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멸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11)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먹거리로 풀어가는 문화이야기 - 멸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1.82) 작성일14-03-20 10:09 조회4,990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58020

본문

가끔  해변에 멸치가 떼로 몰려와 죽을 때가 있습니. 경포해변에 늦여름이면 멸치 떼가 파닥거리면 있는 모습을 보면 미련한 미물의 몸무림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얘나 나나 살겠 발버둥 치는 모습은 같구나 하는 측은함도 듭니.

 

멸치가 해변까지 올라오는 것은 얘들이 따뜻한 해변에서 태닝이나 하겠 올라오는 것은 아니고 사실은 고등어 떼에 쫏겨서 지나치게 해변에 가까이 도망치 파도 휩쓸려 올라오는 것이라 합니.

 

한국인이 멸치를 말려 국물로 쓰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요?

잔치국수의 국물로도 쓰고, 된장찌개의 밑간으로 쓰는 멸치국물은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오래되지 않았습니.

한국인들이 너도 나도 국물을 내기 위한 재료로서의 멸치를 쓰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고

그전에는 말린 멸치를 먹지 않았습니.  주로 젓갈로 만들었습니.

 

일제는 조선을 침탈 , 식민지로서의 한국에서 많은 것을 수탈 합니. 비단 군량으로서의 아니라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생선도 강제로 공출 갑니.

일제점령기 일본인은 부산의 기장에 멸치를 모아 일본으로 가져갑니. 이때부터 마른 멸치의 가장 많은 생산을 기장이 담당하게 됩니.

 

일본인에게 시마는 국물을 내는 가장 중요한 재료이고 정말 정성을 들여 국물을 우려 냅니.

그리고 멸치도 그만큼 중요한 국물재료 입니.

따라서 자국민들의 중요한 식자재인 멸치가 한국에서 지천인 것을 일본인은 동력선을 이용해 멸치를 어회하고 식민지 한국의 주민도 여기에 동참을 합니.

일본 패망으로 식민지에서 일본인이 물러간 후에도 멸치는 남아 한국인의 혀가 각인을 합니.

 

인도네시아에도 마른 멸치 비슷한 것이 있는데, 이게 한국의 멸치와 같은 종류가 동남아까지 회유한 것인지 아니면 멸치와 같은 정어리의 종류인지는 모르겠습니

 

이들의 마른 멸치는한국의 멸치와는 많이 콤콤한 냄새가 심하게 납니.

이건 멸치 자체의 문제라기 아마도 건조방식의 차이가 아닌가 생각 됩니.

한국에서는 멸치를 잡아 한번 삶아서 말리는 것에 비해 이들은 그대로 햇볕에 말리는 것이 말리는 과정에서 콤콤한 냄새를 만드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

 

우리가 즐겨 먹는 식재료 중에 의외로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고 외국에서 전래되어 우리 것이 되어 버린 식자료가 많습니.

대표적인 것이 멸치입니. 식민지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멸치국물

 

그렀 멸치가 식민지의 아픔과 함께 시작했으니 멸치를 먹는 것이 일본식 풍습일까요?

문화는 생명체와 같아서 진화하고 변화합니. 식문화도 마찮가지 입니.

 

멸치는 일제의 잔재가 아니라, 한국인의 고유한 음식인 것입니.

 

집에와 샤워를  후, 맥주 한잔을 마실 , 고추장에 찍어 먹는 마른 멸치 한마리

이게 한국인의 모습이 되었 마른 멸치도 기원따윈 중요치 않습니. 왜냐하면 이젠 것이 이미 우리 것이 되었으니까요

 

한국의 늘어나는 귀화 한국인들,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 우리의 옆에서 함께 일하는 재외 한국동포.

핏줄로서의 한민족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을 함께하고 하나의 공동체로서 생활을 함께 영위하는 것을 하나의 국민으로 인정하는 시대를 기대 봅니.

  

 

이번 주는 여기까지…. 주에는 무엇을 주제로 풀어가야 할까요?

밑천이 빈약하 보니, 막상 말을 풀어갈 실마리가 생각나지 않네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7.♡.1.82 작성일

멸치가 일반적인 육수의 재료로 널리 쓰이게 된 것은 해방이후고 그 이전에는 특별한 육수가 없고 매운탕을 끓이면 생선을 국을 끓이면 쇠고기를 이도 저도 없으면 그냥 된장을 풀어 쓴 것으로 압니

네째님의 댓글

네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4.♡.111.253 작성일

일제시대 이전에는 멸치로 육수를 안내었나보군요..ㅣ
김치담을때
마른멸치+시마 끓여서 =>육수를 넣고 양파 배 마늘 생강 붉은고추씨뺀거를
믹서에
갈아서  소스를 만들면 시원한맛이 나요
+고추가루 설탕  액젓(멸치 까나리액젓 새우육젓 등) 찹쌀풀 볶은참깨
=>>넣으시면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열무김치  파김치등...
버무려서 김치를 만드실수 있어요

산바위님의 댓글

산바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36.♡.120.0 작성일

아!!! 인니 시장에서 파는 멸치 냄새가 무슨 냄새인가 했는데요...콤콤한 냄새 였군요??ㅎㅎㅎ
정보 감사 합니...

eorkfa님의 댓글

eorkf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39.♡.153.9 작성일

좋은글 감사합니.. 정말 해박하시네요 ㅎㅎ
많고 깊은 지식 같이 공유해요.. 많이 올려주세요
담글 기대할께요♧♧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3,888건 1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88 답변글 일상 Re: 인도네시아여성과 결혼하려고합니 댓글5 몸치골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22 5086
3887 기타 Elevenia & Samsung 댓글3 cape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22 5395
3886 일상 MOI 에서 헨드폰 분실 댓글1 Karl가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02 4637
3885 일상 차량 렌탈 가능하신분 (1주 정도) 댓글5 두니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21 5185
3884 일상 오류 알려주시면 최대 5천 포인트 드리겠습니. 댓글17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12 7909
3883 유머 러시아식 무식한 창고건물 철거 댓글1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4-24 4550
3882 유머 은근 야한 놀이터 놀이기구 댓글7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22 4517
3881 유머 눈을 처음으로 본 팬더 댓글3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06 3400
3880 유머 누나가 걱정되는 동생의 전화 댓글1 레클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01 3157
3879 일상 <재테크> 10억 루피아, 은행 예금이 최선일까요?? 댓글15 비비원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12 9569
3878 일상 자카르타 사람과 한국 사람들의 차이 댓글18 권토중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29 9824
3877 일상 지끗지끗한 교통난 댓글4 보리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14 7402
3876 일상 사우나및맛사지 댓글6 bal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4 8088
3875 답변글 일상 발리 풋살(축구팀) 인원 모집합니~!!(단기,장기,교민 모두환영) 댓글1 발리kw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07 4901
3874 일상 자카르타의 잠 못드는 밤 댓글11 보물지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8 8509
3873 답변글 일상 아파트 주차장에서 차량손상 - 결과보고 댓글2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15 6292
3872 일상 한국 들어갈때 꼭 사가야할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댓글4 노란풍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30 6413
3871 일상 세월호관련 요새뉴스들보면 댓글21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01 5824
3870 일상 포인트에 여유가 있으신분~~~~~ 댓글8 하늘바람처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06 4251
3869 일상 인도삿 믄따리 왜이러죠??? 댓글6 처음인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03 4603
3868 일상 우리가 몰랐던 소의 비밀 댓글2 지누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22 4110
3867 답변글 일상 매너인가 문화제국주의인가 댓글3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18 4341
3866 답변글 일상 좋아요1 자동차 보험 문의 드립니. 댓글3 철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03 4489
3865 일상 국문 일어로 번역 알바 해주실분? 댓글3 haloloh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21 6114
3864 일상 파파야 잎차 어디서구입하나요?(암환자복용) 댓글2 풀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12 7949
3863 답변글 일상 국제학교 SIS의 위안부 뉴스클립과 관련한 사과 문제-3 댓글1 sommerse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6 3155
3862 일상 생수의 불편한 진실 댓글7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2 6474
3861 일상 비자여행 댓글4 hannib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4 397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