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헷갈리는 호칭??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193)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헷갈리는 호칭??

페이지 정보

작성자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117.247) 작성일11-12-12 07:17 조회3,479회 댓글1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14068

본문

가족간에 헷갈리는 호칭들...
부부간에 '아빠', '오빠'등을 자주 쓰는데 듣는 사람들은 듣기 거북할때가 많다.

나이많은 중년 부부간에도 부인이 남편을  오빠 혹은 아빠라고도 호칭들한다.
그들이 낳은 자식들 남매중 여동생은 오빠에게 "오빠'라고 한다. 당연하다.
이들 가족이 함께 있을때 부인은 남편에 대한 호칭을 가려서 하여야 하나,
습관적으로 자식들과 똑같이 남편에 대해서 아빠라거나 오빠라고 호칭한다.
가족간에는 문제가 되지 않을수 있으나 옆에서 듣는 사람들은 헷갈리거나
불편하다. 누가 오빠이고 누가 아빠인지 헷갈리는데 그렇다면 저집안은 콩가루 집안??
부부가 외출하여 부인이 남편에게 오빠라고 부르면 남들은 불륜관계라고 생각할수도 있다.

우리 사회에서 남편이 자기 아내를 남에게 소개할때 혹은 아내가 자기 남편을 소개할때,
'우리 마누라" ,'우리 남편'이라는 표현들을 자주 듣게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 아내' 혹은 '제 남편'이라는 표현을 당당하게 쓰는게 맞을것 같다. 남편이나 아내를
소개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인가? 남편이나 아내를 공동소유하는 식으로
표현하는것은 두리뭉실하게 드러내는 습성에서 온것은 아닐까?
당당하게 내자신을 정확하게 표현하는게 부끄러운 것일까? 
아님 동방예의지국이라 그런가?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미니서님의 댓글

미니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2.♡.212.157 작성일

저도 국문학 전공자는 아닙니다만.. 조금 아주 조금 공부한적이 있지요...
그린피쉬님도 국어에 관한 서적을 찾아 읽어보시면 우리 라는 말을 왜그렇게 많이 사용하는지
알게 될겁니다.. 문법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문화적 접근도 중요한걸요...

자야님의 댓글

자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0.♡.39.129 작성일

글 쓰신분 말씀 다 맞습니다.
언어는 문화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어머니 / 제 어머니 다 맞습니다.

여담으로 학교 다닐때 국어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인데 "남편"의 반대말은 "아내"가 아닙니다.
"남편"의 반대 말은 "여편"입니다. 여편.. 여편네라고도 하지요. 어원을 따지면 "여편"은 나쁜 뜻이 아닙니다.
물론 지금은 안되지요...

황금나팔님의 댓글

황금나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8.♡.216.32 작성일

다 맞는 말씀들이고요. 한국말이 참 어려워요...... 대화의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서 각각 호칭이 달라질 수
있겠지요. 마누라, 어부인, 애 엄마, 아내, 집 사람, 안식구, 와이프(영어지만,), 우리 내무부장관, 밥쟁이, 등등이 있겠는데,
손윗분들께 소개시에는 필히 내자라는 말을 써야 겠지요.. 과거 어느 목사님이 사석에서 그의 사모님을 우리집
밥쟁이라고 말 했다가 소문이나서 망신당하고 목사직을 그만둔 예도 있었어요..... 
남 앞에서 가족을 소개할 때에는 약간 낯추어 소개를 하는 것이 미덕이 아닐까요........

agatha님의 댓글

agat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1.♡.241.44 작성일

말하는 취지야 알죠.. 그런데 문법적으로 일상적으로 올바르게 사용하는 데 틀렸다고 생각하시면 안된다는
노파심에서 말씀드렸습니다..제 말의 취지도 알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머 내 엄마가 라고 남들에게 말
해 보세요... 웃기다고 말하는지 저 사람은 책임감도 있고 당당한 사람이라고 말하는지..ㅎㅎ 농담이었습니다..
 그런데 자랑스럽거나 그럴 때도 우리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지요.. 회피나 책임 뿐이 아니라.. 
우리나라 만세라고 하지.. 내 나라만세라고 안하지요.. ㅎㅎ.. 머 우리라는 말이 책임회피용인지 겸손의 표현으로 생긴건지 모르겠지만 엄연히 문법적으로 옳은 말이라는 걸 말씀드리고 끝...

그린피쉬님의 댓글

그린피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22.♡.117.247 작성일

나의 어머니 혹은 내 어머니라고 표현을 할수도 있질 않을까요.
전하고자 하는 취지를 알아들으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사람은  책임질 일이나 부끄러운 일에 대해서는
'나'라는 표현은 잘 하질않고 '우리'라는 표현을 자주 쓰는 경향이 있더군요.

댓글의 댓글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62.34 작성일

그건 책임의 회피 때문이라기 보다는 공동체를 개인에 우선하는 농경사회의 오랜 관습이 아직까지 남아 있어서이지, 책임에서 자신을 제외하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가족 공동체 안으로 자신을 녹여 내는 것이 우리 아빠, 우리 남편,우리 집사람 이라는 호칭으로 나타는 것일 뿐입니다. 전통적인 한국의 가옥 구조는 외부로 부터는 폐쇄 적이자만, 내부는 상호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며,그 확대 된 개념으로 부락을 형성해서 집성촌을 이루고 살아왔습니다.
또 그런 유습이 향우회라는 이름으로 다시 이어져 오고요. 지역 감정이라는 악습으로 표현도 되지만, 고향사람끼리의 상호 의존이라는 긍정적인 모습도 있습니다. 

내부의 구성원의 결속력을 강화해 외부의 간섭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고 또 외부와의 협상을 위해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우리라는 방법으로 표현되었다는게 더 옳지 않겠습니까?

만일 님의 관점에 따른 다면 '밀수해서 신문에 난 한국인' 때문에 나라 망신이라고 생각 할 필요도 없고 그 글에 댓글도 시큰둥 하게 달려야 하겠죠. 그 밀수를 한 양반하고 여기 다른 재외 한인분들이 무슨 상관이 있어 '나라 망신' 운운하겠습니까? 그 양반이 한인을 대표 하는 것도 아닌데 많은 분들이 달갑게 생각치 않습니다.

단순히 나와 우리를 칼로 베듯이 나누지 않고 나는 우리 안에 들어가 보호 받기도 하고 자신이 우리를 위해 공헌을 하기도 하게 우리 남편, 우리 자식이라는 호칭이 일반 된 것이겠지요

agatha님의 댓글

agat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1.♡.241.44 작성일

우리나라에서 우리라는 표현은 영어의 we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우리에는 we라는 뜻도 있지만 '나'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인니에서 자란 한국애들이 잘 사용 못하는 게 우리 아버지, 어머니를 제 아버지, 제 어머니라고 말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우리라고 사용하는 것이 두리뭉실하고 어색한 표현은 아니지요.. 위의 예처럼 오히려
제 아버지 제 어머니가 훨씬 어색하지요.  우리 나라라고 말한다고 해서 당당하지 못한 것도 아니구요. 외국인에게
우리나라를 제 나라로 말하는 게 당당한 건 아닌것과 마찬가지겠지요.. 물론 말씀하신 제 아내, 제 남편으로 사용하는
건 전혀 문제 없습니다..

youngmani님의 댓글

youngman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0.♡.138.83 작성일

습관이 참 무섭지요. 편한대로 살려니 그런데..잘못된것 처음에는 어색해도 고쳐야겠죠.
그리고 이나라에서 IBU는 어머니뜻도 되지만 MRS라는 의미도 잇는걸로 아는데요....

곰둘이님의 댓글

곰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39.♡.169.200 작성일

좋은지적이십니다 저부터 아내에게 쓰던 아이엄마 호칭을 아내로 바꾸어야 맞을것같읍니다
즉시 수정이 어렵겟지만 노력을 해야되겠읍니다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2,910건 14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46 일상 좋아요1 인니서 소소하게 살고 싶은데요 댓글1 sukujav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5 3663
2545 기타 찌레본 석탄화력 발전소의 그늘~ 댓글2 awalidenga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4008
2544 일상 자칼타에 한인 DSLR 유저분들 얼마나 계시나요? 댓글8 민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22 7155
2543 일상 10번째 인니 출장을 다녀와서..... 댓글6 홍고릴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14 5523
2542 일상 생각보다 인니어가 잘 늘지 않네요 ㅠ 댓글8 호봉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11 5089
2541 일상 수라바야에서 커피는 댓글4 타이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7 6889
2540 일상 전쟁 날까여??? 댓글7 니차도기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26 8760
2539 일상 박주영자살골 댓글7 lsmkill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7 6615
2538 일상 인도네시아 생활 행복하세요? 댓글9 복덩이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8 6969
2537 일상 필립의 넋두리 댓글5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6 5473
2536 일상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주유소를 차리고 싶습니다 댓글21 찌라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3 9865
2535 일상 치킨퐁 배달.. 왜 안될까요?? 댓글11 모나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0 6889
2534 일상 (건의) 운영진분들께 건의 드립니다. 인니비하글 삭제 등... 댓글10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9 4897
2533 일상 집세가 왜 그렇게도 많이 오르는지 댓글2 thenther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8 7643
2532 일상 방귀가 잦으면 x싼다더니...ㅋㅋㅋ 댓글3 토리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7 5800
2531 일상 재미있는 숫자의 신비 ? 댓글7 순진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10 4845
2530 일상 2PM이 우리나라 가수들 중 인도네시아 인지도 측면에서는 몇위나 될까… 댓글1 랄랄라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18 3725
2529 일상 찌까랑 지역 데모...드디어 시작... 댓글5 820PM슝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7 4791
2528 일상 무궁화 마트 유통기한이 어떻게 되는건지요? 댓글40 in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7 6590
2527 일상 이런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에 딱 맞습니다 댓글8 별을보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8 5406
2526 일상 교민 사회 공인으로서의 도덕성 댓글7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19 4013
2525 일상 생활의 지혜 (제2탄) 살림 잘 하실 여자분들 꼭 보세요... 댓글3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5 4614
2524 일상 유배지같은 이곳생활. 댓글11 풀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30 5151
2523 일상 자카르타의 한인 이사업체와의 이야기. 댓글21 LeGrandBle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21 5853
2522 일상 답답한 마음에 한글 적습니다. 댓글4 뾰로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02 4414
2521 일상 Bir Bintang 변천사 댓글18 연평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08 5488
2520 푸념 한국의 달걀대란에 대한 인도네시아 교민의 준비는 뭘까요.. 댓글3 digitaland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20 4234
2519 일상 무슨 일인죠? 댓글5 경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5 4873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