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해삼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50)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해삼

페이지 정보

작성자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69.138) 작성일14-03-30 20:06 조회5,959회 댓글5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59497

본문

해삼은 동북아 (일본,중국,한국)에서 동남아시아 그리고 남태평양 일대까지에 분포되어 있지만 특이하게 해삼을 주로 먹는 나라는 중국과 한국, 일본 정도이고 다른 나라에서는 일반적이지 않고 일부 소수 해안가 주민만 먹습니다.

홍해삼,청해삼,흑해삼 색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지만 이들은 모두 같은 해삼으로 차이는 이들이 먹는 해조에 따라 색이 다를 뿐입니다.

 

일본의 3 진미 고노와타 (해삼내장젓갈) 사실 일본은 해삼을 채취만 먹지 못했기 때문에 해살을 말리기 내장을 꺼내 만든 것입니다.

일본인이 해삼을 먹을 몰라서 내장만을 먹은 것이 아니라막부가 해삼을 엄격하게 통제 했지 때문입니다.

도꾸가와 막부 초기 일본은 중국으로 부터 비단과 서적을 수입했는데, 이를 금과 은으로 결재 했습니다. 그런데 모자르게 되고 다시 구리를 ,은을 대신 했습니다.

하지만 ,,동은 수출상품인 동시에 통화수단이었으므로 세가지 표물을 중국에 바치고 비단을 받았습니다.

세가지 표물이 말린 해삼, 상어지느러미, 말린 전복 이었습니다. 물론 세가지 표물을 중심으로 하고 거기에 다시마,말린 새우,말린 가다랭이도 포함되었지만 어찌되었건 중요 공물은 세가지 표물이었습니다.

이러니 당연하게 해삼을 먹는다는 것은 어림도 없는 일이었고, 결국은 해삼 내장젓갈을 먹었을 뿐입니다.

해삼은 배를 갈라 삶고 이를 다시 말려 건해삼으로 거래 됩니다. 해삼은 물에 불리면 다시 모습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말린 해삼으로 거래가 됩니다.

중국에서 해삼은 보양식으로 재료입니다. 그리고 먹는 것도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 청나라 황제에게 바쳤다는 만한전석의 메뉴 20여가지에 해삼이 들어 갑니다.   

한국에서도 해삼은 삼화(三貨) 하여, 전복,홍합과 함께 중요 해산물로 거래 되었고, 주로 말려서 거래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해삼을 처음 먹기 시작한 것은 한반도 그중에서도 지금의 함경도 지방으로 이주한 퉁구스계 이주민이 선사시대부터 먹기 시작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는 것입니다.

곡물 콩의 원산지가 만주와 한반도 이고 보면 우리민족은 몸에 좋은 잘도 골라 먹었나 봅니다.

 

인도네시아도 해삼을 채취 합니다. 물론 자기들이 먹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중국과의 교역상품으로 채취되었으며, 셀레베스,마카사르자역과  말레이와 경계를 이루는 말라카 해협등에서  채취되어 수출되었습니다. 물론 인도네시아 아니라 파푸아,피지,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등에서도 채취되어 중국으로 수출되었습니다.

이들이 해삼을 채취는 해도 먹지 않는 것은 중국과의 교역을 위한 지역 식민지배자들의 영향이 큽니다.

16세기부터 시작된 향료무역은 바타비아(지금의 자카르타) 싱가포르 등을 중심으로 교역항으로 중국의 비단, 동남아의 향신료 (육두구,백단향)등을 모아 인도의 후추를 더해 유럽으로 보냈는데 중국의 비단을 위해 식민지배자들도 역시 해삼을 필요로 했습니다.

주민들에게 해삼은 다른 작물이나 해산물에 비해 그닥 생활에 직결되는 식재료가 아니었습니다. 생선이 주는 단백질 만큼의 영양도 없고, 종교적으로도 그닥 환영받지 못하는 해삼은 쌀과의 교환 가치가 있었으므로 이들은 해삼을 식품으로서의 가치 보다는 교역상품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지금도 인도네시아 해삼의 대부분은 중국계 주민이 취급을 하며 그들은 대부분의 해삼을 과거에는 홍콩을 통해, 지금은 주로 직거래로 중국으로 수출합니다.

중국인이 먹기 시작하면 남아 나는게 없다는 농담이 있는데, 과거에는 해삼과 전복, 이제는 참치와 오징어를 중국인이 먹기 시작하면서 참치의 가격은 자고 일어나면 오르고 있고, 이제는 엄격한 쿼터제한을 통해 공급을 조절하지 않으면 참치가 멸종될 지경이라고 하니, 오랫세월 중국인이 먹어온 해삼이 아직 씨가 마르지 않은 보면 해삼은 끈질근 생명을 가진 해산물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번주는 여기까지 쓰고 일주일간 쉽니다. 본사에서 제가 맡은 부분에 대해 감사를 나와서 수검을 받아야 합니다.

뱀다리: 제가 이런 잡다한 지식을 혼자 알아냈으리라 믿으신 분들은 없으리라 봅니다. 저도 줏어 들은 이야기 입니다.

참고자료 :  MBC스페셜 자연산 시리즈 해삼편 (2012 방송)  

                MBC한중수교20주년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2012 방송)

                해삼의  (쓰루미 요시유키 / 뿌리와 이파리 출판)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Nikon오빠님의 댓글

Nikon오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9.226 작성일

좋은 글들 ...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빠른 시일 안에 다시 재개되기를 기대합니다.
(너무 일방적인 부탁이라 죄송합니다.... ㅎㅎㅎ)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69.138 작성일

월급 받고 일하면 정기적으로 나오는 본사 감사를 받고 그 결과에 따라 인사고과가 반영이 되니 당연히 감사를 잘 받아야죠. 모든 직장인의 똑같은 비애. 내 밥줄을 쥔 자에게 충성하라 ㅎㅎㅎㅎ
이번주는 일주일 쉬고 다음주에는 아시아와 유럽의 식문화에 대한 얘기로 풀어 가 볼까 합니다.

새로운시작님의 댓글

새로운시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16.23 작성일

믿었던 2인 ㅎㅎ
아니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를 기다리는 많은사람들은 어쩌라고 일주일 씩이나 쉰다 말입니까?
본사에서 감사 내려온 분들에게 해삼말고 고삼으로 접대하면 시다바리 하루만에 끝날수도 있으니
빨리 돌아오시길 바랍니다... 억 돌랄라 온다 텨 ㅅㅅㅅㅅㅅ
그런데 jawafrog는 camfrog와 상관이 있나요^^ 허걱 진짜텨 3333333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75건 6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5 일상 자카르타에서 2주 정도 더 지내게 될 깡이라고 합니다. 댓글1 깡으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27 3724
534 일상 제가 양념치킨이라면 자다가도 깨는 사람인데요... 댓글11 대경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7 5931
533 일상 중국과 북한이 정말 형제의 나라일까? 댓글12 스마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28 4278
532 일상 <속보> 대정전 예상 - 자카르타, 수라바야, 메단, 발리 내일 정전… 댓글14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15 5894
531 일상 메리 크리스마스. 기적이 두 아들과 어머니를 울렸다. 댓글10 치악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24 5159
530 일상 포인트 구걸좀 할게요 ㅜㅜ 도와주세요... 댓글6 만성피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14 3455
529 일상 요즘 자칼타 부동산.....ㅠㅠ 댓글11 TwoFac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8 5037
528 일상 당황하다보면... 댓글1 monavieworl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3 4197
527 일상 에어 아시아 괜찮냐고 물으시는 분들이 많아서 제 경험담을.. 댓글5 agat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0 7827
526 일상 집과 살림 일체를 한꺼번에 넘길수 있을까요? 댓글1 시나브로7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5 3801
525 일상 인도네시아 대선 후보자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댓글5 미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08 5261
524 일상 자카르타에 인니어 배움과 기거할 장소 추천좀여 댓글4 가브리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1 4418
523 일상 반둥공항에서 짐 때문에 댓글4 초궁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28 5418
522 일상 롯데마트에서 Panasonic AC구매 후.. 댓글12 capjj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13 7337
521 일상 실로암병원 댓글3 먹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6 8362
520 일상 조언 감사합니다 댓글32 하하호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0 8289
519 일상 귀국하면서 가장 가슴아픈일.. 댓글17 미스터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26 9874
518 일상 MOI에서 벌어진 FBR 폭동 (2015. 5. 29) 댓글12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31 11150
517 기타 가족의 건강을 생각하셔야죠? 댓글3 첨부파일 lamse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30 4137
516 기타 [씨놀 1탄]치매 이제는 더이상 불치병이 아닙니다. 댓글5 씨놀코리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4-27 4195
515 일상 자카르타 면의전설 바로 뒤에 있는 쌍둥이네 하숙 댓글2 첨부파일 베바스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29 4221
514 기타 프랑스 일렉트로닉 밴드 'M83' - 자카르타 공연 댓글1 피아노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26 4383
513 기타 현재 kitap 진행중인데 댓글15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8 5543
512 기타 비행기값이 장난이 아니네요 댓글6 Morte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01 15069
511 답변글 푸념 7/7 아시아나 인천발 자카르타행도 1시간 30분 지연 댓글1 세븐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10 3338
510 일상 20대 친구 구해요!! 댓글13 온오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7 9770
509 기타 자카르타 근교 창고(공장) 재임대 및 쉐어 원합니다. 댓글3 마블우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16 2672
508 일상 1983년생 자카르타 친구 하실분? 댓글6 saridew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26 5660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