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면역력에 대하여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538)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면역력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신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39.163) 작성일12-10-11 11:45 조회3,289회 댓글1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3551

본문

안녕하세요. 저는 한의사 김석현입니다.
작년에 K-TV에서 교민을 위한 건강강좌를 진행하였었는데 그 내용을 아직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강좌의 내용을 올려드립니다. 애들이 아플때, 감기, 티푸스 등에 대한 대처방법에 관한 내용이오니 부디 해외에서 건강한 생활을 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소 딱딱할 수 있는 내용이라 방송용 구어체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의1; 면역에 대한 이해- 중요성 인식


집을 떠나 생활하면서 가장 슬프고 서러울때가 언제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로 아플때라고 대답하십니다. 먼 이국땅에서 생활하는 교민들에게는 더욱 와 닫는 말일 수 있는데요. 생활 문화가 다른 이국땅에서 나의 몸상태를 표현하고 진료를 받는 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쉬운일이 될 수는 없으니까요

그래서 KTV는 교민들의 건강생활을 위해 한방으로 푸는 건강상식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부터 인도네시아 교민들의 건강을 지켜주실 김석현 원장님을 만나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의사 김석현입니다. 이번에 교민을 위한 방송인 K_TV에서 교민 건강관련 강좌를 마련하게 된 것을 축하드리고 부족한 제가 이 강좌를 진행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서 교민건강과 깊은 관련이 있는 질환을 위주로 강좌를 진행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해외에서 생활하는 분들에게 가장 어려운 점을 꼽으라면 공통적으로 1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게 가족들의 건강문제죠. 사실 아플 때 믿고 찾아 갈수 있는 병원과 의사가 있다면 힘든 타국생활에 그나마 위안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실력있고 훌륭한 의사를 만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 몸안에 이미 훌륭한 의사가 있음을 깨닫고 이 절세의 명의가 그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또한 그리하기 위해서는 내 몸안의 의사인 면역력을 잘 이해하는 게 필요하고 이를 잘 이해하면 문제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지혜도 절로 생겨나게 됩니다.


(질문) 그러면 사람들이 의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춰야 하겠네요?

물론 그런 이야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아이가 아플때 마다 제때제때 치료받고 하는데도 자주 아프고 하다면 무언가 다른 문제가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정도는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고, 이건 의학지식의 문제라기 보다는 삶의 지혜의 문제라 할 수 있죠.

자 이제 자카르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김씨네의 예를 들어봅니다.


아빠-열체질, 땀이 많고 찬것 좋아함, 복부비만형 고혈압 고지혈증 다발, 심하면 당뇨, 심장병/

엄마-냉체질 몸이 차고 항상 기운 없음 소화 안 됨, 감기 티푸스 종종/

아들-아빠 닮아서 찬것, 면류, 육식 좋아함. 비염 또는 아토피, 에어컨 안 켜면 잠 못잠/

딸-엄마 닮아서 냉체질, 생리불순, 복통, 두통 자주, 감기 잘 걸림

물론 모든 가족이 이렇게 전형적이지는 않겠죠. 아빠 엄마의 유형이 반대일 수도 있고 아들, 딸의 유형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가족이 많습니다.

여기서 보듯 아빠 엄마의 생활습관은 전적으로 아이의 건강에 영향을 끼칩니다. 특히 에어컨과 냉장고를 애용하는 생활습관이 문제죠. 차가운 바람와 차가운 물은 피부의 순환과 복부 내부의 순환을 힘들게 하여 정상적인 영양의 흡수와 면역기능을 떨어뜨립니다. 그 결과로 무기력감과 피로를 자주 느끼고 감기, 배탈등으로 자주 아프게 됩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복잡해서 어디 살겠나. 아프면 병원가면 되지 뭐” 이렇게 생각하는 부모는 없을 것입니다.

의성 히포크라테스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약으로도 고치지 못한다” 그만큼 생활습관 특히 식습관이 중요하다는 말이죠.


(질문)그러면 어떤 생활습관이 면역력을 올려주고 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키워 줄까요?

우선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면역이 무엇인지를 일단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면역의 역할은 크게 몸의 방어몸의 청소입니다.

몸의 방어는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듯 항원,항체 반응을 하는 b세포와 과립구와 림프구가 주된 기능을 하는 t세포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세균성침입에는 주로 과립구가 대응하고 감기등의 바이러스침입에는 주로 림프구가 대응하고 있죠.

두 번째 몸의 청소는 우리가 흔히 면역에서 간과하기 쉬운 부분인데, 세포가 만들어내는 노폐물, 그리고 죽은 세포, 암등의 이상세포가 온몸에 넘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잡아먹는 대식세포, N-k 세포등의 역할이 필요하게 됩니다.


질문추가)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면역체계가 활성화되기 조건은 무엇일까요?

여러 조건이 필요하지만 그 중 핵심적인 조건은 복부가 따뜻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좀더 풀어서 설명하면 “위장관에는 거대한 림프조직이 점막면역을 구성하는 데 그 조직이 차가워지면 면역물질들이 활성화되기 힘들다”(아보 도오루, 세계적인 면역학자)는 말입니다.

우리가 아프면 열이 나는 이유도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인 것이죠. 평소에 배가 차가운 사람은 아플 때 열도 충분히 안 나고 땀도 잘 안 나게 됩니다. 따라서 감기가 걸렸을 때 해열제나 항생제를 함부로 쓰면 이토록 소중한 열을 까먹게 되고 면역력을 더욱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항생제의 내성이 문제가 아닌 것이죠.


질문추가)그러면 한의학에서는 서양의학과는 다른 "이열치열"의 방법 즉, 열을 더 나게 하는 방법을 쓴다는 말인가요?

한방에서는 열을 단순히 끄는 게 아니라 그 열을 땀을 통해 풀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실제로 고열에 시달리다가 땀을 많이 흘리면서 열이 풀어지는 경험을 해보셨을 겁니다. 땀은 몸의 방어체계가 충분히 활성화되었을 때 비로소 열을 식히게 하는 자동조절 시스템입니다. 그렇기에 열이 날 때 땀이 나는가, 안 나는가 하는 것은 한방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그널이 되는 것이죠.

실제 임상에서도 보면 감기가 2주 이상 오래가는 아이들은 평소에 찬 것을 많이 먹거나 배가 차서 식욕 자체가 없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면역력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것이죠. 심지어는 감기가 들어있는 상태에서도 여전히 찬 것을 먹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만큼 평소의 습관이 중요합니다.


오늘시간은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면역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면역력을 해치지 않는 건강한 생활습관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면역에 대한 이해는 몸에 대한 이해이며 이를 통해 앞서 말씀드린 "삶의 지혜"를 획득해 가는 과정인 것입니다.

다음시간은 "감기"라는 실제적인 문제에 대하여 오늘 배운 면역이론을 활용해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curious님의 댓글

curiou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149.151 작성일

요즘 이마에 그전에는 나지 않던 여드름 같은것이 많이 납니다.
났다가 한달정도 유지되다가 다시 나타나고를 반복하는데, 이것도 면역력이 약해서 그런건 아닌지?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3,880건 27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52 기타 연말 술자리가 많아지는 시기 건강관리법(건강헬스 참조) 주주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30 3275
3151 노하우/팁 한국에서 사야하는 물품 어떻게 받으세요? 스마트바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03 3282
3150 기타 좋아요2 인도네시아 공정선거 시민감시단 첨부파일 LukeJ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7 3282
3149 일상 타짜 노다총리 kuk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26 3282
3148 유머 밥상도 퀵서비스 시대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1 3284
3147 유머 정치인과 개 이야기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21 3285
3146 일상 좋아요3 [평지풍파] 어그로를 끌어보자(5)-성탄특집2 댓글1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24 3287
3145 일상 컴퓨터 시대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8 3288
3144 기타 Patrick 강사의 내신 영어 정규반 개강 StevenAcade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02 3289
3143 감동 보람있는 말년을 위하여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02 3290
3142 일상 입춘대길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04 3290
열람중 기타 면역력에 대하여 댓글1 신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11 3290
3140 기타 감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신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07 3292
3139 일상 어느 점쟁이의 죽을뻔한 얘기 댓글3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3 3292
3138 일상 좋아요3 맛집, 식당, 여행상품 검색 앱 리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12 3294
3137 일상 아름다운 가을풍경 !!! 환상이다 환상...... 댓글3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4 3295
3136 유머 노트북의 뜻밖의 기능!!! 댓글2 하늘의희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17 3296
3135 노하우/팁 싱가포르 취업에 관심있는 분들한테 좋은정보! kukah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29 3298
3134 유머 10억이라고 합니다 댓글1 뿔루잇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02 3301
3133 답변글 일상 제발 현지인 여성에게 함부로 대하지좀 맙시다 댓글1 Leopar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2 3302
3132 노하우/팁 루삐아 --> 원화 or 달러 구합니다. 맘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28 3306
3131 유머 사유리 어린시절 댓글1 아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03 3307
3130 감동 호롱불 같은 사람이 되려무나!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23 3309
3129 답변글 일상 또 다시 체리가... 편식하면 안될 것 같은데....ㅋㅋㅋ 나이스가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4 3311
3128 유머 좋아요1 인도웹 만화 KITA 7월 3주차 업데이트 목록 매니저 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13 3315
3127 일상 奇僧 春城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31 3316
3126 기타 우리아이 어떻게 성장하나?- 1 <1-5개월> 윤주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7 3317
3125 일상 <급> 3/23 or 3/24 중국 상하이 쪽으로 들어가시는 분 Boranchi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22 332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