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외부적 요인들에 의한) 최근 달러-루피아 환율변동 상황 및 향후 예상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12)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리뷰 | (외부적 요인들에 의한) 최근 달러-루피아 환율변동 상황 및 향후 예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Leopar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56.76) 작성일15-10-28 18:16 조회4,535회 댓글2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15893

본문

1). 최근 미해군이 매년 약 5조달러의 교역량 통과거점이자 해상통제권이 놓인 남중국해에 구축함을 파견한 후 남중국해에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점점 그 수위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경제지표 부진이 지속되면서 강달러 압력이 어느정도 완화되는 모습은 보이나, 

인니 및 주변국들 투자시장에서의 달러화 매수세가 움직임을 보이고 있슴.

 

2). 현지시간으로 오늘인 10월 27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정례회의, 미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및 10월 30일 

일본중앙은행(BOJ)의 금융정책회의 등이 예정된 가운데, 지난 주말 중국 인민은행이 기준금리와 은행에 대한 지급준비율을 동시에 

인하한 뒤.. 인니 및 주변국들의 외환시장에서 달러가 강세가 보일, 즉 환율이 시 상승할 조짐도 있슴. 

 

<* 미국 중앙은행(Fed)은 27일 미국의 금리·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개시하여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최근 미국 경제지표를 볼 때 금리 동결이 예상되지만 성명서에는 매파적인 컨텐츠가 담겨져 있을수도 있그 이유는 

지난달 9월 16~17일 FOMC 회의때보 중국 및 신흥국의 경기에 대한 우려감이 어느정도 완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

 

3). 연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 및 강달러 압력은 미국 제조업 지표 부진등으로 현재 많이 약해진 상황이지만, 향후 미국 

통화정책의 방향에 대해 어떤 형태의 얘기가 나오는지에 따라 금년말까지의 달러-루피아 환율 방향이 즉시 영향을 받을것으로 보인.

<*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은 관할 지역의 제조업지수가 마이너스(-) 12.7을 기록했고 발표.. => 전월(9월) 기록인 -9.5보 악화한 

것이며 전문가 예상치인 -6.5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왔슴.>


4). 그렇지만, 중국의 추가 경기부양책과 위험자산 선호심리의 약화 등은 금리 인상을 앞당기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중국의 경기부양책은 위험통화 선호심리에 불을 당기는 요인으로도 이해될 수 있. 27일 미국의 FOMC 회의와 중국의 제18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5중전회)에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 왜냐면 FOMC에서는 금리 인상이 없으리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향후의 계획에 대해 어떤 암시를 주느냐에 따라 달러-루피아 방향도 일단 유동적으로 보인.


그러나 FOMC를 앞둔 경계속에 신흥국들 시장에서의 위험자산 투자심리가 일단 주춤한 만큼 달러-루피아 환율의 등락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 일단 두 큰형들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하니깐… 그래도 지난 주말 중국 인민은행이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을 동시에 재차 인하하면서 

달러가 국제 외환시장에서 강세를 보인 것은 사실이

 

5).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유럽의 경기부양 수준을 재검토하겠고 언급한 영향으로 위험자산 투자심리가 소 

호전된 것이 그나마 환율이 오르지 못하게 막는 효과를 나타냈고, 중국공산당 5중전회의 결과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질 경우 

위험자산 거래가 증가하여 달러 상승을 제한할 것이란 예측도 있지만, 미국이 금리인상 시기를 앞당길수도 있어 루피아-달러 환율은  

언제든 상승할 수가 있.

 

6). 9월 미연준의 금리동결조치로 인도네시아도 단기적으로 시간은 벌었지만, 이미 인니국내 외환 및 투자시장에 침투해있는 

인터네셔날 하이에나인 헤지펀드 등 투기성 자본들이 어린애 손목비틀듯 쉽게 변해버린 인니시장을 가만히 놔둘지 의문이라는 것이

 

더구나 올 7월부터 시행된 인니내 전거래 루피아 의무사용으로 기업들의 추가비용이 커지는 외환리스크 압박 및 독버섯처럼 커진 

달러 암거래시장들 속에서 루피아 약세가 인니 국가증시에 직격탄이 된 지금, 조코위가 제창하는 제조업 강화 및 인프라 증대도

당연히 시급하고도 중요하겠지만, 기왕에 이렇게 된 바에 어떡하든 수출을 장려하여 그나마 나라경제에 실리를 얻을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건 어떨지 싶. 가공도 안된 이나라 원자재들을 중국말고 어디에 팔지 무척 고민은 되겠지만... 

좋아요 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Leopard님의 댓글

Leopar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56.76 작성일

마지막 부분 <기왕에 이렇게 된 바에 어떡하든 수출을 장려하여 그나마 나라경제에 실리를 얻을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건
어떨지 싶.> 부분에 대해 부연설명 조금 하겠슴.

환율이 올라가면 수출이 늘어나고 수입은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는게 경제논리의 기본이. 그런데 인니는 환율이 올랐는데도
계속 경상수지가 적자를 내왔. (수치상의 흑자는 얘기하지말고..ㅎ)

환율상승은 기업으로 하여금 추가적 이익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을 바이어들이나 교역상대국들이 가만히 지켜보진 않을것이.
우선 가격인하 등을 요구할 것이고 내리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인데, 가격이 좀 떨어졌고 해서 주문량이 그만큼 늘지는 않는
것이. 결국 수출가격만 내려가고 이윤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상황으로 되는것이. 오히려 수출액수는 줄어드는 현상이
생기기도 한.

수입부분은 환율이 올랐해서 갑자기 팍 줄일수는 없. 인니로 들어오는 주요 수입품들은 식품류나 잡화들도 있지만, 대부분
원유와 석유, 통신기기들, 자동차 부품, 철금속 및 비합금강 등인데 이것들은 환율이 올라 달러를 루피아로 환산한 수입가격이
높아졌고 해서 인위적으로 그 (수입)양을 대폭 줄이기가 힘들.

오히려 환율이 더 뛰기전에 미리 수입해놓으려는 심리가 생겨 수입량 및 액수가 늘지도 모른.. 그래서 인니는 환율이 오르더라도
수출은 크게 늘지가 않고 오히려 단기적으론 수입이 증가되는 현상이 나오는 것이. 물론 정부에서 얼마전 수입관세 인상 및
각종 신규수입규제로 어떡하든 수입을 억제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이런 상황에선 “정부의 역할” 이 무엇보도 중요하고 보며, 어떤 방법으로든 수출을 늘리면 그나마 (수출대금으로 받은 달러가
루피아로 바뀌어 시중에 들어가는) 국내경기가 좀 나아질거라는 생각에서 얘기한 것이.

우리나라는 오늘 환율이 FOMC 회의가 끝난후인 어제보 조금 내렸.. 30일 월말이기 때문이. ㅎ
수출네고 (달러)금액들이 원화로 바뀌어 시중에 촤~악 뿌려지니까.. 물론 오늘내일 정도겠지만.
이나라는 그나마 그런 월말현상도 없는 것 같..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7,634건 18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58 일상 타임스퀘어 "회"전문집 오픈관련 댓글8 이해불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0 6004
7157 일상 이왕에 살고있는 자카르타의 삶 댓글2 salsaki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8 6449
7156 일상 (~10.22) 총 상금 925만원! K-Move 해외진출성공수기 공… 댓글2 첨부파일 레인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8 6420
7155 감동 좋아요3 일본인 질문의 대통령 답변 댓글2 강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8 4047
7154 일상 별명을 바꾸고 싶어용^^; 댓글5 젊은여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05 7935
7153 일상 고양이 키우기 <팁> 댓글5 고양이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10 7199
7152 일상 Merry Christmas Everyone~~ 댓글7 첨부파일 봉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23 5891
7151 일상 골프거리측정 댓글2 bal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23 7968
7150 일상 MOI에서 벌어진 FBR 폭동 (2015. 5. 29) 댓글12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31 11164
7149 일상 혈액형 A...B...AB...O 댓글2 크리스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06 6774
7148 감동 최신가요아님 갠적으로 좋아하는노래.. 댓글4 첨부파일 버거소녀당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06 5440
7147 감동 집안꾸미기- 예쁜 꽃 댓글4 At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24 7120
7146 일상 삼성 핸펀 내 벨소리.. 댓글2 첨부파일 이쁜이리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06 6634
7145 일상 [Club Music] 2008년 디제이 추천곡9 댓글3 첨부파일 이쁜이리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4 6886
7144 감동 불청객 댓글15 엔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2 7583
7143 기타 좋아요1 취업도 안 된 상태에서 당장 인도네시아로 떠나는 것은 역시 미친짓일까… 댓글34 distantlov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20 9361
7142 감동 센츄리 은행 구제금융 스캔달 댓글8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0 5016
7141 일상 자카르타주정부 사이트가 핵킹당했네요.. 댓글2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16 5471
7140 일상 apa saja...... 댓글3 더불어사는세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18 4251
7139 일상 *** 재미있는 충청도 사투리 *** 댓글4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5 7097
7138 일상 좋아요1 9월의 여유.... 댓글4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5 7818
7137 일상 이 숙녀분좀 말려줘요.... 댓글14 첨부파일 leliv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2 5606
7136 일상 어느 어머니의 말씀 댓글9 초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5 5221
7135 감동 [감동] 대한민국 국민들이여! 감동의 이화면을 보소서,,, 댓글2 홀인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7 4537
7134 일상 콩쿠르 역사상 한 나라서 5명 동시 입상 이례적인 일 댓글4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2 4879
7133 일상 오랜만에 음악감상을 했는데 추천 함해드려요~~ 댓글2 첨부파일 이쁜이리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17 4657
7132 일상 인니도착^^ 댓글8 ondalk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3 5976
7131 일상 필립의 바람과 감사 댓글2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0 5547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