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양생법(養生法)- 잘 먹는 사람이 건강 하다. (식사법)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897)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양생법(養生法)- 잘 먹는 사람이 건강 하다. (식사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236.245) 작성일09-05-02 21:00 조회5,989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memo/32841

본문

後天之氣 = 식사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경제적인 수준이 향상 되면서 잘사는 것, 즉 웰빙(Well-being)이 우리 생활의 화두로 등장한지도 꽤 오랜 시간이 되었습니다. 악착 같이 살아 남기 위해 삶의 품질은 사치로 여겨졌던 우리 부모님 세대를 지금의 우리 자녀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것 입니다. 웰빙의 중심에는 건강에 있고 그 중심에는 잘 먹는 것이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시중에 소개된 식사법을 보면 참 재미 있습니다. 

밥하고 물은 그 시간을 달리해서 먹어야 한다는 밥따로 물따로 음양 식사법 비만을 방지하는 다이어트 식사법 몸이 원하는 대로 해주어야 한다는 본능 식사법 등등 정말 다양하고 각자의 설도 다양다기 합니다.

밥은 한끼를 먹어야 한다 두끼를 먹어야 한다 아니 밥 말고 포도를 먹어야 한다 고구마를 먹어야 한다 닭가슴살을 먹어야 한다는 등의 식사와 관련된 저마다의 비법(?)이 넘쳐 나는 재미 있는 세상 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하루 세끼의 식사는 후천의 기(後天之氣)를 기른다고 하여 부모님에게서 받은 선천의 기(先天之氣)와 함께 인체를 기르고 자양하는 중요한 요소로 식사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하여 식사에 관한 양생법은 태어날 때 부모에게 받은 선천의 기를 잘 지키는 충전 작업이며 어린이들에게는 성장과 발달을 좌지우지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 성인이 되어서는 인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며 성인병이라 불리던 생활 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인 것 입니다.

 

아침밥심으로 하루를 산다


세 끼의 식사를 먹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아침식사 입니다.

특히 인도네시아에서 아침이 더 중요 합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대부분 하루 일과가 일찍 시작되다 보니 성장기 어린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아침식사가 상당히 이른 시간에 이루어지게 됩니다. 어떤 경우엔 <?xml:namespace prefix = st2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5, 6시경에 아침을 먹어야 하니, 아침을 먹기 위해 조금 더 일찍 일어나는 것 보다 그냥 굶는 것이 당연시 되어 버린 경우도 보게 됩니다. 사실 인체는 새벽 3시가 되면 수태음 폐경이 활동을 시작하면서 인체의 기를 순환케 하므로 5나 6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아침을 먹느니 잠을 선택하게 되는 현실이다 보니 오장육부는 비위를 통해 저장해야 할 영양분을 놓쳐 버리고 마는 것이 문제 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아침 식사 시간을 음식을 받아 들이고 비위의 소화 기능을 거쳐 인체 안에 정미로운 기를 축척할 수 있는 시간으로 봅니다. 아침 식사를 통해 들어온 음식물의 오미(五味) -신 맛, 쓴 맛, 단 맛, 매운 맛, 짠 맛-가 위장 관을 거쳐 소화되면 비장의 나누어주는 수포의 기능을 통해 각각 오장육부로 전달되어 오장육부의 기를 자양하고 인체를 원활하게 순행하게 합니다. 그래서 아침식사는 다른 식사에 비해 인체의 기를 기르고 자양하는 중요한 식사로 봅니다.

또 적절한 아침 식사 시간으로는 족양명 위경과 족태음 비경이 활동을 시작하는 오전 7시경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침식사를 의미하는 진지라는 단어는 진시(辰時)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점심은 점을 찍는 것처럼


아침식사는 간단하게라도 꼭 먹어야 합니다.

누룽지를 끊여서 먹어도 좋습니다. 아니면 좋은 쌀로 빚어낸 떡을 먹어도 좋고 아니면 떡국을 떠먹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영양이 풍부한 음식을 통해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며 후천의 기를 축척해 나가야 하는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있어서는 더더욱 중요한 것이 아침식사 입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음기가 수렴되어 양기가 활동하기까지 우리 몸은 평소보다 1도 정도가 낮은 저 체온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데 양기가 우리 몸의 구석구석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또한 아침식사 입니다.

아침식사를 통해 소화기가 활동을 시작하면 인체의 양명경이 기를 순환시켜 양기의 활동을 돕게 되는 것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식사량은 이렇게 설명 할 수 있습니다. 성인을 기준으로 보면 아침 식사는 배가 든든하게 느껴지나 포만감이나 거북함이 느껴지지 않는 수준의 량이라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아침식사를 기준으로 점심은 아침식사의 3분의 2정도, 저녁식사는 아침의 2분의 1정도가 가장 좋습니다(물론 성장기 어린 아이들의 경우엔 아침 점심 저녁 모두 같은 양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아침은 7시경에 든든하게 수라상처럼 먹고, 점심(點心)은 수소음 심경이 활동하는 11에서 1 사이에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contacts" />심경락에 점을 찍을 정도로 가볍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저녁식사는 침실에 들기 3~4시간 전에 조반석죽(朝飯夕粥)이란 말도 있듯이 죽을 먹는 것처럼 먹는 것이 좋다고 하겠습니다.

 

저녁은 죽을 먹는 듯이


한의원에 내원하시는 환자 분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직장생활을 하시는 분들의 대부분이 저녁 시간에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 합니다. 특히 손님접대에, 모임에, 회식이 많다 보니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지나친 과식에, 폭식을 하게 되고 하루 먹어야 할 모든 식사량을 저녁에 해치우는 꼴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눈 앞에 펼쳐진 다양한 반찬과 술, 고기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그만 폭식을 하고 나면 그 다음날은 속이 더부룩하고 화장실을 들락거리고 나중에는 위염에 장염에 속이 고생을 하게 됩니다.    

저녁식사량이 많은 분들은 항상 밥과 고기, 술을 드시기 전에 샐러드나 야채로 최대한 배를 채우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위장은 우리가 먹는 양만큼 늘어났다 줄었다 하는 장기 입니다. 채우면 채울수록 들어가고 그것이 반복되면 위장이 아주 늘어지게 되고 위하수 증처럼 돌이킬 수 없는 질병을 갖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강은 좋은 습관에서 시작되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식사하는 습관 입니다. 우리 가족들의 식사량, 식사 시간, 음식의 구성을 한번 짚어 봅시다. 무엇보다 가족들이 둘러 앉아 웃으며 즐겁고 맛있게 식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건강에 좋다는 점도 꼭 기억하셔야겠습니다.


==============   Copyright@자카르타 솔한의원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2,253건 12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45 기타 ■ 생강식초의 놀라운 효능 댓글5 천연삶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7 11410
1944 답변글 기타 피를 맑게 하려면?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21 5931
1943 일상 한국맛 돼지국밥&순대국밥&족발 댓글8 100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3 6833
1942 감동 사랑하는 사람 사랑받는 사람 큰숲에세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2 5050
1941 일상 어떤게가장 비참할까용~? (해설포함) 댓글3 And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2 4372
1940 일상 한국에서 인도네시아로 전화걸 때 휴대폰으로걸어야 1300원이 꽁짜! 댓글2 008국제전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4 6699
1939 일상 안녕하세요! 보타니카입니다. 댓글12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16 6168
1938 일상 ㅇㅅ ㅇ 자카르타에서 3일째 댓글3 slipkno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06 8597
1937 일상 살다보니 별 황당한 사고도 다있네요. 댓글2 야남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8 5177
1936 일상 자카르타 골프동호회 Jakarta-seoul(자스)를 소개합니다. 댓글5 첨부파일 빅초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0 9774
1935 일상 바다낚시 가고 싶은 회원님 두니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10 4799
1934 일상 이민국에서 아파트까지 검사하러 나오네요?;;; 댓글7 유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30 6853
1933 일상 좋아요1 대사관에 제안드립니다.. 댓글15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0 5590
1932 감동 목적이 있는 삶이 행복하다 댓글1 goodneighb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0 6910
1931 기타 피부 알레르기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아시는 분들 답변 좀 해주세요… 댓글6 tehbot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01 5704
1930 일상 이노래가 너무 좋아서 그러는데 고수님의 헤석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댓글7 베거번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3 5700
1929 일상 단상 ( 황장엽씨의 죽음 ) 댓글14 주주르아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3 5067
1928 감동 유머 朝鮮王朝實錄. 댓글1 CLASH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07 5135
1927 감동 어떤 기사의 열망 : 수녀와의 키스 댓글4 CLASH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01 6452
1926 감동 아빠를 엄마라 부른 사연 댓글1 CLASH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5 5374
1925 감동 인생은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길을 가는 것 댓글2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0 6043
1924 일상 인도웹 회원님의 도움으로... 댓글1 현하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02 4516
1923 일상 루피아로원화구합니다,,, men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1 4612
1922 일상 휴가 다녀왔어요^^ 댓글8 ondalk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10 5564
1921 감동 이스탄불을 아시나요?(11) 동그라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02 5819
1920 일상 누가 그 사람을 모르시나요? 댓글2 wsenerg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6 6553
1919 감동 사람과 사귀는 삶 댓글2 goodneighb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9 4600
1918 일상 좋아요5 인도웹을 통해 한마디 하고자 합니다 댓글6 ChooN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7 6713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