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99%가 1%를 뽑는 날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39)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99%가 1%를 뽑는 날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117.198) 작성일12-04-04 06:58 조회3,867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15992

본문

자유칼럼그룹 webmaster@freecolumn.co.kr
Sent: Tuesday, April 03, 2012 7:03 AM
 bbs0Eadp3
                                                      ( 텅 빈 거리에서의 유세 )
99%가 1%를 뽑는 날     2012.04.03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특혜 속에 파묻혀 사는 사람들입니다. KTX 무료탑승에 한 번 국회의원을 한 사람은 65세부터는 평생 매월 120만원씩 연금을 받죠. 公私 개념이 뚜렷한 일본 의 지방 국회의원들은 회기 중 임대 오피스텔에서 숙식하고 지하철로 등원한다고 합니다. 덴마크 국회의원들은 모두 자전거로 출퇴근하며 스웨덴 국회의원은 아예 관용 차량과 운전사가 없다고 합니다. 지구 최고의 복지국가는 이런 국회의원들의 검소함이 뒷받침하나 봅니다. 입으로는 ‘지구 환경’과 ‘보편적 복지’를 외치지만 행동은 따로 놀아, 매월 140여 만 원의 차량유지비ㆍ기름값을 비롯하여 연간 국민 혈세를 최소 6억 원이나 펑펑 쓰면서도 “뭐 좀 더 먹을 게 없을까” 여야 합심하여 자기들만의 복지를 향해 달려드는 우리나라의 실정과는 질적으로 다르다고 탄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국회의원 수를 줄이려는 것이 주요 선진국의 대세인데도 파렴치하게 300명으로 늘려 실시되는 4ㆍ11 총선 공천을 보니 전과자를 비롯하여 상상 밖의 인물들이 많아 어이없습니다. 국민이야 어떻게 생각하건 자당의 입맛대로 극소수의 공천 심사위원들이 선정한 결과, 지역에 일면식도 없는 사람을 ‘돌려막기’로 꽂아놓고 지지해달라고 호소하는 데는 기가 찹니다. 게다가 어디서 번호를 알았는지 휴대폰 홍보 전화로 늦잠의 단맛까지 뺏어가는 걸 보면 가증스럽기까지 합니다.  
 
각 당 모두가 선거철이 되면 ‘변화’를 내걸지만 그 ‘변화’의 정체가 무엇인지는 선뜻 와 닿지 않습니다. ‘99%의 서민이 활짝 피는 미래비전’이라는 글귀도 보았고 ‘변화 실천 맞춤, 진실을 품은 약속’이라는 말도 보았습니다. 우리나라는 99%의 서민과 1%의 非서민층만 산다는 얘기인데 그렇다면 정당이 당선시키고 싶어 하는 200여 가지 특권의 국회의원들은 어디에 속하는지 궁금합니다. 1%와 99%의 명확한 개념 설정 없이 선거에 임박해서 들이대는 계급투쟁적인 용어의 비합리성부터 고쳐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비 측은 우리도 변화했다면서 세대별 공약을 열거해보지만 공격 측은 ‘민생파탄’이라며 의회 권력을 되찾겠다고 칼날을 갑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국가의 기반인 안보환경에 대한 인식과 정신이 아닐까 합니다. 우리나라는 안보의 미비로 인하여 역사상 930여 차례의 외침에 시달렸다고 합니다. 오죽하면 민주통합당에서 갈라져 나온 정통민주당이 이번 총선에서 ‘투철한 국가관이 선택의 기준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했겠습니까? 
 
그들은 며칠 전 논평에서 “지금 우리 사회는 두 가지 어려움에 봉착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훼손시키는 반체제적, 반국가적 기도와 통일ㆍ안보ㆍ복지 등 국가 중요 정책과 관련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국민 합의 기반의 양극화 현상이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만행을 북한 소행으로 볼 수 없다느니 원인 제공을 남측이 했다는 등 궤변을 늘어놓으면서 유권자의 지지를 호소하는 후보와 국익에 미칠 영향은 아랑곳하지 않고 이미 발효된 한미 FTA 폐지를 정강정책으로 하는 당은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공천을 자당의 이념과 코드에 맞는 인물 위주로 채우고 그것도 모자라 이념이 꽤나 달라 스스로 둘로 쪼개졌던 ‘종북성’을 지닌 정당과 선거연대까지 하여 ‘무리수’를 두는 민주통합당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라고 할 만하죠. 존립의 목적을 국익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정권을 위해서는 누구와도 야합할 수 있다는 마키아벨리적인 정치공학이라면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말로 들립니다. 
 
최근 정운찬 전 국무총리는 동반성장위원장 직을 사퇴하면서 “부의 균형추가 심하게 기울어지면 민주주의의 위기가 찾아오는 법이다. 동반성장이란 시대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정부가 진정성 있는 의지를 보여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근본적인 문제는 정부가 아니라 정치, 그것도 시대정신과 무관한 국회 탓이 아닌가 합니다. 물론 정부는 무한성을 지닌 조직이고 국회는 극언하자면 4년 임기에 ‘물갈이’다, 뭐다 해서 낙동강 오리알처럼 사실상 해산되는 ‘임시직’들의 모임으로 자기들의 성장에 급급한 판이니 국민들의 동반성장에 대해 무슨 깊은 열의와 철학이 있겠느냐는 생각이 듭니다. 
 
안타까운 것은 그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것. 법치 국가 기능의 근간은 법을 만드는 국회의 기능이란 것이죠. 부의 편법 대물림으로 비판받는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으로부터 이재용 씨로의 승계가 가능했던 것도 비상장사인 에버랜드 전환사채의 헐값 인수를 쉽게 끝내 계열기업 지배구조를 장악할 수 있게 한 법의 맹점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이를 배임으로 고발한 40여 명의 법학교수들의 선두에 선 것이 오늘날 서울시 교육감으로 논란의 정점에 선 곽노현 방송통신대 교수였죠. 이런 법의 불비는 국회의원들의 무지와 태만 때문이었습니다.
 
구체적인 대안 제시가 없는 구호는 선전ㆍ선동에 가깝죠. 지금 입만 열면 ‘경제 민주화’를 외치지만 1987년 10월 개정 때 들어간 헌법 119조 2항의 ‘경제 민주화’를 위해 무엇을 해왔는지 자문부터 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을 금과옥조로만 내세울 게 아니라 그 앞의 1항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는 전제도 잘 지켜야 할 것입니다.   
 
올해 국민들이 내는 세금 262조원을 포함한 총지출 326조 원의 예산을 선심 쓰듯 이리저리 퍼주는 ‘票퓰리즘’사업은 누구라도 할 수 있습니다, 돈 주면 못 쓸 바보가 어디 있나요. 국회의원이 되려는 사람들은 정부가 제출하는 법만 통과시키는 ‘통법부’ 요원이 되지 말고 무엇보다 좋은 나라, 좋은 사회로 이끌 법률을 잘 만들라는 것입니다. 어느 선거 구호보다도 ‘좋은 법률을 많이 만들겠습니다.’ 필자가 국회의원 후보자들에게서 가장 듣고 싶은 말입니다.
 
김영환
자유기고가.
한국일보, 서울경제 근무. 동유럽 민주화 혁명기에 파리특파원. 과학부, 뉴미디어부, 인터넷부 부장등 역임.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치악산님의 댓글

치악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4.♡.13.64 작성일

정치와 이념은 개인적인 취향으로 가슴에 담아놓고, 스스로 판단해서 행동하는것!
지금 한국의 넷티즌들은 마치 정신병자들처럼, 악성댓글로 도배하면서
상대깍아내리기가 기승을 부립니다. 선거후 정신적인 후유증이 예상됩니다.
인도웹에 상기 글은 어떤의도로 올리셨는지? 갸우뚱합니다.
beauticians 님께서 명쾌한 댓글 저도 함께합니다. 역사는 감춘다해서 감춰지는것이아니고,
역사를 근거로 잘못을 바로잡고, 미래를 바로보며 예측하는 것이지요.
타국에서 안타깝게 조국의 흐름을 바라만보고있는 동포들께 희망과 위로의 글들로
채워지길 간곡히 부탁드림니다.

후니님의 댓글

후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8.♡.60.148 작성일

오늘 뉴스를 보니 경북대에서 안철수에게 '빨갱이'라고 했다는 소식이 있더군여.ㅠㅠ
진리를 탐구하는 대학생도 이렇진대, 일반 시민들이야 이런 주장의 맥락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겠지여.
그 과정에는 반드시 이렇게 정권과 권력에 부역하는 언론인들이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나치에 부역했던 언론인들을 처단한 역사가 있져. 이들의 해악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주변의 '레드 콤플렉스', 다른 의견을 인정하지 않는 '나 아니면 적'이라는 이분법적 논리는 모두를 망칩니다!!!

Isaac님의 댓글

Isaac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0.♡.75.33 작성일

처음에는 어떤 글인지 쭉 읽어보다가, 다섯번째 단락에서 '풉!'하고선 넘겼습니다.
저는 좌우의 문제, 이념의 문제는 잘 모릅니다.
다만 어떤 것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지는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정말 잘 포장된 글이라 pass 합니다.

beautician님의 댓글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0.♡.12.225 작성일

이런 애매한 글은 '잔상효과'를 남기려는 의도를 갖는게 보통입니다.
대놓고 얘기하며 특정 결론으로 몰고가진 않지만 중간중간의 예문과 인용 등에서 어떤 일을 마치 기정사실처럼 얘기해 버려 독자의 마음에 그런 인식을 무의식적으로 심어주는 것이죠. 좀 지나치게 말하자면 고도의 심리조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목과는 달리 1%와 99%를 나누는 것을 니들이 잘 몰라서 하는 짓이라 폄하하고(세번째 단락), 민주통합당이 뭔가 큰 문제가 있어 떨어져 나온 정통민주당이 그나마 야권에서 제대로 정신차리고 있는 인간들인 듯 인용하면서 야권의 분열을 부각하고 천안함과 FTA 문제의 정부측 입장을 야권에서도 주장하는 듯 강조하지요(네번째, 다섯번째 단락). 천안함 문제에 이의를 제기하면 무조건 종북 빨갱이고 FTA 폐기하려 하는 놈들은 국익에 역행하는 반역자라는 일방적 주장을 저변에 깔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자세히 읽어 보면 이 글은 마치 그렇지 않은 것처럼 잘 포장된 여당지지 컬럼인 셈입니다.

그래서 그런 상황에서 글쓴이가 정말 그렇다는 건지 그렇게 들린다는 건지 중간에 애매모호하게 뭉뚱그리는 아래의 문장 :

목적을 국익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정권을 위해서는 누구와도 야합할 수 있다는 마키아벨리적인 정치공학이라면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말로 들립니다.

은 가증스럽기 짝이 없는 얘기죠.  이건 야권연대를 비난하는 말이지만 실제로 이 말대로의 상황이 우리 정치역사상 벌어졌던 사건은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이 90년대 초반에 뻔뻔스럽게 자행한 삼당합당이었습니다. 군사정권과 여당에 대항해 싸우라고 국회의원으로 뽑아주었던 저명한 야 당 지도자, 강력한 야권 대통령 후보였던 김영삼씨가 자기가 DJ를 누르고 반드시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급기야 국민들을 배신하고 오히려 군사정권의 손을 잡았던 야비한 사건이지요.

밀실에서 벌어진 이 후안무치한 사건을 통해 민정당이 신한국당으로 변신했던 것인데 그 이후에도 계속 옷을 갈아 입다가 한동안 '딴나라당'이란 옷을 입고 있었고 이젠 '새머리당' 옷으로 또 갈아 입었던 겁니다. 이 글을 쓰신 분도 명색이 기자출신이시니 이 사실을 모를 리 없으면서 그 삼당야합의 후신인 현 정권/여당을 옹위하여 거꾸로 야권연대를 공격하는 데에 뻔뻔스럽게도 위와 같은 문장을 사용했다는 생각을 하면 내 손발이 다 오그라듭니다.

진실 바꿔치기는 이런 잔상효과를 노리는 글들의 가장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글은 양심상 대놓고 여당 손을 들어주진 않지만 결과적으로 국회의원들이란 놈들도 특혜나 누리는 1% 족속이라는 방향으로 몰고 가 그런 환멸감을 통해 선거의 김을 빼고 투표율을 낮추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것 같이 보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의 부재자투표는 이미 끝났지만 총선을 앞둔 조국의 유권자들이 이런 글들에 현혹되지 않기를 기대합니다.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27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510 일상 뻥튀기~ 댓글5 마르티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13 7206
5509 일상 출국 날짜가 잡혔습니다. 댓글2 첨부파일 카츠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23 8321
5508 일상 안녕 하신지요. 댓글7 카츠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16 8408
5507 기타 인도네시아 도금 기술 및 수준 댓글18 첨부파일 saranghaz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29 6617
5506 일상 국내 최초 슈퍼푸드 김밥 맛집.jpg 안테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25 6218
5505 일상 오류? 댓글1 동그라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18 4425
5504 일상 혹시 인도웹 포인트 나눠주실분..ㅠ.ㅠ 댓글3 또리또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25 4649
5503 일상 외국에선 사기꾼을 조심합시다 댓글10 스티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14 6951
5502 감동 그 버스를 타세요... 댓글4 찬바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02 6300
5501 감동 시 모음-해외 생활 단상(1) 댓글2 지구촌나그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25 5913
5500 감동 호반도시 루가노에 대한 잔상 댓글5 첨부파일 지구촌나그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29 5470
5499 감동 Never ever give up... 무사의노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29 5014
5498 감동 ♡아내를 울려버린 사랑 이야기♡(펀글) 댓글2 블록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06 5415
5497 감동 (펌) 아름다운 청구서 댓글2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30 4236
5496 감동 화류와 한류 댓글1 ikaru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09 4942
5495 감동 메세지 왔다~~ 댓글2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2 5177
5494 감동 오리를 잡으려면[펀글] 댓글6 곰곰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6 4673
5493 감동 배호 노래모음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5 8698
5492 감동 친구인 그대가 좋습니다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9 4308
5491 감동 다시 돌이킬수 없는 네가지......... 댓글7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12 6629
5490 감동 해탈... 댓글2 어스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1 3969
5489 감동 필사모의 취지를 더욱 분명하게 하는 바램에서. 댓글6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08 5921
5488 감동 이것이 진실입니다.(필립글입니다) 댓글2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28 6248
5487 감동 우리 친정 엄마는 바보 댓글4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27 5641
5486 감동 나는 늘 꼴찌의 삶입니다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6 4559
5485 감동 33살 어느 주부의 감동글... 댓글10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7 6162
5484 감동 재미있는 ABC 댓글3 올인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8 4560
5483 감동 Mimpi itu Nyata - Mujizat itu Nyata goodneighb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1 5950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