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폴리에테르 시장 동향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59)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폴리에테르 시장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7-12 14:17 조회2,062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86490

본문

인도네시아 폴리에테르 시장 동향
2021-07-07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 박승석

- 코로나 19로 주춤한 작년 제외, 2015~2019년 연 평균 3.1% 성장 -

- 수요 대비 내수 생산 역량이 부족해 약 50% 정도 수입 의존 중 -

- 작년 주요국 수입량은 감소했으나 한국산 폴리에테르 품목은 전년 대비 69.2% 증가 -

- 인도네시아 정부의 내수 생산 확대 정책에 따라 정책 동향 파악 필요 -

 

 

 

상품명 및 HS 코드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3

 ​주1: 인도네시아는 HS코드가 8자리까지 세분화되지 않아 인접 코드로 재분류(무역관 통관 자문위원 자문)

주2: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 불인정 최소화를 위해 HS 코드 6자리까지만 명시(무역관 통관 자문위원 자문)

자료: 한국 관세청 관세법령정보보털, 인도네시아 재무부(INSW)

 

시장동향


폴리에테르는 에테르 결합으로 연결된 고분자화합물 스판덱스나 우레탄 등의 원료를 포함해 의료, 섬유, 포장, 자동차 부품 등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는 우레탄 고무나 스판덱스의 원료로 사용되며 폴리에틸렌글리콜(3907.20.10)은 점안액, 계면활성제, 화장품 용매, 세포융합실험 시약, 고분자 전해질의 폴리머 원료 등에 사용되고 있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3907.20.20)은 냉장고 단열재와 자동차 내장재 제품 생산에 활용되고 있다. 폴리페닐렌 옥사이드(3907.20.30)은 의료 및 화학기구, 파이프, 밸브 등에 쓰인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폴리머(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가 포함된 인도네시아 플라스틱 원료 시장 규모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 평균 3.1%씩 성장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내수 침체에 따라 전년 대비 시장 규모가 9.4% 축소된 80억 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3

 

파자르 부디요노(Fajar Budiono) 인도네시아 올레핀, 아로마 및 플라스틱 협회(INAPLAS, Asosiasi Industri Olefin, Aromatic, dan Plastik Indonesia) 사무총장은 KOTRA 자카르타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인도네시아의 석유화학제품은 고부가가치 제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어 향후에도 지속적인 수요가 기대된다고 했다. 작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이동 제한으로 석유화학제품이 주로 사용되는 자동차와 건설 분야가 부진했고, 의료분야 수요에 의존했다면, 올해는 코로나 19 상황 개선에 따라 전년 대비 약 5~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코로나 19 변동성이 여전히 남아있어 두 자릿수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수입동향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석유화학제품(Petrochemical, Oleochemical) 시장 수요의 절반 정도가 수입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3

 


물품 수입액 기준 시장 점유율은 작년 37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6.5% 감소했다. 하지만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50%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지속적인 수입 수요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폴리에테르(3907.20)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수입량과 수입액 모두 증가 추세이다. 동 기간 해당 제품의 수입량은 연 평균 8.7% 증가했고, 수입액은 4.8% 증가했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3

2021년에는 1분기 수입액은 9,9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 분기 대비 29.9% 증가했지만 수입량은 4만 5000톤 규모로 7.1% 감소했다. 주요 원인은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보인다. NAPLAS 파자르 부디요노 사무총장은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라 생산 대비 초과 수요가 발생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답했다. 1분기 폴리에테르 가격은 2,200달러/톤 수준으로 전년 대비 39.7%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주 수입 국가는 중국, 한국, 태국, 싱가포르, 미국 등으로 보인다. 작년 코로나 19로 인해 전체적인 수입이 감소한 가운데 한국산 제품 수입은 전년 대비 69.2% 증가해 대부분 감소를 기록한 주요 수입국과 대조를 이뤘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3

 

 

수입 품목을 보면, HS 코드 3709.20.90이 주로 수입되고 있다. 해당 제품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폴리에틸렌 기타 제품으로 보인다. 작년 수입량은 전체 수입량의 95.2%인 16만 톤, 수입액은 2억 5천만 달러로 93.4%를 차지했다.

 

한국산 주요 수입물품도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폴리에틸렌 기타 제품(3709.20.90)이 주를 이뤘다. 2015년까지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3907.20.10)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점점 격차가 벌여져 2020년에는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기타 제품이 전체 수입액의 95%를 차지했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3

2020년 인도네시아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해당 품목을 수입한 현지 기업은 20개사로 보인다. 해당 리스트에는 한국 기업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4

 

생산동향

 

시장조사기관인 피치 솔루션(Fitch Solution)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내수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연간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을 2019년 600만 톤에서 2024년 890만톤, 2025년에는 1,120만 톤으로 증가할 계획을 수립했다고 한다.

 

이를 위해 국영 석유기업인 PT Pertamina를 통해 석유화학 원료인 나프타 크래커(Naphta Cracker)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있고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의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현지 석유화학 대기업 PT Chandra Asri Petrochemical Tbk는 2025년까지 폴리에틸렌 생산량을 연간 154만 톤 규모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의 롯데케미칼과 태국의 Global Chemical 등도 현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4

 

유통구조 및 경쟁동향

 

유통 구조를 단순하게 나타내면, 수입자가 바로 최종 구매자(End-user)에게 전달하거나, 유통망(Distributor)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이 있다. 폴리에테르 물질을 중점적으로 생산하거나 활용하는 업체 리스트는 따로 없지만, 현지 시장조사업체 PT Citra Cendekia Indonesia에서 2018년 발간한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자 리스트를 보면 약 40개 회사가 플라스틱 원료를 활용해 제조공정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분야 현지 주요 기업들을 조금 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4
3af4c30042f9692a99feadeb75de0a18_1626074

수출 시 유의사항

 

인도네시아 재무부 INSW사이트에 따르면, 현지 수입 전 규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한-아세안 FTA에 의거, 원산지 증명서를 구비하는 경우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해당 품목의 경우 한국은 8자리까지 세분화해서 분류한 반면, 인도네시아는 대략적으로 분류되어 있어 원산지 증명서 발급 시 조금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 KOTRA 자카르타무역관 김하현 통관 자문위원은 원산지 한국에서 분류한 기준이 인도네시아에 없는 경우 보통 가장 인접한 HS코드를 준용한다고 하며, 원산지 증명서 발급 시 HS 코드를 소호(6자리)까지만 명시해 원산지 불인정 문제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시사점

 

폴리에테르는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는 물질인 만큼, 지속적인 수요가 있고 내수 생산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지속적인 수입이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 19에 따른 경기침체로 전년에는 부진했지만, 코로나 19 백신 접종 확대와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라 인도네시아 경제도 조금씩 회복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한국산 수입 수요도 주요 수입국 대비 증가하고 있어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수요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현지 정부의 내수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내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더해서, INAPLAS 파자르 부디요노 사무총장에 따르면 추후 산부품사용요건(TKDN)과 반덤핑, 세이프가드 등 다양한 비관세장벽이 검토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지 진출 전 지속적인 동향 파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인도네시아 재무부, 한국 관세청, Fitch Solution, 유로모니터, Global Trade Atlas, 각 회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 자료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53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53 인도네시아 축산 박람회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92
952 스타트업으로 알아보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전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79
951 2025 한-인니 EV e모빌리티 비즈니스 플라자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90
950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68
949 인도네시아 국제 식품 전시회(동부)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151
948 인니, ’26년까지 현지 금속 거래소 설립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71
947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65
946 인니 APEKSI 연계 K-Smart City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42
945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40
944 2025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37
943 인니, 니켈·구리 등 광산 로열티 인상··· 광산업계 경쟁력 우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383
942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175
941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효율화의 주요 내용과 함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8747
940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56
939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65
938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10722
937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10610
936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12970
935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5366
934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6700
93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4018
932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768
931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4401
930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2133
929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9835
928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1822
927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2248
926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5661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