 건물, 즉 물리적 플랫폼만 만드는 것은 아니다. 그 안에 들어가는 콘텐트까지 만들어보자고 생각했다”며 “우리가 만들고 싶었던 것은 ‘수익을 생각하는 건물’이 아니라 ‘꿈을 실현하는 건물’”이었다고 설명했다.

 일을 추진하기 위해 ‘공무점’이라는 회사도 따로 꾸렸다. 지난해 여름 2층 주택을 5년 월세로 빌리고, 리노베이션 설계를 하며 가게에 참여할 멤버들을 모았다. 8개 가게의 월세는 60만~110만원 선에서 책정했다.

 ◆사연 없는 가게는 없다=‘어쩌다 가게’는 홍대 앞 거리의 압축파일 같은 구성이다. 1층엔 서점, 수제화 전문점, 위스키 바, 조각 케이크 집이 자리잡았다. 2층엔 1인 미용실, 초콜릿 공방, 실크스크린 공방, 꽃과 수공예를 다루는 손작업 공방이 있다.

 알음알음으로 모여든 사람들은 사연도 남다르다. 파이와 케이크를 만드는 김이연(피스 피스 대표)씨는 예전 건물주와의 갈등으로 가게를 접게 됐다는 내용을 트위터에 올렸다가 공무점 합류 제안을 받고 이곳에 새 보금자리를 틀었다.

 김씨는 “전에 월세를 재계약하려니 240만원으로 올랐다. 권리금도 못 받고 나왔는데 이곳의 임대료는 전의 3분의 1 수준”이라고 했다. 그는 “이 금액으로 이 주변에서 가게를 여는 것은 불가능하다. 5년 동안 이 조건으로 일할 수 있는 건 행운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어쩌다 가게’는 주머니는 가볍지만 나만의 일터를 꿈꾸는 사람들을 끌어들였다. 한의대 졸업을 한 학기 앞두고 위스키 바를 연 이정주씨도 그런 경우다. 누구라도 퇴근길에 들러 부담 없는 가격에 위스키를 한잔 할 수 있는 공간을 그려왔다는 그는 “그간 꿈꿔오던 것을 이곳에 다 담을 수 있었다”며 즐거워했다. 규모는 작지만 ‘착한’ 가격으로 웬만한 위스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자부했다.

 가게주인의 취향이 고스란히 깃든 서점 ‘별책부록’(공동대표 임윤정·차승현)도 마찬가지다. 『카페 도쿄』 의 저자이자 『비밀기지 만들기』의 번역자인 임윤정씨가 처음으로 책방 주인이 됐다. 참고서만 가득한 일반서점과 다르게 임씨가 좋아하는 작가 로맹 가리의 책을 비롯해 그래픽 잡지, 동네 아티스트의 일러스트 작품집 등을 주로 모았다.

 이나영씨는 취미 삼아 만든 가방이 입소문 나면서 아예 전업작가로 나선 경우다. 그는 이곳에 자신의 첫 실크스크린 공방 ‘에토프’를 열었다. 1인 미용실, 초콜릿 공방, 맞춤 디자인 구두를 판매하는 아베크도 높은 임대료를 피해 이곳으로 옮겨왔다.

 호응은 컸다. ‘어쩌다 가게’가 문을 열자마자 손님들이 몰려들었다. 가게 주인들이 당황했을 정도다. 건축가 임태병씨는 “입주자가 모두 결정됐는데도 뒤늦게 이야기를 듣고 ‘무조건 들어가겠다’고 나선 이가 많았다. 이런 공간에 대한 수요가 기대 이상인 것 같다”며 “이 실험이 작은 가게가 좀 더 안정적으로 자리잡는 데 좋은 선례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실험은 계속된다. 다음 프로젝트는 ‘어쩌다 집’이다. 이 프로젝트를 주도할 건축가 이진오씨는 “ 원룸과 셰어하우스, 그리고 가족이 거주하는 세대 등 다양한 구성원이 한 건물에 모여 마당과 식당을 공유하는 방식을 실험할 것”이라며 “모이고 공유하면 삶은 더 재미있고 풍요로워진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다졌다.

글=이은주 기자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사진설명 따로, 또 같이’. 개성과 공유의 가치가 새롭게 뜨고 있다. 작은 가게 8곳이 한 지붕 아래 모였다. ‘어쩌다 가게’는 가게들끼리 서로 돕는 협력 시스템을 실험 중이다. 두 번째 사진부터 서점·케이크 가게·실크스크린 공방·수제화 전문점.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위스키바서 초콜릿도 팔아 … 누이 좋고 매부 좋은 협업

‘어쩌다 가게’는 8개의 가게와 이들이 공유하는 카페 ‘어쩌다 라운지’를 포함해 철저한 협업체제로 돌아간다. 조각 케이크를 만드는 ‘피스 피스’는 주방과 판매대만 갖추고 있다. 대신 라운지에서 음료를 마시는 손님은 이곳에서 만든 케이크를 사다 먹을 수 있다. 가게는 작아도 쉴 틈 없이 케이크를 만들어야 할 정도다.

 초콜릿 공방 ‘비터스위트나인’에서 만들어진 초콜릿, 실크스크린 공방 ‘에토프’에서 만들어진 가방은 라운지에서 판매한다. 초콜릿은 싱글몰트 위스키 바에서도 소비한다. ‘위스키와 초콜릿의 궁합이 환상적’이라는 게 엔젤스 쉐어 이정주씨의 설명이다. 밤 11시 라운지가 문을 닫으면 테이블을 갖춘 마당은 위스키 바 손님들 차지가 된다.

 협업은 입주자들끼리만 이뤄지는 게 아니다. 라운지의 커피는 영화 ‘안녕?! 오케스트라’를 연출한 이철하 감독이 운영하는 여의도 빵집 ‘브레드 피트’에서, 차(茶)는 서울 옥인동 ‘사루비아 다방’에서 납품한다. 한마디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실험이다.

이은주.권혁재 기자 shotgun@joongang.co.kr
▶권혁재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shotgun00/@joongang.co.kr>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9건 6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03 감동 그대의 운명을 사랑하라... 댓글2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1 4543
4502 감동 단비 보셨어요? 댓글2 누리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2 5063
4501 감동 이목구비의 위치(퍼온 것) 댓글2 goodneighb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3 4686
4500 감동 고독이란건 올인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21 4590
4499 감동 [펌]황소 간강한 남자에게 내린 처벌은???인도네시아 댓글2 lsmkill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4 6635
4498 감동 실종 장례식!!! 댓글12 동그라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2 6783
4497 감동 이스탄불을 아시나요?(5) 동그라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9 5649
4496 감동 이스탄불을 아시나요?(12) 동그라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03 7026
4495 감동 빛은 나누면 더 밝아진다 댓글2 발동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4 5090
4494 감동 시골할머니와 택시기사 댓글8 카타리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7 6281
4493 감동 마음에 심는 나무 황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6 5413
4492 감동 1초동안 할 수 있는 말 댓글4 gksrnrvkf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9 5629
4491 감동 사랑하는 사람 사랑받는 사람 큰숲에세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2 5067
4490 감동 촌년 10만원... 댓글6 꿈꾸는다락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3 5798
4489 감동 어서 자빠져 자라 댓글6 잔나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5 5376
4488 감동 보고픔이 세월을 버릴까 봐 잔나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17 6028
4487 감동 사랑해서 이토록 아프다면.. 잔나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5 5142
4486 감동 영원히 소유 할 수 있는것 드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1 4877
4485 감동 자식들만 보시오 댓글6 순진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17 5299
4484 감동 대구입니다 댓글3 상산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04 5597
4483 감동 먹먹할때 댓글7 jesi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19 7668
4482 감동 꼭 기억하고 싶은 말들1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16 4877
4481 감동 좋은 글... JSAh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27 4801
4480 감동 중년의 가슴에 10월이 오면 댓글1 30살꺼벙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08 5184
4479 감동 할미꽃 전설 댓글2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2 4750
4478 감동 웃기는 이야기 댓글2 sher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1 4913
4477 감동 한국을 위해 목숨 바친 20대 청년 댓글3 아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19 4011
4476 감동 구구절절 옳은 소리 댓글2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20 342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