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양생법(養生法)- 손가락으로 보는 건강.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402)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양생법(養生法)- 손가락으로 보는 건강.

페이지 정보

작성자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236.245) 작성일09-05-02 21:07 조회6,724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2846

본문

한의학 최고의 경전인 <황제내경>에 의하면 우리 손은 모든 양의 근본이 된다고 하여, 양의 기운이 성해야 손이 든든하게 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양의 기운이 허해지게 되면 손에 힘이 없고 팔다리가 축 늘어져 뭔가를 잡을 힘도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 몸을 자양하기 위해 영양분을 나누고 조절하는 비장의 기운으로 맑은 혈액이 만들어지고, 다시 간으로 들어간 혈액이 저장되었다가, 심장으로 하여금 대순환과 소순환을 하게 해서 사지말단까지 영양분을 이동하게 합니다.

세 장기의 협조적인 관계에 의해서만 손은 그 힘을 얻어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여러 가지 활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동의보감>에 의하면 우리 몸의 세밀한 움직임을 담당하는 손가락에는 각각 그 이름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첫번째 것은 엄지 손가락이라 하여 대지(大指)라 하였으며 손가락 다섯 중 으뜸이며 가장 크다고 하였습니다. 두번째 것은 집게손가락이라 하여 염지(鹽指)라 하였으며 음식의 맛을 볼 때 짠 맛을 가늠하여 본다고 하여 그리 붙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세번째 것은 가운데손가락으로 장지(長指)라 하였으며 다섯 손가락 중에서 가장 길다고 하였습니다. 네번째 것은 약손가락이라 하여 무명지(無名指)라 하였으니 감히 그 이름을 부를 수 없을 만큼 몸 안의 모든 기운을 모아서 몸 상태를 밖으로 알려 준다고 하였으니 무명지를 보고 그 사람의 병의 상태를 가늠하는 중요한 손가락이라 하였습니다. 다섯번째 것은 새끼손가락으로 소지(小指)라 하였으니 다섯 중 가장 작다고 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손가락은 그 유래하는 바에 따라 첫째 손가락은 무지(拇指), 벽지(擘指), 대지(大指), 거지(巨指)라 하였으며, 둘째 손가락은 식지(食指), 인지(人指), 염지(鹽指), 두지(頭指), 셋째 손가락은 중지(中指), 장지(長指), 장지(將指),         

넷째 손가락은 약지(藥指), 무명지(無名指), 다섯째 손가락은 소지(小指), 계지(季指), 수소지(手小指)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손가락 그 안의 건강


한의학에서는 생 후 1년에서 6년이 된 어린아이를 진찰할 때 손가락을 봅니다.

아이로 하여금 손을 쥐었다가 가위바위보를 할 때처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펴게 되면 마치 호랑이가 입을 벌린 것처럼 그 모양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 검지손가락을 살펴서 병을 진단하게 됩니다. 호구삼관맥 진단법(虎口三關脈 診斷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어린아이의 검지손가락을 펴서 손가락의 안 쪽에서부터 살짝 누르면서 손가락 끝으로 밀어 나갑니다. 손으로 밀고 지나간 자리를 살펴보면 그 자리에 무늬가 생기는데 병이 없고 정상적인 상태라면 옅으며 붉은 색의 선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약에 이 색이 너무 푸르게 나타나게 되거나 또는 붉은 색이 너무 진하다면 질병이 있는 것으로 보고 좀 더 세밀한 진단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손가락의 세 마디가 아래에서부터 풍관(風關), 기관(氣關), 명관(命關)으로 삼관을 이루니, 명관은 손가락의 지문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현대 서양의학에서도 지문의 변화를 정맥압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심장병과 폐렴등으로 혈액학적인 변화가 생기면 조직내의 산소결핍 현상이 나타나 정맥압 상승으로 인한 그 특유의 색이 지문이 있는 명관(命關)까지 나타나게 됩니다. 산소의 결핍 현상이 심해지게 되면 명관(命關)에 청자색이 더욱 뚜렷해지고, 허혈 현상이 빚어지거나 빈혈이 나타나면 명관(命關)에 담색이 뚜렷해지게 됩니다.

 

 

우리 다섯개의 손가락에는 한의학의 기본을 이루는 철학적 바탕이 들어 있습니다. 음양오행의 원리가 그대로 배어서 우리 몸의 각 기관과 함께 경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12경락 중에 6개의 경락이 손가락을 지나게 됩니다.

엄지 손가락에는 수태음폐경의 혈이 흐르고 있어 감기나 편도선염, 그리고 소아의 소화불량의 증상이 있을 때 주로 따는 혈이 있습니다. 집게 손가락에는 수양명대장경의 혈이 흐르고 있어서 중풍, 고열, 손가락의 마비증상이 있을 때 취하는 혈이 있습니다.

가운데 손가락에는 심장을 보호하는 수궐음심포경의 중충혈이 있어서 쇼크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취하는 혈이 됩니다. 넷째 손가락에는 수소양삼초경의 경혈이 흐르고 있어서 결막염, 두통을 치료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다섯째 손가락에는 수소음심경의 소충혈과 수태양소장경의 소택혈이 있어서 히스테리를 치료하며 소아가 경기를 할 때 주로 취하는 혈이 됩니다. 

 

오행이 숨어 있는 손가락


손가락에는 또한 오행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오행은 자연현상을 바라볼 때 모든 것이 목, , , , 수의 다섯 가지 기운을 가지고 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다섯 가지 손가락을 들어서 그 쓰임새를 살펴보면 오행의 실질적인 모습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엄지 손가락을 상대방에게 들어 보이면 그 것은 필시 참 잘했다는 뜻이거나 너 참 훌륭해 또는 너 제일 잘 했어, 너 으뜸이야 라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오행 중 목의 기운이 그렇습니다. 나무를 한 번 살펴보시면 나무는 앞으로만 나아가 성장하려는 욕구가 아주 강합니다. 주변은 돌아보지 않고 일등을 위해 달려 나갑니다. 엄지 손가락이 가지고 있는 기운이 그러합니다. 항상 으뜸이어야 하고 일등이어야 합니다.

둘째 손가락은 우리가 뭔가를 지적할 때 사용합니다. 주변의 여러 사물 중 확실히 저것입니다 라고 할 때 사용하는 손가락입니다. 오행 중 화의 기운입니다. 확실하고 명확합니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고 정확한 화의 기운을 닮았습니다.

세 번째 손가락은 토의 기운입니다. 가운데 우뚝 서서 좌우 두 손가락의 중심을 잡아서 안정되게 해 줍니다. 토의 기운이 그러합니다. 흙은 모든 것을 포용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기운입니다

넷째 손가락은 금의 기운을 닮아서 약지로 씁니다. 금은 칼 끝처럼 날카롭습니다. 약을 먹을 때 우리 몸에 있는 나쁜 균들을 다 없애라고 네 번째 손가락으로 약을 저어보는 것입니다.

다섯째 손가락은 우리가 약속을 할 때 사용합니다. 물의 기운처럼 보이지 않는 법()입니다. 위에서 아래로 흐르면서 규칙을 만들어 나가는 기운입니다.


==============   Copyright@자카르타 솔한의원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7건 4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61 일상 지상 비행용 음악 - Free Fall 댓글2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11 5521
5060 기타 [8] 척추에 좋은 운동과 스트레칭 댓글1 첨부파일 baxterm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8 5533
5059 일상 나도 뿌아사. 댓글5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25 6956
5058 기타 [10] 척추결핵이란? 첨부파일 baxterm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1 5642
5057 일상 아시아컵때..일부 선수들이..한국가라오케간거..기사화되었군요. 댓글3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30 8479
5056 기타 오늘 아침 뉴스입니다.- 좌변기 뚜껑을 닫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 댓글2 바이오미스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05 4784
5055 일상 psp 로 영화보기 댓글3 Orc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26 6471
5054 기타 허리/목 디스크 치료 병원 pluswav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4 5000
5053 일상 정품사용 댓글3 주피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07 7391
5052 기타 허리를 삐꺽했습니다.땅그랑쪽 병원정보 좀 부탁드림니다. 댓글2 용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08 4532
5051 일상 풋살팀 하나 만들었습니다. 댓글9 백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7 6250
5050 기타 열이 날때의 대처방법 - 티푸스 관련 신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11 7789
5049 일상 윽..순간 방심했다..이를 어쩔꼬..--; 댓글1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15 6658
5048 기타 요석에 걸렸을때 댓글5 물안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10 2575
5047 일상 印泥, AI 감염자 2명 사망…총 희생자 105명 댓글1 사기당한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21 5652
5046 기타 Minyak Bunga Cengkeh(Clove Oil)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5 2717
5045 일상 지록위마 zebran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04 5518
5044 기타 글자 중심이 지워진 것처럼 보인다면 ‘실명 주의’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28 2864
5043 일상 해석 해 보세요..ㅋㅋ 댓글3 코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30 5931
5042 기타 모기 퇴치제 만들기 윤이100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24 3339
5041 일상 충무공 탄신 제 463주년 기념 해군 군악대 정기 연주회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14 5558
5040 기타 아스피린(Aspirin)의 놀라운 효능과 그 부작용 댓글1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02 5058
5039 일상 인니에서 우리는... 댓글20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04 11763
5038 기타 한국인을 위한 한글판 MERS주의 홍보 - SOS Internatio… 댓글2 첨부파일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23 3909
5037 일상 대한민국 촛불시민들 뿔났다!! 댓글1 첨부파일 candl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09 5342
5036 유머 아니! 짜장면 한그릇 먹자고, 이렇게까지 해야됩니까?? 댓글3 derk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23 4929
5035 일상 어느 아저씨의 일기 댓글5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29 7036
5034 유머 말을 함부로 하지 맙시다. 댓글1 아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16 279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