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MT시평]잠깐! 먹이를 주지 마세요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420)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MT시평]잠깐! 먹이를 주지 마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138) 작성일14-04-12 12:21 조회4,050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61257

본문

동남아 휴양지의 바닷가 모래사장. 네 살 남짓한 두 꼬마가 서로 멀찌감치 떨어져 거의 한 시간째 각각의 모래성을 쌓고 있. 두 아이의 부모들은 비치파라솔 아래에서 아이들을 지켜보며 책을 읽고 있. 갑자기 비가 내린. 하지만 아이들은 꿈쩍도 않는. 자신이 만든 모래성이 위풍당당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지금, 그깟 비 따위가 무슨 대수랴. 

하지만 두 어머니의 서로 른 반응은 참으로 흥미롭. 아이의 이름을 고래고래 부르는 어머니. 아! 한국말이. 감기 걸리니 그만 올라오라고 소리친. 싫는 아이에게 몇 번 더 윽박지르더니 아빠를 시켜서 들쳐 업고 오게 한. 아이의 울음소리에 남겨진 모래성이 외롭.

내 바로 옆 파라솔에 있던 서양아이의 어머니는 내리는 비의 양을 손바닥으로 가늠하며 지켜보가 빗줄기가 거세지자 아이에게 걸어간. 그리고는 뭐라고 대화를 나누더니 아이 곁에서 앉아서 함께 모래성을 쌓는. 모래성을 계속 쌓을 것인지 말 것인지를 아이가 결정하게 한 것이리라.

삶에서 운이라는 요소를 고려치 않는면, 이 두 아이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굳이 선험적 지식이나 특별한 예지력이 요구되지 않는.

인생에서 꿈과 의지는 참으로 중요한 부분이. 굳이 둘 중 하나만 갖는면 무엇이어야 할까 하는 오지랖 넓은 궁금증이 있었더랬. 꿈이 없는 의지는 맹목적이고, 의지 없는 꿈은 허망할 것이니 말이. 그 답을 지난해 키나발루산 등반에서 찾았

입산 3일째 되던 날, 새벽 2시부터 산을 오른. 그래야 해발 4100미터 동남아 최고봉에서의 해돋이를 볼 수 있기 때문이. 어둠 속에서 달빛과 랜턴에 의지하여 끊임없이 오르막뿐인 산을 네 시간 넘게 올라가니 정상이. 정상에 올라보니 우리가 올라온 산이 원뿔모양이었음을 알게 된. 끝도 없이 내려가는 하산길. "정말 우리가 이토록 가파른 길을 올라 온 거야?"라며 모두 놀라워한. "만약 우리가 정상까지의 길을 환할 때 봤면 중도에 포기했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

그래, 올리버 크롬웰이 말했지.
"사람은 자신이 오르고 있는 곳을 모를 때 가장 높은 곳까지 오른"고. 결국, 꿈보는 의지가 더 중요하고 결론 내렸. 굳센 의지가 자신의 꿈과 한계를 넘어서는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하니 말이. 하지만 만약 그 꿈이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이어서 저절로 의지를 동반한면 어떨까. 키나발루 정상까지의 가파른 길을 우리가 보았 할지라도 정상을 향한 가슴 뛰는 꿈이 어떠한 고행도 견뎌낼 굳센 의지를 동반한면 말이.

여기서 나는 나름의 결론을 내렸. 꿈과 의지 중 하나를 택해야 한면 의지이. 하지만 그 꿈이 가슴 뛰는 것이어서 의지를 동반케 하는 것이라면 꿈의 힘이 더 세. 모래성을 만들던 아이에겐 빗줄기를 이겨낼 만한 의지가 샘솟는 것이며, 살아야 할 분명한 이유가 있는 사람은 어떠한 시련도 이겨낸고 했으니 말이
결국 아이의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가 선택해야 할 것은 아이 스스로 가슴 뛰는 꿈을 꾸게 만들고 이를 곁에서 조용히 지켜봐 주는 것이어야 한

하지만 불행히도,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이 부모의 결정에 의존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 그게 우리 자식 잘되라고 하는 거란. 나는 선생님들의 '사랑의 매'라는 것과, "너 잘되라고 그러지 우리 잘 되라고 그러니?"라는 부모의 말은 진실에서 멀리 떨어진 이야기라고 믿는 사람이. 한번 따져보자. 그게 아이의 욕심인가, 아니면 부모의 욕심인가. 주위의 칭찬이 자자한 범생이의 노력은 스스로의 삶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부모의 욕망에 부응하기 위함인가. 후자라면 참으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 아이들의 진로를 결정해주고 의지마저 대신 채워주는 열성 부모덕에 아이가 훌륭하게 자랄 것이라고 하는 건, 살대만 남은 찢어진 우산으로도 소나기에 젖지 않을 거라 우기는 것과 매한가지이

체제는 추세에 순응하며 경쟁에서 이기라고 말한. 그러면 더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한. 경쟁은 효율성을 전제로 하기에 경험과 전략에 출중한 부모가 나서야 한. 여기에 아이들의 시행착오와 경험은 설 자리가 없. 경험이 인생의 거의 전부인데도 말이.

세상은 "너의 삶을 제대로 누리라"고 하지 않는.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를 물을 뿐 어떤 삶을 살 것인지에 대해서도 묻지 않는. 솔직해지자. 우리들에게 가슴 뛰는 일들이 있었던가? 힐링 열풍은 어른들 대부분의 삶이 그러하지 못했는 반증이. 이제 우리 아이들만큼은 가슴 뛰는 꿈을 스스로 찾도록 조금 더 기려 주자. 그리하여 콩닥거리는 마음으로 자신의 꿈을 위해 과감하게 도전하며 굳센 의지로 자신의 삶을 채우도록 하자. 자신의 존재가 반짝반짝 빛나는 별처럼 느끼도록 자존감을 갖게 하자. 그것만이 아이들의 진정한 성공을 담보하는 길이요, 청소년 자살률이 OECD국가 가운데 2위라는 오명을 벗는 일이라고 필자는 믿는.

휴양지에서 돌아온 음날 아침 탄천을 산책하 잉어들이 특히 많이 모여 있는 곳에는 예외 없이 걸려있는 공고판에 눈길이 머문. "잠깐! 먹이를 주지 마세요. 면역력, 생존능력이 떨어집니." 그게 비단 물고기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 것이.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명랑쾌활님의 댓글

명랑쾌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03.♡.28.22 작성일

좋은 글 잘 읽었습니.
문득 예전에 했었던 어줍잖은 생각이 떠올라 보태 봅니.

문화권에 따른 자식이라는 존재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합니.
1. 자식을 자신의 유전자를 이어 받은 '객체'로 인식 - 서구권 대부분, 일본
2. 자식을 자신의 '분신'으로 인식 - 한국
3. 자신과 자식은 모두 가문(혹은 부족, 씨족)의 일원이라는 인식 - 동양권 대부분

자식을 자신의 분신이라 여기기 때문에, 자신이 바라는 것을 자식에게 투영하고 싶은 심리가 강하지 않나 생각합니.
자식이 자신의 분신이기 때문에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시행착오를 겪는 것을 싫어하지 않나 생각합니.
비록 자식으로서는 '처음' 그 시행착오를 겪는 것이지만, 자식=내 분신=나 니까요.

한국도 예전엔 3번의 경향이었는데, 핵가족화 되고 친족 간의 유대가 옅어지면서 2번 경향이 심해지지 않았나 싶습니.
불과 20~30여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딸들이 학교 못니고 공장 나가 돈 벌어 아들 뒷바라지 하는게 보통이었습니.
근래 중국도 신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과 비슷한 조짐을 보이고 있는듯 하구요.
흥미로운 사실은, 최근 한국의 경향이 점차 1번으로 가고 있는듯 합니.
(위의 본문과 같은 성찰과 공감도 그런 경향의 하나라고 생각합니.)
친척 사회의 유대감을 강하게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부모가 되어가고 있고, 게가 구성원의 노후를 가족 집단이 부양하지 않는 (혹은 못하는) 사회 상황도 한 몫 하고 있습니.
그런 면에서 본면, 어쩌면 자식을 분신처럼 여기며 과도하게 간섭하는건, 한국 문화의 독특함이 아니라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여 3번에서 1번으로 변화하는 '과도기'가 아닐까 생각합니.

한국은 정말 역동적인 나라 같습니.
그도 그럴것이, 한국과 같은 사회경제정치의 급성장은 세계에 유래가 없으니까요.
지금의 지역, 세대, 성별, 계층 등 모든 갈등도 어찌보면 급격한 변화에 따른 필연적인 후유증이 아닐까 싶습니.


...잔잔한 감동의 글에 요상하고 딱딱한 글을 붙여 버렸네요... =_=;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7,633건 12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25 일상 19인치 CRT 모니터 댓글2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10 4199
7324 일상 좋아요3 [평지풍파] 어그로를 끌어보자(5)-성탄특집2 댓글1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24 3287
7323 일상 kbs world에 요즘 자주나오는 쏘나이스 쏘세지 광고 댓글15 임마누엘30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26 5660
7322 일상 강원 고등학교 출신 계신지요? 댓글1 황태자이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19 2987
7321 일상 가을의 고즈넉한 삼청동 댓글2 둥글레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19 3416
7320 일상 잡동사니 버리기 십계명 댓글5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2-19 4096
7319 일상 윤리라고는 없는 기업... 댓글2 awalidenga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03 5741
7318 유머 좋아요1 매운탕 대참사 댓글2 제임스27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4 4024
7317 일상 완료 댓글3 하도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7 3614
7316 일상 코로나는 도대체 언제 끝날까요... 댓글1 jakaat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0 7497
7315 일상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난 사건을 한국에서 제소할수있어요? 댓글5 맹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02 4858
7314 일상 KBS WORLD에 건의 댓글12 호연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01 5365
7313 일상 에어 아시아 쎄일 하기에 아주 싸게 싱가폴행, 한국행 끊었어요. ^^ 댓글16 agat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08 6584
7312 일상 울나라 대통령들 운전형태 ㅋㅋㅋㅋㅋ 댓글6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16 4465
7311 답변글 일상 자카르타에서 정착해서 살아볼려구 하는대요... 루피아를 어떻게 만들어… 댓글3 유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06 5041
7310 일상 자동차 구입할때..... 댓글2 건뚱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2 5625
7309 일상 K항공사와 A항공사-지난 10여년, K항공사의 횡포를 잊지맙시. 제… 댓글8 saeggam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05 6985
7308 일상 저작권 걱정 없는 음원 웹사이트 9곳 댓글1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30 5074
7307 일상 안녕하세요~ 인도네시아 거주 3년차 여자입니. 댓글20 ikidie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31 8279
7306 답변글 일상 원이미그레이션 관련 궁굼사항 댓글4 첨부파일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15 7267
7305 일상 자카르타의 잠 못드는 밤 댓글11 보물지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8 8443
7304 일상 1~2년 정도 자카르타에 거주할 것 같습니. 댓글1 integrit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28 7164
7303 일상 소형백 제조업체 찾습니. (제품포장용) 댓글2 네잎클로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26 6899
7302 일상 무료 영어 수업 (말하는 문법, 중/고급 회화) + 무료 교재 드립니… 댓글3 첨부파일 goodthi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7 7105
7301 일상 볼트pulsa 넣으려면 찌부부르 어디로 가야되나요? 댓글4 bal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02 6955
7300 일상 주인장님 앨범란 좀 만들어 주십시오. 댓글7 핵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10 7009
7299 일상 3차 정모 제의합니!! ㅎㅎ 댓글9 chri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10 7245
7298 기타 좋아요4 요즘 기업들(그중에서도 대기업) 사원 연봉 너무한 거 아닌가요? 댓글30 nescaf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25 3471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