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약간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산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33)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약간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121.115) 작성일14-07-21 11:05 조회3,471회 댓글4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3811

본문

 | 작성자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정상’ 체중이 ‘비만’보다 사망 가능성 더 높아
‘살찌면 빨리 죽는다’는 통념은 ‘상술’ 가능성

건강과 질병의 경계는 어디인가를 둘러싼 의학계의 논란이 뜨겁다. 하지만 일반 시민이 전문적인 의학 지식에 두루 밝기는 어렵다.

무지는 공포를 부른다. 적잖은 이들이 가벼운 증상만 있어도 새로운 첨단 의료기술을 적용해 치료받아야 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전에 없던 질병이라도 걸리면 패닉에 빠지지 않기가 어렵다. ‘공포 마케팅’이 번성할 토양이다.

한국에서도 과잉 진료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무엇이 과잉 진료를 부르는 것일까. ‘공포 마케팅’ 및 과잉 진료와 관련한 반성을 이 기획 연재물에서 담으려 한다. 이 기획 연재물은 어찌어찌하면 건강해진다는 ‘정답’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지 않다. 다만 질병과 건강, 그 흐릿한 경계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함께 고민하는 글이고자 한다.

예를 들어 아침에 일어나 식사 전에 혈당을 쟀을 때 125㎎/㎗이면 당뇨가 아니고, 126㎎/㎗이면 당뇨라고 하는 것이 과연 타당하느냐는 것이다. 현재 공복시 혈당이 125㎎/㎗이면 ‘당뇨 전 단계’로 분류되며 관리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의사한테 듣게 된다.

의학계에선 이런 수치를 일정한 규모의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수십년간의 관찰을 통해 정한다. 즉 통계다.

그런데 이 수치가 잘못됐다면? 예를 들어 수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혈당치가 사실은 140㎎/㎗이상인데, 이 기준치를 14㎎/㎗을 낮춰 126㎎/㎗으로 정했다고 가정해보자. 126~139㎎/㎗에 해당되는 이들은 불필요한데도 혈당 조절 치료를 받으면서 치료비를 낭비하고 심지어 치료를 위해 복용한 약 때문에 약물 부작용에 시달릴 수도 있다.

최근 의학계에선 고혈압·당뇨·비만 등 각종 ‘생활 습관병’의 기준치에 대한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비만의 경우는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험 가입자의 비만 관리에 나서겠다고 할만큼 사회적 관심도 크다.

그런데 비만 기준치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기준치를 재설정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비만 기준은 보통 ‘체질량지수’를 쓰는데, 이 수치는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수치가 23 미만이면 정상, 23 초과~25 이하면 과체중, 25를 넘으면 비만에 해당된다. 또 30 이상이면 ‘고도 비만’으로, 20 미만이면 저체중으로 분류된다. 비만을 연구하는 학회나 질병관리본부는 과체중부터 사망 위험이 높아져, 비만이나 고도비만이 되면 정상 몸무게보다 많게는 2배 가량 사망 위험이 커진다고 밝혀 왔다.

하지만 최근에 나온 연구 결과들은 이와 다르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유근영·강대희·박수경 교수팀이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7개국의 114만명을 평균 9.2년 동안 추적 관찰한 뒤 내놓은 결과를 보면, ‘약간 통통한’ 사람의 사망 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왔다. 체질량지수로는 ‘가벼운 비만’으로 분류되는 25.1~27.5에 해당되는 이들이다. 이어 과체중(체질량지수 22.6~25)으로 분류되는 이들의 사망 가능성이 낮았다.

반면 통념과 달리 ‘정상’(20.1~22.5)에 해당하는 이들의 사망 가능성이 비만(27.6~30)보다 높게 나왔다. 이 연구 결과는 100만명이 넘는 대규모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데다, 비만이 사망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어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의학 논문집에도 실렸다. 신뢰할 만한 연구 결과이다.

연구팀은 “과체중에서 가벼운 비만에 해당되는 이들에게서 사망 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비만이 질병 위험을 높여 사망 가능성을 높인다는 생각이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에게는 틀렸다는 뜻이라기 보다 이들 나라에서는 비만의 기준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는 더 있다. 윤병우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이 전국 33개 병원 뇌출혈 환자 1350여명을 조사했더니, 비만인 뇌출혈 환자가 정상 몸무게를 가진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더 낮았다. 체질량지수 기준으로 비만에 해당되는 뇌출혈 환자의 사망 위험이 정상 몸무게인 환자보다 61% 낮았고, 과체중에 해당되는 이들도 정상 몸무게인 경우보다 69%나 낮았다.

반면 정상 수치보다 몸무게가 가벼운 경우엔 정상 몸무게보다 사망 위험이 64% 늘었다. 몸무게가 더 나가는 쪽이 덜 나가는 쪽보다 뇌출혈에 의한 사망 위험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윤 교수팀은 “한국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비만 기준이 적절한지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다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선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하겠지만, 적어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준치가 100% 타당한 건 아니었다는 해석은 가능하다.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지금의 비만 기준치에 맞춰 몸무게나 건강을 관리하는 게 되레 사망 가능성을 높이는 엉뚱한 짓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걸음 더 나가면, 몸매를 상품화하는 사회가 ‘무조건 날씬해야 건강하다’는 그릇된 신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건 아닐까? 비만 수치가 지방을 추출하는 시술이나 살 빼는 약 등을 판매하는 데 이용되는 상술의 하나일 수도 있다는 의심은 지나친 비약일까?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8,426건 249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82 일상 韓 탄도미사일의 사거리 업그레이드 ~ 댓글1 스마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08 3472
1481 일상 귀국하는데 포인트 부탁드립니다 박세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1 3472
열람중 기타 약간 통통한 사람이 오래 산다 댓글4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21 3472
1479 일상 인도웹에는 왜?? 바람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3 3471
1478 유머 짧지만 강한 슬픔을 주는 이야기 댓글4 첨부파일 고구마구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5 3471
1477 유머 당구의 5대 정신 댓글1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30 3470
1476 일상 끄망자야 vs 꾸스마찬드라 댓글1 bjin0618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15 3468
1475 일상 talk talk korea 3 참 좋은 친구 댓글2 handanj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24 3468
1474 일상 건담 프라모델이 여기 생각보다 비싸네요!! 댓글2 쿠루쿠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16 3468
1473 일상 오늘도 지식인은 평화롭습니다. 지누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10 3467
1472 유머 오이를 본 고양이들의 반응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26 3467
1471 일상 게임할때 렉이 걸리시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첨부파일 Yej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1 3466
1470 일상 헷갈리는 호칭?? 댓글10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2 3466
1469 일상 벤츠 개똥투척녀 ㅎㄷㄷㄷ 지누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5 3466
1468 일상 새로운 게시판을 제안합니다 댓글2 선한마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21 3466
1467 유머 체했을때 여자친구가 응급치료를 해줬다. 그래서 죽을뻔 했다. derk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27 3465
1466 유머 마누라가 집을 비울때 남편의 심정 댓글2 derk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2 3465
1465 푸념 좋아요1 대사관 댓글4 0908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17 3464
1464 일상 [빡침] 육상 100m 우승자의 오만한 싸가지 댓글1 맘마미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6 3463
1463 일상 한국에서 보수란 사람들? 댓글1 첨부파일 고구마구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15 3463
1462 일상 루피아를 원화로 환전 늘항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8 3463
1461 기타 웃는 놈 앞에는 장사(癌도) 없다.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3 3462
1460 기타 인간제초기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22 3462
1459 일상 새로운 경험 2 댓글2 첨부파일 크리스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0 3459
1458 일상 벵켈은 왜이리 오래걸리는지.. 댓글1 계란인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24 3459
1457 일상 포인트 구걸좀 할게요 ㅜㅜ 도와주세요... 댓글6 만성피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14 3458
1456 기타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 의약품 안전사용 메뉴얼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5 3458
1455 일상 달인 김병만도 일본 진출 맘마미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3 3457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