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제안)교민,교포라는 단어 대신 동포 또는 한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자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02)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제안)교민,교포라는 단어 대신 동포 또는 한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버섯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4.72) 작성일11-03-11 17:49 조회5,000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10549

본문

대한민국을 떠나 해외에서 사는 한국인들의 숫자와 지역이 늘어나면서 해외 거주 한국인들에 대한 다양한 호칭이 등장한다.영어로 표현하면 간단할 '코리안'이 교포(僑胞), 동포(同胞), 교민(僑民),한인(韓人),한국인(韓國人),재외국민(在外國民),재외교포(在外僑胞),재외동포(在外同胞), 해외동포(海外同胞) 등 다양한 표현으로 사용된다.
 
1990
년대 중반부터 미국한인사회에서 "교포라는 표현 대신 동포, 한인이라고 씁시다"라는 조용한 캠페인이 언론사 중심으로 전개된 적이 있다. 그 캠페인 때문인지 미주한인사회에서는 그 후 "교포" "교민"이니 하는 ""자가 사라졌다. 대신 "동포"라는 표현이 늘고 한인 신문사나 방송사에서는 "한인"이라는 표현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미주한인들의 자체적인 캠페인 영향인지 당시 한국정부에서도 '교포'라는 표현 대신 '동포'라는 표현을 사용했고 그 때쯤 정부가 공식적으로 해외거주 한인들에 대한 호칭 문제를 재검토해 확정하기도했다

정부에서는 동포라는 표현은 혈통중심의 한겨레 한민족을 뜻하는 호칭으로 사용하고 법률중심인 국적법에 근거에서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재외국민과 대한민국국적이 없는 외국국적 동포로 분류했다.
동포는 가슴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재외국민은 머리로 사용하는 용어로 정리된 것이다.
미주동포사회(미주한인사회)는 재외국민(미국거주 대한민국 국적동포)과 미국국적 동포(미국시민권 소유 한인)가 살고 있는 셈이다.
이를 계기로 정부기관에서는 '해외교민청' 신설법안 건이 '해외동포청' 또는 '해외한인청' 신설 법안으로 용어가 바뀌고 '재외교포특례법'이 아닌 '재외동포특례법'이란 용어로 정착됐다.
 
미국 한인사회에서 교(
)자 추방운동을 전개한 이유는 ()자의 의미(훈음) '더부살이 교'로 별로 않좋은 의미로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용어라는 점이다. 남의 집이나 타향(타국)에서 임시로 몸을 붙여 산다는 '떠돌아 다닌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본가가 어려워서 남의 집에 임시로 신세지고 살아간다는 의미도 있고, 크게는 본국이 불안하고 어지러워서 타국으로 떠돌아 다닌다는 의미다.
 
영어 표현으로는 디아스포라(diaspora)의미다. 즉 특정 인종집단이 기존에 살던 땅을 자의적이거나 타의적으로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난민과 흡사한 뜻이다.
본토를 떠나 항구적으로 나라 밖에 자리잡은 집단에 사용하는 디아스포라가 한자어로 떠돌아다는다는 교(
)자와 같은 의미다.
 
일제치하에서 본국에서 살기가 어려워 만주나 연해주로 이주한 동포들을 교포라고 할 수 있고, 극심한 식량난으로 탈북하는 탈북동포들을 북한에서 지칭할때 교포나 교민이라고 할 수 있다.

동포는 한 핏줄 한 형제라는 혈육적인 긍정적 의미가 있지만 교포는 본국에서 볼때 '본국이 아닌 해외(타국)에서 더부살이하면서 떠돌아 다니는 동포'를 지칭하는 말이다. 결코 유쾌한 표현이 아니다.
물론 교포니 교민이라는 단어 속에 떠돌아 다닌다는 부정적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고 도 이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없다. 대충 해외에 살고 있는 동포를 지칭한 것으로 교포를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제부터는 잘 알고 사용하자는 것이다.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숫자가 많이지면서 부딪치는 또 다른 호칭문제가 있다.
1992
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으로 이주한 한국인들과 중국내 조선족들과 사이에서 잘못사용하고 있는 호칭 중의 하나가 조선족 만을 동포로 부르고, 한국 국적자를 교포로 부르려고 한다는 점과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국적자들이 자신들을 동포나 교포로 부르는 것 모두를 좋아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자신들은 동포도 교포도 아닌 그냥 한국인이라는 것이다.

중국내 주요도시에 있는 한국 영사관에서도 한국 국적자들의 단체를 '교민단체'라고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고, 한국인회나 한인상공회에서도 스스로를 '교민사회'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교민회'라는 표현을 안쓰고 '한국인회'라고 쓰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내 한국계 신문들도 교포, 교민사회라는 표현을 즐겨사용하고 있고 조선족을 한국국적자들과 구분해 교포가 아닌 동포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 모든 것이 잘못사용되고 있는 표현이다.
 
동포는 한계레 한민족을 상징하는 민족내부의 우리끼리 표현이다. 남한동포, 북한동포, 미국,일본, 중국 등 해외동포 모두가 이같은 동포범주에 속한다.
'
남북한 그리고 해외 동포여러분'이라는 표현은 한핏줄 한겨레를 의미한 것으로 모두가 한형제 자매라는 단일민족을 강조한 의미다. 조선족과 한국인을 구별하자면 조선족 동포, 한국인 동포가 맞다. 합치면 그냥 우리모두 같은 동포다동포는 모두 한인이다.
 
1909
10 26일 중국 하얼빈 역에서 이등박문을 사살하고 1910 326일 중국 여순감옥에서 순국한 안중근 장군은 수감시절 자신의 이름을 쓰면서 언제나 당당하게'대한국인 안중근'이라고 썼다. 100년 전의 안중근 장군이 스스로 이름 앞에 쓴 '대한국인' '한국인'이고 '한인' 아닌가?
 
한국으로 이주한 조선족 동포들 중 한국국적 취득자가 갈 수록 늘어나고 있다. 한국에서 한국 국적으로 살고 있는 조선족 동포는 국적취득 유무와 무관하게 영원히 조선족으로 불러야 하는가? 아니다, 그들도 '대한국인'이고 당당한 '한인'이고 국내동포의 일원이며 영어표현으로는 코리안이다.
조선족이라는 표현은 중국인들이 자국내 소수민족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낸 용어다. 때문에 한인들이 중국거주 동포들에게 조선족이라고 부르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다. 다만 중국인들이 중국내 한인들을 조선족이라 부르는 것은 간섭할 대상이 되지 못한다.
 
교포라는 표현은 '본국에서 해외에 살고 있는 동포를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외에 거주하는 사람들끼리는 사용하기 어색한 표현이다.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중국내에서,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 끼리 교민사회이니 교포사회니 하는 용어사용은 부적절 한것이다
 
지구촌 곳곳에서 주인으로 당당하게 살고 있는 우리가 '남의 나라에서 빌 붙어 사는 떠돌이'라는 뜻의 교민이나 교포가 될 수는 없지 않는가?  지구촌 어디든지 우리는 한민족 한 핏줄의 동포이며 대한국인, 한국인,한인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오장동님의 댓글

오장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2.♡.25.45 작성일

범거래잠수함님 글에 저도한표~
페이스북처럼 추천클릭할수있는거 있음좋겠습니다...관리자님..

버섯돌이님의 댓글

버섯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0.♡.94.72 작성일

저는 개인적으로 한인이라는 단어가 맘에 듭니다.동포는 너무 포괄적이고 약간은 촌스럽고...ㅋ
교민이라는 단어가 실제 어원이 일본 식민지 시절에 있었다고 합니다.
나라를 잃고 여기저기 떠돌아다니고 해방이 되면 고국으로 돌아갈 것이기 때문이죠. 일본에 강제로 이주된 사람들을 왜인들이 얕잡아 보며 "떠돌이"라는 의미로 부르게 된거죠..조센징이나 마찬가지로...흡사 "집시"를 연상합니다.
왜인들 자기들로 인해 떠돌던 것을...우리 민족을 너무 얕잡아 본거죠...
그런 것이 조선일보/중아일보 등 신문/언론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어느새 일반화 되어 버렸습니다.
예전 보도문을 보면 "동포"로 많이 사용되다가 어느새인가 "교민"으로  바뀌어버린 것을 느끼실 겁니다.
참 암담한 현실이죠,. 아직 그 잔재가 많이 남아서 이런 몸부림을 치다니...(보통은 별로 신중히/중요히 생각 안합니다만,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바꾸려 하죠)

이런 내용의 글은 안쓰고 위의 게재 글만 알리려 했습니다.
윗글은 좀 일부 그쪽(친일)과 충돌을 피하고자 일반적인 사실만을 기록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젠 한인 등으로 씁시다.의식적으로...

범고래잠수함님의 댓글

범고래잠수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0.♡.232.3 작성일

여기 장기 거주하고 있지만..

일본,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과는 다르게..
여기 인도네시아는 순수 이민목적으로 오신 한국 분들이..
1%이하일듯 합니다.
(뭐 결과론적으론..이민하는 것과 큰 차이없게 장기 거주하시는 비중은 그 보단 훨씬 높긴 하지만여. ^^;)

그래서..인도네시아 교민이..교포니 그런 명칭 자체가 인도네시아 거주 한국인들에게는
별로 안어울린다는 생각을 이전 부터 해왔구..
저는 인도네시아 거주 한국인이라는 표현을 의식적으로 써왔습니다.

뭐 그래도 너무 길어서..결국은 한인/교민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게 되긴 하지만..
역시..그래도..여기 거주 한국인들은..미국이나 일본 거주 한국인과는..
개념이 아주 틀리다는 것이 제 생각이고..

웬지 교민이니..한인이니 그러면..여기서 영주권/시민권/국적 얻어서..
아예 체류목적으로 사는 것은 아니니..미국,일본 거주 한인들과 구분없이..
웬지 도매급으로 그냥 넘어가는 듯한
약간 억울한 느낌이 든자면..저만 그런 걸까요? ^^;
특히나 해외동포 뭐 이런 식으로 한국에서 막오신 분이 이야기하면 은근히 기분 나쁘더군여. ==;

P.S.
뭐 여기도 20~40년 더 지나구..
여기 여건도 바뀌어서..
2세대 3세대가 주류가 되면서..
순수 거주 목적으로 계시는 분 많아지면..
뭐 동포니, 교민이니 뭐 그런 호칭이 맞을지도 모르겠지만여.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8건 2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210 일상 공항 입국 관련 댓글3 꿈을꾸는아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18 4650
6209 일상 인도네시아 소셜 커머스 성공 가능성 시사 댓글3 Andrew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30 4617
6208 일상 사무실 같이 쓰실분 - JAKARTA SELATAN 댓글2 자원개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14 3959
6207 일상 당했군!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21 4329
6206 일상 소행성 탓?…러시아 운석 폭탄 '수백명 부상' - 출처 노컷뉴스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16 5240
6205 일상 뮤직 뱅크 콘서트 운영 관리는 문제 없었나!? 댓글4 ct12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11 3553
6204 일상 중고 가구,에어컨,컴푸터,냉장고팝니다 댓글4 보짜에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26 4281
6203 일상 한국 병원 금테 둘렀다.. 댓글14 물안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4 6142
6202 일상 아...열받는다. 댓글6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23 5884
6201 일상 Vitakimchi 구입고객 ~인도웹카드소지하신분 10%DC해드려요. 댓글4 첨부파일 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5-06 3854
6200 일상 현대차, 인도네시아 폭발사고 나몰라라…외교문제 비화되나 댓글1 몰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5-21 5314
6199 일상 정답알려주세요 댓글5 1500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12 4933
6198 일상 심심해 죽을 것 같아요...같이 술이라도 한잔...ㅠ.ㅠ 댓글10 두리둥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8 5982
6197 일상 이삿짐 같이 들여 오실분....... 풀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04 2890
6196 일상 報恩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7 4712
6195 일상 책임이란 무엇인가? (독일인과 일본인) 댓글1 indochin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3 3435
6194 일상 인니에서 사용중인 스마트폰 한국에서 그대로 사용하기 홍프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31 3481
6193 일상 람바다 (Lambada)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08 5250
6192 일상 최악의 관광지 우망.. 댓글8 팟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19 4626
6191 일상 술과 인생 그리고 사랑 댓글2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30 5473
6190 일상 집과 살림 일체를 한꺼번에 넘길수 있을까요? 댓글1 시나브로7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5 3832
6189 일상 원화로 달러구해요. 댓글1 꼰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3 3314
6188 일상 청년의 아이디어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17 4023
6187 일상 느려진 아이폰, 속도를 높이는 8가지 방법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09 5951
6186 일상 다시는 롯데마트 안갈랍니다 댓글20 Geffeniz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16 7873
6185 일상 허세고딩의 최후ㅋㅋㅋ 댓글2 지누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28 4578
6184 일상 영사관 토욜 근무? 댓글2 하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07 5399
6183 일상 흔한 엄마들의 착각 댓글1 sksl294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21 4497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