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약간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산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801)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약간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121.115) 작성일14-07-21 11:05 조회3,479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3811

본문

 | 작성자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정상’ 체중이 ‘비만’보다 사망 가능성 더 높아
‘살찌면 빨리 죽는다’는 통념은 ‘상술’ 가능성

건강과 질병의 경계는 어디인가를 둘러싼 의학계의 논란이 뜨겁다. 하지만 일반 시민이 전문적인 의학 지식에 두루 밝기는 어렵다.

무지는 공포를 부른다. 적잖은 이들이 가벼운 증상만 있어도 새로운 첨단 의료기술을 적용해 치료받아야 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전에 없던 질병이라도 걸리면 패닉에 빠지지 않기가 어렵다. ‘공포 마케팅’이 번성할 토양이다.

한국에서도 과잉 진료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무엇이 과잉 진료를 부르는 것일까. ‘공포 마케팅’ 및 과잉 진료와 관련한 반성을 이 기획 연재물에서 담으려 한다. 이 기획 연재물은 어찌어찌하면 건강해진다는 ‘정답’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지 않다. 다만 질병과 건강, 그 흐릿한 경계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함께 고민하는 글이고자 한다.

예를 들어 아침에 일어나 식사 전에 혈당을 쟀을 때 125㎎/㎗이면 당뇨가 아니고, 126㎎/㎗이면 당뇨라고 하는 것이 과연 타당하느냐는 것이다. 현재 공복시 혈당이 125㎎/㎗이면 ‘당뇨 전 단계’로 분류되며 관리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의사한테 듣게 된다.

의학계에선 이런 수치를 일정한 규모의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수십년간의 관찰을 통해 정한다. 즉 통계다.

그런데 이 수치가 잘못됐다면? 예를 들어 수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혈당치가 사실은 140㎎/㎗이상인데, 이 기준치를 14㎎/㎗을 낮춰 126㎎/㎗으로 정했다고 가정해보자. 126~139㎎/㎗에 해당되는 이들은 불필요한데도 혈당 조절 치료를 받으면서 치료비를 낭비하고 심지어 치료를 위해 복용한 약 때문에 약물 부작용에 시달릴 수도 있다.

최근 의학계에선 고혈압·당뇨·비만 등 각종 ‘생활 습관병’의 기준치에 대한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비만의 경우는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험 가입자의 비만 관리에 나서겠다고 할만큼 사회적 관심도 크다.

그런데 비만 기준치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기준치를 재설정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비만 기준은 보통 ‘체질량지수’를 쓰는데, 이 수치는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수치가 23 미만이면 정상, 23 초과~25 이하면 과체중, 25를 넘으면 비만에 해당된다. 또 30 이상이면 ‘고도 비만’으로, 20 미만이면 저체중으로 분류된다. 비만을 연구하는 학회나 질병관리본부는 과체중부터 사망 위험이 높아져, 비만이나 고도비만이 되면 정상 몸무게보다 많게는 2배 가량 사망 위험이 커진다고 밝혀 왔다.

하지만 최근에 나온 연구 결과들은 이와 다르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강대희·박수경 교수팀이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7개국의 114만명을 평균 9.2년 동안 추적 관찰한 뒤 내놓은 결과를 보면, ‘약간 통통한’ 사람의 사망 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왔다. 체질량지수로는 ‘가벼운 비만’으로 분류되는 25.1~27.5에 해당되는 이들이다. 이어 과체중(체질량지수 22.6~25)으로 분류되는 이들의 사망 가능성이 낮았다.

반면 통념과 달리 ‘정상’(20.1~22.5)에 해당하는 이들의 사망 가능성이 비만(27.6~30)보다 높게 나왔다. 이 연구 결과는 100만명이 넘는 대규모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데다, 비만이 사망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어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의학 논문집에도 실렸다. 신뢰할 만한 연구 결과이다.

연구팀은 “과체중에서 가벼운 비만에 해당되는 이들에게서 사망 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비만이 질병 위험을 높여 사망 가능성을 높인다는 생각이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에게는 틀렸다는 뜻이라기 보다 이들 나라에서는 비만의 기준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는 더 있다. 윤병우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이 전국 33개 병원 뇌출혈 환자 1350여명을 조사했더니, 비만인 뇌출혈 환자가 정상 몸무게를 가진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더 낮았다. 체질량지수 기준으로 비만에 해당되는 뇌출혈 환자의 사망 위험이 정상 몸무게인 환자보다 61% 낮았고, 과체중에 해당되는 이들도 정상 몸무게인 경우보다 69%나 낮았다.

반면 정상 수치보다 몸무게가 가벼운 경우엔 정상 몸무게보다 사망 위험이 64% 늘었다. 몸무게가 더 나가는 쪽이 덜 나가는 쪽보다 뇌출혈에 의한 사망 위험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윤 교수팀은 “한국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비만 기준이 적절한지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다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선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하겠지만, 적어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준치가 100% 타당한 건 아니었다는 해석은 가능하다.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지금의 비만 기준치에 맞춰 몸무게나 건강을 관리하는 게 되레 사망 가능성을 높이는 엉뚱한 짓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걸음 더 나가면, 몸매를 상품화하는 사회가 ‘무조건 날씬해야 건강하다’는 그릇된 신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건 아닐까? 비만 수치가 지방을 추출하는 시술이나 살 빼는 약 등을 판매하는 데 이용되는 상술의 하나일 수도 있다는 의심은 지나친 비약일까?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7건 3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41 일상 나 여자인데 군대 가봤거든... 댓글10 SeribuNi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11 6164
5340 유머 [봄볕 자외선③]자외선차단제 'PA' 표기 중요…"… mvp7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02 2375
5339 일상 빙고!!! 댓글1 꿈꾸는다락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0 4505
5338 기타 diesel/gasoil 끝까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8 2352
5337 일상 Coex KOSIGN 2011전시회 CoexKOSIGN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8 4211
5336 기타 찌레본 석탄화력 발전소의 그늘~ 댓글2 awalidenga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4004
5335 일상 8월 1일 스타트 Good!!!! 댓글2 수방촌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1 4440
5334 아저씨 그 새 이름이 뭔가요..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26 2735
5333 일상 오늘도 한건 했넹.. 댓글3 Karl가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9 4371
5332 감동 스카이다이빙 도중에 기절한 남자 ㄷㄷ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14 5963
5331 일상 KTV 수신료 댓글14 addo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10 9698
5330 기타 주택 같이 쓰실분 Infoo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19 5395
5329 일상 소주" 홍보 아닌 홍보 그만합시다... 댓글13 soj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1 5859
5328 일상 오늘의 요가#2 <애플힙 만들어주는 요가> indoindo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27 2786
5327 일상 악몽같은 2011년이 어서 지나가면 좋겠습니다. 댓글9 블링블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5 4846
5326 일상 MOI 안에 당구장과 탁구장 위치(스크린골프-한국인운영) 마이갤러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27 4133
5325 일상 드디어 인도네시아로 가는 날짜가 잡혔습니다. 댓글9 모니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15 5235
5324 일상 1년전 쯤 자카르타 한인추락사 댓글1 eigmlazidti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06 6072
5323 일상 무궁화에서 겪은 황당한 사건 댓글16 marin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8 8050
5322 지금 먼 곳 보기 해볼까?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08 4312
5321 일상 혹시나....... kongjude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11 3315
5320 기타 외국인환자 유치업 해외영업사원 채용합니다~! cylglob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20 3270
5319 일상 인도네시아 국적취득조건 댓글6 반둥에서살고싶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23 13949
5318 일상 인도네이사 합천이씨 종친회를 소개합니다. a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2 4240
5317 기타 찌부부르 모리아한글학교 학생을 모집합니다.(2월 7일까지) 인도네시아사랑0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1-16 3116
5316 일상 운빠드 대학입학조건 반둥에서살고싶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16 3998
5315 일상 나시고렝 5만 루피아... -_-;; 댓글19 cho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25 7306
5314 기타 깊어가는 가을밤에 듣는 스무스재즈 모음 둥글레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24 344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