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뱀장어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37)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뱀장어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67.111) 작성일12-03-10 19:47 조회4,391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15713

본문

--- 요즘 부쩍 인도웹에서 뱀장어 관련 글들을 읽는 이유를 이제 조금 알 수 있을것 같다 ---

등록 : 2012.03.09 20:37수정 : 2012.03.10 20:06

지난달 28일 실뱀장어잡이 철을 맞아 금강 하구에 채포선들이 늘어서 있다. 이쑤시개만한 실뱀장어 한 마리에 7000원을 호가하지만 조황은 극히 저조하다. 노한욱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구원 제공

[토요판] 생명/ 귀하신 몸, 뱀장어 이야기

▶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강에 사는 모든 뱀장어는 다 자라면 필리핀해의 해저산맥에 일제히 모여 알을 낳고 생을 마감한다. 그 새끼는 해류를 따라 다시 아시아 각지로 흩어진다. 7~8년을 주기로 이뤄지는 이 장대한 번식과 이동 모습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제 그 비밀의 베일이 벗겨지는가 했더니 뱀장어는 멸종을 걱정할 만큼 급격히 줄어들었다.

내 이름은 풍천장어야. 민물장어 또는 그냥 뱀장어라고 부르지. 그런데 왜 ‘풍천’이냐고?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강, 그러니까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하구에 산다는 뜻이지. 그러니까 고창 선운사 근처만 풍천은 아니지. 그곳에 흐르는 강은 인천강이야.

요즘 장어 구경하기 힘들지? 서울 장어구이 집에서 한 마리 먹으려면 3만원은 주어야 해. 실뱀장어 1㎏이 중형차 한 대 값이지. 어때, 이 정도 몸값이니 반말로 얘기해도 괜찮겠지?

금강 하굿둑을 지나면서 요새 바다 쪽을 보면 배 양쪽에 기다란 팔을 펼친 채 그물을 드리우는 실뱀장어 배가 줄지어 선 것이 보일 거야. 우리들의 숙적이었지. 댐과 보, 수질오염, 그리고 기후변화까지 우리를 위협하기 전까지 말이지. 이제는 우리처럼 보기 힘들어질 사람들이야.

사실 뱀장어는 좀 도도하게 굴 만도 해. 수산어종 중 마지막 야생이라고 할까? 우리는 자연 상태에서 번식 모습을 한 번도 사람에게 보여주지 않았어. 상업적 양식이 안 되는 유일한 물고기이기도 하지.

알 낳고 새끼가 태어나는 모습을 보여준 일이 없으니 우린 옛날부터 신비로운 물고기였지. 유럽에 사는 우리 친척 뱀장어는 모조리 6000㎞나 떨어진 카리브해의 사르가소 해역에서 산란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게 20세기 초였고,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뱀장어의 산란 터가 필리핀해 근처라는 사실은 1991년에야 비로소 분명해졌지.

난 필리핀해에서 태어났어
본능적 감각으로 금강에 왔지
둑을 오르긴 어찌나 힘들던지…

댐과 보, 수질오염, 기후변화
실뱀장어 1㎏이 중형차 한대값
어쩌면 영영 못볼지도 몰라

아이코, 밀물이네. 역류하는 바닷물을 따라 강으로 올라가야 해. 그런데 무슨 수로 하굿둑을 넘을까. 고깃길(어도)이라고 만들어 놓았지만 물살이 너무 세. 연어가 주로 올라가는 미국에서 공부한 양반이 설계했나 봐.

홍수를 틈타 용케 상류로 올라가면 작은 물고기나 곤충 등을 잡아먹으며 개울의 왕으로 군림하지. 6년쯤 낚시나 그물에 걸리지 않고 다 자라면 불쑥 고향이 그리워지는 거야. 연애도 하고 싶고. 9~10월이 되면 처음이자 마지막 귀향길을 떠나지. 이때 우리 몸은 등과 배에 노란빛을 띠어 황뱀장어라고 불러. 이른바 ‘자연산’의 빛깔이야. 실뱀장어 상태로 양식장에서만 자란 녀석은 등이 검고 배는 하얘.

하지만 바다로 가는 길 역시 만만치 않아. 무엇보다 댐이 가로막거든. 내가 아는 어느 뱀장어는 기회를 놓쳐 팔당댐을 여러 해 빠져나가지 못하다가 그만 정치망에 걸렸는데, 어부가 건져내다가 깜짝 놀라 놓쳤지. 굵기가 어른 허벅지 정도였으니 이무기인 줄 알았나 봐.

강을 벗어났다고 곧장 바다로 뛰어들면 소금물에 던져 넣은 배추 꼴이 되지. 강 하구에서 두세 달 머물며 바닷물 적응 훈련을 해야 해. 쉽게 말해 바닷고기로 변신하는 거야. 준비가 끝나면 피부는 은빛으로 바뀌고 깊은 바다의 장거리 항해에 맞도록 눈과 가슴지느러미가 커지지.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약 3000㎞ 떨어진 산란장으로 가는 거야. 망망대해에 무슨 이정표가 있을 리 없고 오로지 감각과 본능을 내비게이션 삼아 헤엄치지. 전에는 우리가 심해 바닥을 따라가는 줄 알았나 봐. 그러다가 최근 우리 몸에 무선추적기를 달고 위성으로 추적하는 등 법석을 떨어 비밀이 드러났지. 낮에는 천적을 피해 수심 500~900m의 꽤 깊은 곳을 헤엄치다 해가 지면 수심 100~300m의 비교적 얕은 곳으로 이동해. 그렇지만 구체적인 이동 경로는 아무도 몰라.

이동하는 6개월 동안 우리는 아무것도 먹지 않아. 위와 장은 퇴화해 거의 보이지 않고 그 자리를 생식소가 채우지. 필리핀해 근처에 가면 뭔가 심상치 않은 기운이 느껴져. 필리핀 동쪽이자 괌 서쪽,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 북쪽에는 마리아나 해저산맥이 펼쳐져 있지.

해저산맥 때문에 교란된 지자기와 독특한 심해 바닷물의 냄새로 ‘그곳’에 도착했음을 직감하는 거야. 좀 둔해도 염분과 수온이 다른 해류가 장막처럼 앞을 가로막기 때문에 산란지를 놓치는 일은 없어.

중국과 일본에서 온 뱀장어들이 눈에 띄기 시작해. 암컷은 눈에 띄게 부푼 배를 하고 있고 이보다 조금 작은 수컷은 그 곁에 머물려고 안달을 하지. 하지만 때를 기다려야 해. 4월 그믐밤 수심 160m쯤 되는 곳에 우리들은 떼로 모여 삶의 마지막 향연을 벌이지. 수온은 25~27도로 따뜻하고, 달이 없어 캄캄한 아득한 밤이야.

이런 사랑의 향연은 8월까지 그믐밤마다 열려. 모든 것을 쏟아낸 우리는 커다란 눈과 꼬리만 남은 처량한 몰골이 되지. 암컷은 처음 바다를 떠날 때보다 몸무게가 5분의 1로 줄 정도야.그게 우리 삶의 마지막이야. 바다에 살다 강에 알을 낳고 최후를 맞는 연어와는 정반대지.

우리가 왜 이런 삶을 살게 됐는지는 우리도 몰라. 애초 심해어였다가 하도 천적이 많아 육지로 피신해 살다가 알은 고향에 돌아와 낳고 죽는다는 설명이 유력하지.

알은 물위로 떠올라 다시 긴 여행을 떠나. 동에서 서로 흐르는 북적도해류를 타고 떠가다가 다시 북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동아시아로 가. 이때 자칫 해류를 잘못 타면 열대로 가기 때문에 살 수가 없지. 엘니뇨 같은 기상현상과 지구온난화로 바다 환경이 달라지면 우리가 동아시아로 돌아오는 숫자가 뚝 떨어지지.

알에서 깨면 물에 뜨기 좋도록 댓잎처럼 넓적한 댓잎뱀장어이다가 대륙사면에 이르면 몸이 원통형으로 바뀐 투명한 실뱀장어가 되지. 해가 바뀌어 1월쯤엔 제주도, 2월엔 남해안, 3월엔 서해안에 도착해 다시 강을 거슬러 오르는 거야. 강 하구에서 먹이를 먹기 시작하면 몸이 검은빛으로 바뀌어 어엿한 뱀장어가 돼.

어때, 뱀장어가 만만한 물고기가 아니란 걸 알겠지? 참, 유럽산 뱀장어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거 아시나? 상황은 마찬가지인데 여기선 아무도 관심이 없어. 이대로면 앞으로 영영 날 볼 수 없을지도 몰라. 그럼 안녕.

(이 글은 황선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박사, 이태원 충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의 도움말과 쓰카모토 가쓰미 일본 도쿄대 교수 등의 논문을 참고로 구성했습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유럽 멸종위기… 동아시아도 위험하다

뱀장어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쓰카모토 가쓰미 도쿄대 교수는 지난달 27일 한국, 중국, 대만의 뱀장어 연구자들에게 전자우편을 보내 해마다 가을에 열던 동아시아 뱀장어 자원 위원회(EASEC) 회의를 오는 19일 당겨 열자고 긴급 제안했다. 그는 “과학자들은 유럽뱀장어처럼 동아시아뱀장어도 멸종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며 “최근의 상황에 비춰 긴급회의를 열어 행동계획을 만들자”고 제안 이유를 밝혔다.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던 동아시아 4국은 긴급회의에 동의했다.

뱀장어 양식은 전적으로 채집한 실뱀장어 공급에 의존한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실뱀장어 자원이 90% 이상 줄자 그 절반을 아시아에 수출하던 유럽연합은 2009년부터 실뱀장어 수출을 규제하고 있다. 세계 뱀장어의 절반을 소비하는 일본을 비롯해 중국, 한국 등은 자국 실뱀장어 감소에 더해 수입량이 줄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수요를 대려면 실뱀장어는 연간 15t이 필요한데 지난해 잡힌 것은 2t에 불과했고 수입량도 6t에 그쳤다. 사 올 실뱀장어가 없는 것이다. 이태원 충남대 교수는 “올 들어 상황은 더 나빠져 수입의 대부분이 이뤄지는 현재까지 확보한 물량은 1~2t이 고작”이라며 말했다.

양식한 뱀장어의 생산지 가격은 지난해 ㎏당 3만원에서 올해는 5만7000원으로 올랐다. 마리당 1만원을 넘는 가격이다. 이 교수는 “문을 닫는 식당과 양식장이 속출하고 있어 뱀장어 산업 자체가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뱀장어는 2009년 우리나라 내수면 양식 총생산액의 58%, 생산량의 26%를 차지했다. 실뱀장어 가격도 폭등해 현재 ㎏당 3500만원에 이르러 마리당 7000원꼴이다. 실뱀장어 값은 1998년 처음으로 1000원을 돌파했다.

금강 하구에서 40년째 실뱀장어를 잡고 있는 서병안(65)씨는 “그 큰 그물에 한두 마리, 많으면 수십 마리가 걸린다”며 “하굿둑이 없던 1970년대엔 하루 만 마리까지도 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강을 다 막아놓은데다 겨우 올라가도 수질오염이 심해져 뱀장어 씨가 말랐다”며 “어미가 없는데 어떻게 새끼가 올라오나”라고 덧붙였다. 조홍섭 기자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182 일상 <GLYCenter> 세계 시민의식 캠페인 프로그램 GlobalLead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06 4576
6181 일상 Resmi, Wisatawan dari 45 Negara Bebas … 댓글2 인도르네시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13 6992
6180 감동 돼지를 사랑한 코끼리 댓글9 nakom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22 9658
6179 감동 살면서 가장 외로운 날 댓글7 ky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11 6649
6178 감동 이즈(伊豆)반도 하루 여행기 댓글5 지구촌나그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6 5806
6177 감동 사람을 찾습니다.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29 6472
6176 감동 필립의 주저리(늦은밤의 꽃배달) 댓글5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0 5475
6175 감동 근데 왜 눈물이 나는 겨... 댓글1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9 6800
6174 감동 집안꾸미기- 예쁜 꽃 댓글4 At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24 7175
6173 감동 당신 참 좋다 첨부파일 At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12 4612
6172 감동 이런 사람.. 댓글1 하리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24 3876
6171 감동 생떽쥐베리의 미소[펌] 댓글2 곰곰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14 4363
6170 감동 ^^* 추억의 노래 모음 ^^* ..하루를 행복하게... 댓글6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9 5763
6169 감동 이연 - 유익종 댓글3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08 6978
6168 감동 사랑、눈물이 보조개를 타고 흘러 내립니다...。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19 6058
6167 감동 정말 그립게 만드는 글이네요.. 댓글5 nesca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06 4685
6166 감동 돌을 맞을 각오로(필립의 고백) 댓글6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4 5501
6165 감동 안녕하세요~~필립의 친동생입니다. 댓글4 배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30 4783
6164 감동 미쳐야 산다 댓글8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30 5856
6163 감동 인니 어느카페에서...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20 4970
6162 감동 젊지도 늙지도 않은 중년 댓글2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24 6810
6161 감동 넌센스 퀴즈 댓글4 올인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8 5805
6160 감동 인터넷 댓글 싸우는 유형 댓글2 이카루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2 4718
6159 감동 노년이 아름다움 유심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8 4428
6158 감동 어느 버스기사님의 이야기..카테고리에 맞을런지 모르겠네요. 댓글2 초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0 5027
6157 감동 좋은 아내와 나쁜아내의 차이점(펌) 댓글3 첨부파일 juli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8 5439
6156 감동 요~기똥찬^.^춤 잘추는 원숭이..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댓글18 카타리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14 5608
6155 감동 희망/사랑/건강을 기부합니다 댓글2 찐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2 575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