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멸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183)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멸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1.82) 작성일14-03-20 10:09 조회4,957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58020

본문

가끔  해변에 멸치가 떼로 몰려와 죽을 때가 있습니. 경포해변에 늦여름이면 멸치 떼가 파닥거리면 있는 모습을 보면 미련한 미물의 몸무림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얘나 나나 살겠 발버둥 치는 모습은 같구나 하는 측은함도 듭니.

 

멸치가 해변까지 올라오는 것은 얘들이 따뜻한 해변에서 태닝이나 하겠 올라오는 것은 아니고 사실은 고등어 떼에 쫏겨서 지나치게 해변에 가까이 도망치 파도 휩쓸려 올라오는 것이라 합니.

 

한국인이 멸치를 말려 국물로 쓰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요?

잔치국수의 국물로도 쓰고, 된장찌개의 밑간으로 쓰는 멸치국물은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오래되지 않았습니.

한국인들이 너도 나도 국물을 내기 위한 재료로서의 멸치를 쓰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고

그전에는 말린 멸치를 먹지 않았습니.  주로 젓갈로 만들었습니.

 

일제는 조선을 침탈 , 식민지로서의 한국에서 많은 것을 수탈 합니. 비단 군량으로서의 아니라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생선도 강제로 공출 갑니.

일제점령기 일본인은 부산의 기장에 멸치를 모아 일본으로 가져갑니. 이때부터 마른 멸치의 가장 많은 생산을 기장이 담당하게 됩니.

 

일본인에게 시마는 국물을 내는 가장 중요한 재료이고 정말 정성을 들여 국물을 우려 냅니.

그리고 멸치도 그만큼 중요한 국물재료 입니.

따라서 자국민들의 중요한 식자재인 멸치가 한국에서 지천인 것을 일본인은 동력선을 이용해 멸치를 어회하고 식민지 한국의 주민도 여기에 동참을 합니.

일본 패망으로 식민지에서 일본인이 물러간 후에도 멸치는 남아 한국인의 혀가 각인을 합니.

 

인도네시아에도 마른 멸치 비슷한 것이 있는데, 이게 한국의 멸치와 같은 종류가 동남아까지 회유한 것인지 아니면 멸치와 같은 정어리의 종류인지는 모르겠습니

 

이들의 마른 멸치는한국의 멸치와는 많이 콤콤한 냄새가 심하게 납니.

이건 멸치 자체의 문제라기 아마도 건조방식의 차이가 아닌가 생각 됩니.

한국에서는 멸치를 잡아 한번 삶아서 말리는 것에 비해 이들은 그대로 햇볕에 말리는 것이 말리는 과정에서 콤콤한 냄새를 만드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

 

우리가 즐겨 먹는 식재료 중에 의외로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고 외국에서 전래되어 우리 것이 되어 버린 식자료가 많습니.

대표적인 것이 멸치입니. 식민지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멸치국물

 

그렀 멸치가 식민지의 아픔과 함께 시작했으니 멸치를 먹는 것이 일본식 풍습일까요?

문화는 생명체와 같아서 진화하고 변화합니. 식문화도 마찮가지 입니.

 

멸치는 일제의 잔재가 아니라, 한국인의 고유한 음식인 것입니.

 

집에와 샤워를  후, 맥주 한잔을 마실 , 고추장에 찍어 먹는 마른 멸치 한마리

이게 한국인의 모습이 되었 마른 멸치도 기원따윈 중요치 않습니. 왜냐하면 이젠 것이 이미 우리 것이 되었으니까요

 

한국의 늘어나는 귀화 한국인들,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 우리의 옆에서 함께 일하는 재외 한국동포.

핏줄로서의 한민족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을 함께하고 하나의 공동체로서 생활을 함께 영위하는 것을 하나의 국민으로 인정하는 시대를 기대 봅니.

  

 

이번 주는 여기까지…. 주에는 무엇을 주제로 풀어가야 할까요?

밑천이 빈약하 보니, 막상 말을 풀어갈 실마리가 생각나지 않네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7.♡.1.82 작성일

멸치가 일반적인 육수의 재료로 널리 쓰이게 된 것은 해방이후고 그 이전에는 특별한 육수가 없고 매운탕을 끓이면 생선을 국을 끓이면 쇠고기를 이도 저도 없으면 그냥 된장을 풀어 쓴 것으로 압니

네째님의 댓글

네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4.♡.111.253 작성일

일제시대 이전에는 멸치로 육수를 안내었나보군요..ㅣ
김치담을때
마른멸치+시마 끓여서 =>육수를 넣고 양파 배 마늘 생강 붉은고추씨뺀거를
믹서에
갈아서  소스를 만들면 시원한맛이 나요
+고추가루 설탕  액젓(멸치 까나리액젓 새우육젓 등) 찹쌀풀 볶은참깨
=>>넣으시면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열무김치  파김치등...
버무려서 김치를 만드실수 있어요

산바위님의 댓글

산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36.♡.120.0 작성일

아!!! 인니 시장에서 파는 멸치 냄새가 무슨 냄새인가 했는데요...콤콤한 냄새 였군요??ㅎㅎㅎ
정보 감사 합니...

eorkfa님의 댓글

eorkf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39.♡.153.9 작성일

좋은글 감사합니.. 정말 해박하시네요 ㅎㅎ
많고 깊은 지식 같이 공유해요.. 많이 올려주세요
담글 기대할께요♧♧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7,635건 14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71 일상 타임스퀘어 "회"전문집 오픈관련 댓글8 이해불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0 6046
7270 일상 이왕에 살고있는 자카르타의 삶 댓글2 salsaki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8 6461
7269 일상 (~10.22) 총 상금 925만원! K-Move 해외진출성공수기 공… 댓글2 첨부파일 레인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8 6431
7268 감동 좋아요3 일본인 질문의 대통령 답변 댓글2 강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8 4053
7267 일상 별명을 바꾸고 싶어용^^; 댓글5 젊은여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05 7961
7266 일상 고양이 키우기 <팁> 댓글5 고양이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10 7239
7265 일상 Merry Christmas Everyone~~ 댓글7 첨부파일 봉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23 5906
7264 일상 골프거리측정 댓글2 bal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23 7979
7263 기타 좋아요4 요즘 기업들(그중에서도 대기업) 사원 연봉 너무한 거 아닌가요? 댓글30 nesca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25 34753
7262 일상 차량 렌탈 가능하신분 (1주 정도) 댓글5 두니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21 5096
7261 일상 아싸~~빠찡코 12000점 맞았어요...ㅋ 댓글6 볼프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05 5638
7260 일상 게시물 검색어 1위가.."?"라..ㅋㅋㅋ 댓글4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06 6545
7259 일상 식스센스를 능가하는 최고의 반전 댓글6 올리비아땅콩강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29 5390
7258 감동 신입 사원 길들이기. 댓글1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12 5658
7257 일상 개팔자 펌. 그냥 웃자구요 ㅎㅎ 댓글3 좌우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29 5025
7256 일상 딴지 거는 것은 아니고요 ^^ 댓글5 birbint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22 4980
7255 일상 요한님과 함께 감사의 답변 말씀드립니. ^^ 댓글2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31 6633
7254 감동 위대한 이순신 댓글5 yellow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30 5128
7253 일상 안 웃어요,, 난 쥐니까.. 댓글2 한겨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7 4587
7252 일상 축하드려요 댓글1 마징가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31 4221
7251 일상 당신은 지금 어느 수준의 음주를 하고 계십니까? 댓글9 창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13 5182
7250 일상 또래오래 아르따 가딩점 사장님 보세요 댓글3 첨부파일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4 7377
7249 감동 김여사 시리즈 댓글2 순진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5 5723
7248 감동 받침의 중요성 댓글5 유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18 5409
7247 일상 범죄 방지용 속옷 ㅋㅋ.. 댓글4 블록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07 4873
7246 일상 700포인트만 주실분 ㅠㅠ 댓글2 나나달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6 3632
7245 감동 즐겨 들었던 클래식 댓글5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23 3447
7244 일상 유머황당동영상? - 합기도 달인 댓글1 소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07 5442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