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암 이겨낸 60대 의사 "최고의 항암 음식은…"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56)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암 이겨낸 60대 의사 "최고의 항암 음식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tim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0.60) 작성일12-04-11 08:08 조회5,200회 댓글8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3510

본문


*푹 찐 가지, 밥 위에 듬뿍 올려 10년간 꾸준히 먹었더니  암도 달아나 *

              

암 투병 기간 내내항암식품이라고 알려진 것을 들고 오는 사람이 얼마나 많았는지 몰라요.상황버섯, 마늘 진액, 오가피 가루, 동충하초, 상어 연골가루 등등. 나이 드신 분들이 가져오는 건 거절하기가 어려워 받아두기는 했지만 세간에 알려진 항암식품 중 의학적으로 검증된 건 얼마 없어요. 항암효과가 있는 식품은 따로 있습니다.”

중앙일보헬스미디어가 3 6일 일본 오키나와 에서 진행한 ‘5060 힐링투어강연에 나선 홍영재(69) 박사의 얘기다. 그는 강남에서 잘나가는 산부인과 의사로 일했던 2001, 대장암 3기와 신장암을 동시에 진단받았다. 대장의 4분의 1과 왼쪽 신장을 잘라냈다. 이후 고통스러운 항암치료를 이겨냈고, 암에 걸리기 전보다 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의 강연을 기다리는 사람도 많아 이제는암을 이긴 의사라는 수식어가 그를 따라다닌다. 현재 그는 암 극복에 도움을 준항암식품 알리기 전도사가 됐다. 특히 항암효과가 있는 식품 중에서도 가지를 1등으로 꼽았다. 가지가 항암치료를 이겨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것. 홍 박사에게 암을 이기는 가지의 건강효과에 대해 들어봤다.

2001
년 대장암·신장암 동시 진단받아

홍 박사의 아침 식사는 가지로 시작된다. 푹 찐 가지를 결대로 찢은 뒤 밥 위에 올려놓는다. 밥그릇에 절반은 밥으로, 절반은 가지로 채운다. 홍 박사는밥을 먹기 전에 밥 위에 올려진 가지부터 먼저 먹는다고 말했다.

 이런 생활습관은 그가 항암치료를 받을 때부터 시작됐다. 암에 걸리기 전에는 매일 늦은 밤까지 일하고 곱창집에서 고기와 소주를 많이 먹었다. 홍 박사는몇 년 동안 이렇게 무질서한 생활을 하다 보니 암에 걸린 것 같다고 고백했다. 신기하게도 암에 걸리고 난 뒤부터 곱창은 쳐다보기도 싫었다. 평소에 좋아했던 짜고 기름기 있는 음식에는 손이 안 갔다. 게다가 다른 음식도 입맛에 맞지 않아 토해내기 일쑤였다. 그때 고향인 전주 지역의 토속 음식인 가지나물이 자꾸 떠올랐다. 다행히 암 환자의 입맛에도 잘 맞았다. 그때부터 그는 가지를 밥처럼 먹는다.

 홍 박사가 가지를1등 항암식품으로 여기는 이유는 보라색에 들어 있는 파이토케미컬 때문이다. 파이토케미컬은 채소와 과일의 색소에 들어 있는 식물 활성 영양소다. 홍 박사는가지의 보라색에는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알칼로이드, 페톨 화합물 등 암을 예방하는 파이토케미컬이 풍부하다고 설명했다. 탄 음식에서 나오는 벤조피렌, 아플라톡신 같은 발암물질이 세포 속 DNA를 손상시키면 돌연변이 세포가 생긴다. 이때 파이토케미컬은 돌연변이 세포에 있는 악성 종양에 달라붙어 암세포의 성장을 차단하고 암세포를 스스로 죽게 만든다는 것. 홍 박사는가지의 항암효과는 브로콜리나 시금치보다 약 2배 정도 높다고 말했다.

 특히 가지는 소화기 계통의 암 억제에 효과적이다. 홍 박사는가지의 영양분이 장 내부에 초콜릿처럼 덕지덕지 쌓인 기름기를 씻어내 대장암·위암·후두암 등 소화기 계통 암 발생을 20~30% 정도 낮춰준다고 말했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로의 침범을 막아 전이의 위험성을 낮춘다. 가지를 가열해도 암 억제 효과는 그대로다. 홍 박사는가지는 가열한 뒤에도 80% 이상의 암 억제율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가지 항암 효과, 브로콜리·시금치의 2

세계적인 장수현으로 알려진 일본 오키나와 사람들도 보라색 고구마와 가지를 즐겨 먹는다. 먹는 방식도 다양하다. 홍 박사는일본 사람은 둥근 가지는 생채나 샐러드용으로 먹고, 긴 것은 주로 절임용으로 먹는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튀김용·불고기용·생채용 등으로 자주 먹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가지 수출국이지만 가지 소비량은 일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일본에서는 1인당 1년에 2㎏ 내외를 섭취하지만 우리나라는 100g 내외에 불과할 정도로 섭취량이 매우 낮다.

 이 때문에 홍 박사는 다양한 가지 요리 알리기에도 한창이다. 홍 박사는가지는 기름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식물성 기름이나 육류와 함께 먹으면 맛뿐 아니라 소화 흡수율을 높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조리 방법을 바꿔 가며 다양한 요리로 먹을 것을 권한다. 국내에서는 가지나물이나 가지 무침 등 밥과 함께 먹는 밑반찬으로 가지를 활용하지만, 서양에서는 스테이크·파스타·라자냐 등에 가지를 곁들여 먹는다. 홍 박사는스테이크나 떡갈비를 먹을 때 가지를 구워 함께 먹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중국 요리처럼 각종 채소와 걸쭉한 소스를 곁들어 가지를 볶아 먹는 것도 권할 만하다. 가지로 김치를 담가 먹어도 좋다.

 가지를 고를 때도 요령이 있다. 홍 박사는전체적으로 팽팽하고 윤기가 돌고, 꼭지의 단면이 싱싱한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선한 것은 꼭지에 있는 가시를 만지면 따끔하게 찌르는 느낌이 든다. 냉장보관을 해야 하지만 보관온도가 5도 이하가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파이토케미컬=빨강·노랑·초록·보라·흰색 등 채소와 과일의 색소에 들어 있는 식물 활성 영양소. 항산화 작용 및 발암물질을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깜순이님의 댓글

깜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0.♡.251.1 작성일

억 그러네요 저는 가지를 별로 안좋아하는데 ,,근데 이제부터 먹어야 겠어요 . 
조리법은 쪄서 무쳐먹는 것 외에는 잘 모르는데 다른 조리법 아시는 분 ?ㅎㅎ

WPUI간신님의 댓글

WPUI간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10.♡.114.167 작성일

이 소식 들었는데 가지와 함께 여러 채소들을 먹어면 건강해 질 수 있겠죠.
향긋한 봄나물이 먹고 싶어지내요.

arari님의 댓글

arar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1.♡.16.252 작성일

평소에도 가지나물을 즐겨먹었는데 앞으로는 더욱 자주 즐겨야 되겠네요ㅋ
전 어렸을적 엄마가 해 주시던 방식대로 찜기에 쪄서 쭉쭉 찟어서~
간장과 약간의 소금,고추가루와 마늘 그리고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고 조물조물..정말 맛있습니다~ㅋ

범고래잠수함님의 댓글

범고래잠수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3.♡.230.17 작성일

다행히 인도네시아의
가지 요리가 참 맛있죠. ㅋㅋ
(한국 보다 더 가지 요리는 잘하는듯)

한국에선 거의 안먹던 가지를..
여기서는 비교적 자주 먹습니다.
(근뒤 그 음식 자체가 기름과 삼발이 좀 많아서리..ㅋㅋ)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36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258 유머 사람들을 발견한 호기심 많은 아기 코끼리바다물범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14 5283
5257 일상 포인트 쌓기가 넘 힘드네요. 댓글9 몰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15 4279
5256 기타 쉽고 빠른 영어 학습법~, 각종질병 간단 치료법~ 댓글1 유익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25 2513
5255 일상 오늘 우연히 인터넷을 뒤지다가 댓글3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6 5002
5254 기타 . 댓글1 이브앤트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26 3389
5253 일상 우리집 시추가 4마리의 강아지를...(분양 완료) 댓글11 굿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6 5666
5252 유머 사라지는 마술에 대한 고양이 반응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08 3762
5251 일상 현지 지프 동호회 아시는분 있나요? 댓글1 강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19 4022
5250 기타 아앗 안돼 거기는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09 4631
5249 일상 네팔 북한식당 "한국인 첩보활동".. 평양관도 ㅠㅠ, 조심하세요 하늘신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8 8768
5248 유머 어느 공돌이의 별풍선 부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08 4946
5247 일상 독도 프로젝트 영어편 심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13 3174
5246 일상 눈 크게 뜨고 보세요... 여인이 어느방향으로 돌고 있을까요?? ^… 댓글22 한바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24 5117
5245 일상 인도네시아 여성과 연애질을 하든 사랑을 하든 아니면 장난질을 하든 댓글11 pempe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2 10065
5244 노하우/팁 장미가 달린 선물상자 접는 방법 둥글레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12 5630
5243 일상 불쌍한 인니 여자들... 댓글23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16 8504
5242 기타 <블로그 게시글: 2020년도 AP 시험 최종 일정 변경 및 유의 사… iik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10 6006
5241 일상 자카르타에서 슈퍼, 편의점 개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댓글28 헤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28 7472
5240 일상 세계10대 슈퍼푸드 연어로 건강하게 살빼기ㅣ초간단 연어덮밥ㅣ살찔 걱정… 다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25 3256
5239 일상 소문난 잔치에 먹을게 없다? / 있다? .....인니투자 대형프로… 댓글1 물상객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9 4182
5238 일상 한가위 쌀의 정체(?) 댓글5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2 6155
5237 일상 20191229 - 이인상 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29 6129
5236 일상 ? 댓글2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26 3359
5235 답변글 일상 Re: Re: 필름 카메라 현상 이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15 4049
5234 일상 재미있는 숫자의 신비 ? 댓글7 순진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10 4856
5233 노하우/팁 [차량관리 in 인도네시아] 중고차 구매 요령(도요타 기준) 이비캠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8 3914
5232 일상 어쩌다 보니... 댓글11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17 5958
5231 노하우/팁 인터넷으로 등기부등본 발급 가능한거 아세요? 댓글1 인디안밥5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05 1850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