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뭐든 찍어내는 3차원프린터 특허 2014년초 만료…산업계 '지각변동'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776)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뭐든 찍어내는 3차원프린터 특허 2014년초 만료…산업계 '지각변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30.116) 작성일13-08-18 21:00 조회4,646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28548

본문

                                                                                                              한국경제| 기사입력 2013-08-18 17:01

3D프린터로 만든 항공기 부품.
3D프린터가 몰고 올 제조업 혁명 - 5억짜리 프린터가 수천만원…2025년 84억弗 시장

재료혁명…덜 쓰고도 속이 빈 강판 '척척'

설계혁명…주물과정 없이 파일로 설계

유통혁명…해외법인, 현장서 부품 생산

생산기지혁명…값싼 노동력 메리트 없어져


벨기에 루벤의 인테리어 제품 생산업체 머티리얼라이즈 본사. 3층 건물 지하에 마련된 생산라인에는 주물제작 설비도 절삭기계도 조립로봇도 없다. 50~60대의 3D프린터가 줄지어 놓여 있을 뿐이다. 그물 모양의 스탠드, 눈꽃 모양의 조명, 나무 뿌리처럼 생긴 꽃병 등 전통적 제조 방식으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모양의 인테리어 제품들이 3D프린터를 통해 생산된다.

이 공장에서 주로 쓰이는 3D프린터는 선택적 레이저소결(SLS) 방식. SLS 방식 3D프린터는 고급 인테리어 소품이나 의족과 같은 고가 의료제품의 맞춤형 소량생산에만 적용됐다. 프린터 가격이 대당 1억~5억원 정도로 비싸기 때문이다. 

내년 2월부터는 상황이 바뀐다. 미국의 3D시스템스가 갖고 있던 특허가 만료되기 때문이다. SLS 방식 프린터 가격도 1000만~수천만원까지 내릴 것으로 보인다. 3D프린터를 만드는 캐리마의 이병극 대표는 “그간 3D프린터가 산업계에 적용되지 못한 가장 큰 장애요소는 가격이었다”며 “3~5년 내 적용 분야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SLS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광학기술이기 때문에 특허가 풀려 여러 업체가 개발경쟁에 뛰어들면 인쇄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대량생산에 걸림돌이 됐던 느린 속도도 해결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럭스리서치는 3D프린터를 이용해 생산한 제품 시장 규모가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빠르게 커져 현재 8억달러에서 2025년 84억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SLS 방식 특허가 풀리면서 산업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네 가지로 정리했다.

①재료혁명=3D프린터는 정확하게 필요한 부분만 찍어내는 적층 방식을 사용한다. 금속덩어리를 깎아내는 CNC머신보다 재료 사용량이 훨씬 적다. 제품의 가격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3D프린터를 사용하면 자동차나 항공기에 쓰는 부품이나 강판을 특수패턴으로 찍어 강도를 높이면서도 무게는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료로 철과 알루미늄을 동시에 써 강도를 높이는 대신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제품을 인쇄하는 것이다. 3D프린터를 이용하면 속이 비어 있거나 그물 형태 등 복잡한 모양도 인쇄할 수 있다. 김소령 3D시스템스 부장은 “3D프린터를 이용한 경량화는 연비가 중요한 자동차나 항공산업에 특히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②설계혁명=CNC 가공과 함께 금속 제품 생산에 많이 쓰이는 방식은 금형에 쇳물을 부어 주물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 같은 방법은 제품 디자인을 변경하려면 금형과 설계라인을 처음부터 다시 제작해야 했다. 3D프린터는 이런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다. 설계도 파일만 바꾸면 되기 때문이다. 3D프린터 제작업체 에이팀의 고산 대표는 “기존에는 제품이 바뀌면 생산 설비를 다 바꿔야 해 돈이 많이 들었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며 “3D프린터를 이용하면 이런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③유통혁명=제품 유통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 아프리카 법인이 수리용 부품이 소량 필요하다고 하면 지금은 한국 등에서 만들어 배나 비행기로 보내야 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아프리카 법인에 3D프린터를 몇 대 가져다 놓으면 다양한 모양의 부품을 필요한 만큼 생산하면 된다. 프린터·원료·설계도만 같다면 어디서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미국의 3D프린터 제조업체인 스트라타시스 직원이 3D프린터를 이용해 만들어진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스트라타시스 제공
3D프린터를 사는 게 부담스럽다면 3D프린팅 위탁업체를 이용하면 된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3D프린터를 이용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물건을 만들어 원하는 곳에 배달해 주는 업체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미국의 3D프린팅 위탁업체 셰이프웨이스는 지난 2년간 3510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미국 투자자들이 이 업종의 전망을 그만큼 밝게 보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세계적인 물류기업 UPS도 3D프린터를 이용한 위탁생산업에 뛰어들었다.

④생산기지혁명=3D프린터를 쓰면 제품 생산에 필요한 인력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전엔 복잡한 모양의 제품을 만들려면 여러 부품을 만들어 조립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필요했다. 하지만 3D프린터는 복잡한 모양의 제품도 조립 없이 한 번에 찍어낼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의 비행기 제조 업체인 보잉에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만드는 데 3D프린터를 쓰고 있다. 값싼 임금의 이점이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주승환 오브젝트빌드 고문은 “일부 제조업의 생산기지가 중국·동남아에서 선진국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병종/남윤선 기자 ddak@hankyung.com

■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선택적 레이저 소결 기술. 레이저를 이용한 3D프린팅 기술로 플라스틱은 물론 금속도 인쇄할 수 있다. 가루 형태의 원료를 원하는 부분만 레이저로 소결(열이 가해진 분말이 결합·응고되는 현상)시켜 한층 한층 쌓아나가는 방식이다.

제품 설계도를 횡단면으로 얇게 썰어 각 부분을 인쇄해 결합하는 미적분 개념이 적용됐다. 미국 텍사스오스틴대 학부생이었던 칼 R 데커드가 그의 스승이었던 조 비먼 교수와 함께 1980년대 중반 개발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명랑쾌활님의 댓글

명랑쾌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163.82 작성일

재료까지 해서 1대 만달러 정도로 잡고 대략 1~2년이면 본전 뽑을 수 있을듯 합니다만, 회사가 관심을 보일까 회의적입니다.
리스크 관리 역시 비용 절감인데, 사고가 안터지면 당연한 거라고 생각할뿐, 사전 사고 방지 활동에 발생되는 비용을 손실이라고 보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이 걸림돌이네요.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36건 1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900 일상 롯데리아 개선해 주세요.. (끌라빠가딩) 댓글15 박반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03 5877
5899 일상 피아노 판매합니다 자카르타러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5 3408
5898 일상 낚시 고수와 일박 댓글3 인니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1 3266
5897 일상 끌라빠가딩 팔라디안파크 거주 한국인수? 댓글2 민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9 6338
5896 일상 이런 김치가 인도네시아에도 있네용 댓글4 첨부파일 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29 4912
5895 일상 진한 엄나무 삼계탕 위치와 전경 궁금하시죠! 댓글2 첨부파일 뽀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5-10 4016
5894 일상 어느 산골소년의 사랑이야기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13 5310
5893 일상 [정보] Jakarta에서 혼자 운전면허 발급받기 댓글3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2 4852
5892 일상 KOREAN FILM FESTIVAL 2013(공짜랍니다) bagus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20 3197
5891 일상 에어 아시아 쎄일 하기에 아주 싸게 싱가폴행, 한국행 끊었어요. ^^ 댓글16 agat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08 6573
5890 일상 중부자와 지역 임대 공장 찾습니다..... 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18 2896
5889 일상 소주 문제가 또다시... 댓글13 KimYC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4 8334
5888 일상 전자제품 이사세일 ( 마사지체어,XBOX KINECT, LCD 모니터… 댓글4 첨부파일 watu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01 6070
5887 일상 말나온김에 화끈하게~ LOTTEMART 와 CARREFOUR (2)~ 댓글13 징기스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0 5865
5886 일상 신종 절도 수법_조심 또 조심 댓글5 ANDREAGAS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4 4698
5885 일상 마릭님 통진당 이석기 등의 빨갱이 소식 좀 알려주세요. 댓글22 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8 6247
5884 일상 찌까랑 루꼬유니온 관련글은 비공개게시판으로 이동하였습니다. 댓글2 요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1 5786
5883 일상 내 나이는? 댓글2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8 5371
5882 일상 I forgot my phone. 댓글2 Isaac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24 4605
5881 일상 한인식당 댓글5 홍길동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09 4919
5880 일상 '대우 미얀마 가스전' 벤치마킹 자원개발 민간 중심 확 바꾼다 - 실… 첨부파일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20 4464
5879 답변글 일상 자카르타에서 정착해서 살아볼려구 하는대요... 루피아를 어떻게 만들어… 댓글3 유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06 5028
5878 일상 로즈마리 사우나가 문닫는데요~ 유일한 낙이었는데 흑 ㅠ 댓글4 발리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14 5216
5877 일상 1 댓글4 SsoN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26 4439
5876 일상 LED TV 인니가 한국보다 싼가요? 댓글5 임프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12 4924
5875 일상 찌까랑 소XX 사장님은 보세요 댓글32 쿵쿵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15 7948
5874 일상 2013 IVYLINE SAT1 한국 겨울방학 특강 진행중입니다~~!… IVYLI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23 3452
5873 일상 아들아! 댓글2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30 353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