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아이들의 고사리 같은 두 손에 담기는 과일,'부아 잠부 아이르'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42)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아이들의 고사리 같은 두 손에 담기는 과일,'부아 잠부 아이르'

페이지 정보

작성자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236.245) 작성일09-05-01 22:37 조회5,905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2811

본문

슈퍼에서 쉽게 접할 수 있지만 아직 우리들과 친하지 않은 과일 중에 하나가 부아 잠부 아이르 입니다.

어린 아이의 입술처럼 연분홍색을 띠고, 그 표면이 매끄러워 유난히 반짝이는 작은 종 모양의 과일 입니다.

그 크기가 아이들이 한 손에 들고 베어서 먹기에 딱 좋은 법한 크기입니다.

서양에서 Water Apple 또는 Rose Apple라고 이름을 지어 부르는데, 사과 같이 생긴 붉은 빛을 감춘 이 과일의 외형에서 기인된 이름으로 보입니다.

저는 그 이름 보다는 Baby Apple이나 Kids apple쯤으로 불리는 것이 더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아침 햇살을 받으며 까르르 웃으며 놀다가, 뛰어 나간 아이들이 고사리 같은 두 손에 하나씩 들어 올 법한 과일.

햇살을 받아 빤짝이는 예쁜 모습이 아이들의 눈에 쏙 들어 갈 것 같은 과일

굳이 입에 넣지 않고 가지고 놀기만 해도 아이들을 위한 쓰임새가 될 법한 과일.

그 생김새의 어여쁨만큼 인도네시아에서 사랑 받는 과일 중에 하나가 바로 부아 잠부 아이르 입니다.

 

부아 잠부 아이르의 학명은 Eugenia Aquea Burm입니다. 식물학적 계층 구조를 살펴보면 속씨식물문(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도금양목(Myrtales), 도금양과(Myrtaceae)속하는 식물입니다. 도금양과의 식물들은 한약재로도 많이 사용되며 소화불량과 급만성위염, 구토, 하리에 많이 쓰이고 있는 정향뿐만 아니라 방부제나 방충제로 많이 쓰는 유칼립투스, 인도네시아 과일로 널리 알려진 구아바등이 속하는 식물군입니다.

부아 잠부 아이르는 말레이지아와 인도네시아를 그 원산지로 하고 있으며, 이후 인도를 거쳐 중국과 하와이등지로 유입되어 유럽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두 가지의 종이 대표적인데 Syzygium quaeum (Jambu air kecil) Syzygium samarangense (Jambu air besar)이며, 말 뜻 그대로 하나는 조금 크고 또 하나는 크기가 아주 작습니다.

스리랑카에서는 Pini Jambu, 일본에서는 Futomomo, 인도에서는 Rac apple, 미국에서는 Rose apple이나 Water apple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부아 잠부 아이르는 서양의 작은 사과와 흡사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손바닥 위에 꼭지 부분을 올려 놓고 보면 정말 작고 예쁜 종모양(bell-shaped)이 됩니다. 세워 놓은 그 높이는 작은 것은 2cm정도이고 큰 것은 5cm정도 됩니다.

블림빙이라는 과일처럼 광택이 있고, 익지 않았을 때에는 하얀색이지만 점점 익으면서 새색시의 볼처럼 예쁜 붉은색이 됩니다. 육질은 하얀색이며, 언뜻 보기에도 섬유질이 많음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냉장고에 넣었다가 먹으면 아삭아삭 소리가 나고 물이 많으며, 달고 신 맛이 있어서 새콤 달콤한 맛의 전형적인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직 덜 익은 것은 떫은 맛이 있어서 먹기에는 좀 거북한 감이 있습니다.

그 맛은 뭐라고 표현해야 할까 좀 고민되기는 하나 한국의 사과와 수박과 배를 섞어 놓았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게 조금은 낯 설은 맛입니다. 

 

이 부아 잠부 아이르를 한의학적 시각으로 살펴보면

성미가 한() 무독(無毒)하며, (), 미산(微酸)합니다. 귀경으로는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으로 들어가니, 생진윤조(生津潤燥)하며 보음양혈(補陰養血)하고 이수소종(利水消腫)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한성(寒性) 있고 폐경(肺經)과 대장경(大腸經)으로 들어가니 중초(中焦)와 하초(下焦)의 수습운행(水濕運行)을 도우며 이수소종(利水消腫)의 기능이 있다 하겠습니다. 약한 산미(酸味)로 인하여 진액(津液)의 생성을 도울 수 있으니 번조(煩燥)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으로 들어가 음액(陰液)을 보충해주니 양혈(養血)하는 효능이 더해진다 하겠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어린이들의 간식으로 많이 즐겨먹는 대표적인 과일입니다. 수분과 섬유소가 풍부하고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무엇보다도 아이들의 그 고사리 같은 작은 손에 딱 잡히는 크기에다가 그리 딱딱하지도 않으니 그냥 씻어서 손으로 들고 먹기에는 아주 안성맞춤인 과일이라고 합니다.

또한, 임신한 여성이 임신 4개월과 7개월이 되면 주변의 친지들이 모여 특별한 모임(요즘은 보통 임신 7개월에 모임을 갖는다고 합니다.)을 갖게 되는데, 이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이 부아잠부 아이르라고 합니다. 친지들이 모두 모이면 루작이라는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데, 여기에 바로 부아 잠부 아이르를 넣어 먹으며 임산부와 뱃속에 있는 아이의 건강을 기원한다고 합니다. 임신 중 자칫 허해질 수 있는 진액을 보충해주는데 도움이 되니, 이런 특별한 모임에 빠지기 어려운 과일이 되는 모양입니다.

 

민간에서도 부아 잠부 아이르를 이용해 질병을 예방한 사례를 만날 수 있는데 그 몇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과일을 깨끗이 씻은 후 작게 잘라서 물과 흑설탕을 섞어서 조린 것을 하루에 3번씩 마시면 어린이들이 밤에 오줌을 싸는 야뇨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과일 나무의 껍질을 달인 즙을 꾸준히 마시게 되면 입 안에 나는 여러 가지 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아구창을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과일 나무의 잎을 말려서 끓인 차를 복용하면 구취에 도움이 되며, 그 끓인 물로 씻으면 몸에서 나는 냄새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부아 잠부 아이르는 보통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그 과실을 거두어 들이니 그 때 가장 달고 맛있는 과일을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직 하얀색이 많은 것, 초록색이 좀 나는 것은 덜 익어 맛이 그리 달지 않고 좀 떨떠름합니다.

새색시의 볼처럼 예쁜 붉은 색을 구입하셔야 부아 잠부 아이르의 새콤 달콤한 참 맛을 느낄 수 있게 되실 것입니다.

드실 때는 냉장보관 하셨다가 그냥 씹어 드시거나 주스를 만들어 드셔도 좋습니다. 또한 샐러드를 만들어 드실 때 넣으면 그 아삭아삭하며 사각사각한 맛이 샐러드의 맛을 더 한층 높여줄 것입니다.

==============   Copyright@자카르타 솔한의원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2,480건 2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52 일상 여기 괜찮네여 댓글2 교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8 5190
2451 일상 저좀 도와쥬세요 ㅠㅠ 국제전화 분당요금이 궁금합니다. 댓글8 도꼬다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08 7840
2450 일상 오늘 Grand Indonesia에서 추락 사고가 있었네요. 댓글4 치즈케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30 6152
2449 일상 인도웹 빠찡코에서 계속 잃구 있어요... 댓글10 양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10 5141
2448 기타 면역력 키워야 신종플루 이긴다!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14 5045
2447 기타 여드름에대한 잘못된 상식 댓글2 starsta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0 4459
2446 일상 세상에 뿌려진 사랑만큼 / 서영은 ^^*| ...휴일 즐겁게 노래한곡…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6 6020
2445 일상 [♥] 나이 들어 행복한 부부로 사는 비결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30 6316
2444 감동 눈물이 핑~~ 도는, 정말 감동적인 대화 댓글7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11 5299
2443 일상 (펀)재미있는 사진 댓글1 일상야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5 4615
2442 일상 먹고 나면 화장실 가는 이유는.........? 식당 업주님들 . 댓글1 놈놈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09 4772
2441 일상 싱글 여성들의 성 생활~!! 싱글우먼 '끌리면 한다' 댓글2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03 5837
2440 일상 주지승과 동자승 댓글1 노친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1 4852
2439 일상 한국 국민 간식 떡볶이의 변천사 댓글2 첨부파일 식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7 5761
2438 기타 인도네시아에도 감이 있다? 없다? 댓글7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2 7305
2437 일상 사랑이 지는 이자리 / 이선희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5 5658
2436 감동 ㅇrㄸi의 아보카도- 작은 행복 댓글6 ㅇrㄸ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31 6353
2435 일상 점 하나만 찍어보세요! ㅇrㄸ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26 4592
2434 일상 좋아요3 자카르타 안전성 댓글14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14 8490
2433 일상 KEB 때문에 속상하네요 ㅜ.ㅜ 댓글5 정파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7 5734
2432 기타 양생법(養生法)- 허리가 튼튼한 사람이 건강하다.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2 6097
2431 기타 성장의 에센스, 양기(陽氣)가 빠져나가는 - 다한증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2 6217
2430 기타 열대의 목마름을 달래주는 과일 – '끌라빠'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1 6604
2429 기타 열대 과일의 제왕... '두리안'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30 14963
2428 일상 해외이사 반출입금지 품목 사이다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21 5892
2427 일상 축하해요 깜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31 4506
2426 일상 FaceBook, 페이스북..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05 6171
2425 감동 부부의 행복 댓글3 병아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7 5273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