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2019년부터 철강 수입규제 강화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612)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2019년부터 철강 수입규제 강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1-31 18:18 조회1,923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66184

본문

인도네시아, 2019년부터 철강 수입규제 강화
2019-01-30 허유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

2018년 철강 및 철강 제품 수입 34% 증가 -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110, 2019 1 20일부 효력 -

 

□ 철강 수입 현황


  ㅇ 인도네시아 정부의 철강 수입 규제에도 불구하고 수입은 2017, 2018년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 34% 증가해 2018 1월부터 11월까지의 수입실적은 1264,448만 달러를 기록했음.


  ㅇ 이는 조코위 정권 하에 활발히 진행되었던 인프라 구축사업과 제조산업 육성으로 인해 철강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데 공급이 수요를 맞춰주지 못해 관련 업계의 철강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보임.


1039610477_1549624318.1781.png


ㅇ 인도네시아로 철강 및 철강제품을 주로 수출하는 국가에는 인도네시아 철강 수입시장 수입액 규모 순서대로 중국일본한국남아프리카공화국싱가포르베트남러시아인도대만말레이시아가 있음.


  ㅇ 이 중 한국은 인도네시아 수입시장에서 3위를 차지했으며주로 수입되는 한국 제품은 HS Code 7208, 7210, 7209, 7225, 7207, 7228, 7212, 7219, 7202, 7305, 7304, 7307, 7306, 7308 등으로 집계되고이 뿐 아니라 HS 코드 72, 73의 하위코드 제품이 대부분 수입되고 있음.  


1039610477_1549624355.726.png


  ㅇ 응가르띠아스또 루끼따(Enggartiasto Lukita) 무역부 장관은 2018년 국가 철강 수요는 143만 톤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수입이 급속도로 증가했음을 언급하며이와 관련해 다르민 나수티온(Darmin Nasution) 경제조정부 장관에게 철강 수입에 한해서 기존의 통관 절차로 회귀할 것을 촉구했음.

    

  ㅇ 루끼따 장관은 2019 1 10일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22호를 통해 사후 통관 검열 제도인 포스트보더(Post Border) 시스템을 반영해 개정했던 법령을 최근에 발표한 제 110호(Pemendag No. 11o Tahun 2018)를 통해 개정하면서 철강 수입 통관 방식이 2019 1 20일부로 기존의 사전 검열 체계로 회귀했음을 강조했음.

     

  ㅇ 그리고 인도네시아 철강 협회의 실미 까림(Silmy Karim) 협회장은 현재 인도네시아로의 철강 및 철강제품이 너무 많이 수입되고 있어 철강업계가 고통받고 있으며수입이 많이 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산업 발전 및 인프라 구축의 이유 뿐만 아니라 현지 생산 제품보다도 단가가 더 낮은 제품들을 외국업자들이 수출해 인도네시아 수입업자를 기만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언급했음.


  ㅇ 그는 2018 7월의 철강 수입이 99620만 달러를 기록하며전년 동기 대비 56.55% 증가했음을 언급했으며 누적 기준으로는 567천만 달러로전년 동기 대비 36.3% 증가했음을 발표했고철강업계가 몰락하기 전에 수입산으로부터 위협을 받는 내수제품을 보호해야 함을 주장

 

□ 대한 철강 및 금속제품 수입규제 현황


  ㅇ 인도네시아의 반덤핑 및 세이프가드 조치 품목에는 철강 제품이 많으며이들 중 일부는 재조사를 통한 종료 기한 연장이 검토 또는 시행되고 있음.  


  ㅇ  (비합금강 평판강판세이프가드를 2017 10 3일부터 2019 10 2일까지 연장

    - MOF No 130/PMK.011/2017에 의거, 2017 1 18일에 연장을 위한 조사를 시행했고 연장 판정이 나면서 이 제품군에 대해2017 10 3일부터 2019 10 2일까지 2년간 세이프가드 연장 조치됨.


  ㅇ (석도강판반덤핑 적용기간이 2019 2 14일까지로 종료 시한이 1개월도 남지 않았으나인도네시아 반덤핑위원회는 기한을2024년까지 늘리는 것으로 검토 중


  ㅇ (합금강세이프가드를 2018 1 21일부터 2021 1 20일까지 연장

  - 2018 1 20일에 종료될 예정이었던 세이프가드가 2017 PT Gunung Garuda의 재심 신청에 따른 세이프가드위원회(KPPI)의 결정에 의해 종료예정일 시점에서 3년 더 연장됨.

  해당 법령은 MOF No 2/PMK.010/2018(MOF No 12/PMK.010/2015개정본)임.


1039610477_1549624400.7734.png


□ 철강 수입규제를 위한 무역부 장관령 발표


  ㅇ 수입의 급격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무역부는 철강철합금강및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에 대한 규정 개정본을 인도네시아 무역부 2018년 제110(Peraturan Menteri Perdagangan Republik Indonesia Nomor 110 Tahun 2018)를 통해 공포


  ㅇ 이 법령의 시초는 무역부 장관령인 No. 82/M-DAG/PER/12/2016이며이 법령은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22(Peraturan Menteri Perdagangan Republik Indonesia Nomor 22 Tahun 2018)로 개정되었다가이 개정본은 2018 12 20일에 서명된 무역부장관령 2018년 제110호를 통해 최종 개정됐으며, 2019 1 20일부터 효력을 발함.


  ㅇ 무역부장관령 2018년 제110호에는 수입 요건수입 승인 획득검사보고 의무면제 사항 등에 대해 명시돼 있음. 주로 수입업자 또는 통관업계가 참고해야 할 법령이나이들은 이러한 요구사항과 관련해 필요한 서류를 수출업자에게 요구할 수 있어 숙지하는 것이 좋음.

 

□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110호의 주요 내용

 

  ㅇ 적용 품목

    - 인도네시아 무역부장관령 2018 제110호의 부록에 나열된 품목에는철 또는 강철 341개 품목합금강 65개 품목이로부터 파생된 철강제품 47개 품목이 존재하며, 이들 품목은 이 법령의 규정을 적용받게 됨.

    -  최대 8자리까지의 품목은 이 글의 첨부 법령 뒷부분에 명시된 부록을 참조할 것


1039610477_1549624431.8891.png


  - 해당 법령에서 정의하는 API-U API-P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음(11)


1039610477_1549624455.8667.png

ㅇ 사전 수입 허가(Persetujuan Impor) 획득 절차

    - 강철합금강 등의 제품에 대한 수입 허가를 득하기 위해서는 수입업자는 신청서 제출-> 승인 또는 거절 단계 -> 수정 -> 연장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함. 

    - 특히 이 법규와 관련 주목해야 할 사안은 개정 직전의 법령에서는 원래 법령에 명시됐던 사전수입승인을 위한 사전 검토 절차로써의 기술적 검토 과정이 삭제됐었으나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110호를 통해 부활했다는 점임.

    - 수입업자는 조만간 INATRADE 2018 7월에 출시된 OSS(Online Single Submission) 면허발급 시스템으로 대체될 계획임을 염두할 필요가 있음.  


1039610477_1549624489.333.png


ㅇ 기술 검사

    - 이전 법규는 세관에 진입한 후에 제품에 대한 검사가 진행됐었으나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110호에 따르면재도입된 검사 과정은 지정된 감사기관에서 하역항 또는 보세 물류센터를 통한 제품 수입과 관련세관을 거치기 전에 수행돼야 함.

    - 이에 따라 직전의 법규에서 명시한 자진 신고 과정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됨.

    - 기술적 검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토하기 위해 지정됨.


1039610477_1549624522.4635.png


   - 이 기술 검사의 결과는 검사관의 세관 검사 시 보조 서류로서의 선적전 검사 보고서(Laporan Surveyor)에 포함되며만일법령에 규정된 사항을 준수하지 못했다면 해당 수입업자는 해당 품목을 자비를 투입해 재수출할 것을 요청받을 것임.    

    - 해당 법령 제 27조에 명시된 품목이나 조건을 갖춘 경우 사전 기술적 검사 이행 원칙에 적용되지 아니함.


1039610477_1549624544.9507.png


  ㅇ 수입 실현 보고 의무

    - 사전 수입 승인을 득한 모든 수입 업자는 매월 무역부에 수입 실현에 대해 보고해야 하며보고는 INATRADE 포털사이트를 통해 다음 보고시점으로부터 해당 보고 기간의 익월 15일에 이행돼야 함.

    - 또한 수입 실현에 대한 월간 보고를 이행하지 못한 경우정부 당국은 해당 사전 수입 승인을 중단하게 됨.

 

  ㅇ 제외 조건  

    -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품목에 대해서는 수입 절차 시 해당 법령을 적용받지 아니함.


1039610477_1549624583.1893.png


□ 시사점


  ㅇ 2018 2 1일부로 인도네시아로 유입되는 상당 품목에 대해 통관 후 검열 시스템이 가동되기 시작했으나, 2018년 한 해 동안 857000만 달러의 대규모 무역적자를 기록하며수입이 정책적으로 억제되고 수출 절차를 간소화해 나가는 추세임.


  ㅇ 수입 증가율이 높아 국내 산업에 위협이 가해진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규제를 강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며주요 품목 중 하나가 철강 및 철강제품임.


  ㅇ 업계 인터뷰에 따르면이미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일부 철강 품목은 수입이 제한돼 기존 수입산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되는 철강 제품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최근 5년 사이에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함.


  ㅇ 철강 수입규제를 위해 발표된 인도네시아 무역부장관령 2018년 제110호를 통해 외국산 철강 및 철강제품이 통관되는 과정에서 사전수입승인, SNI 등 수입승인관련 서류가 면밀히 검토될 예정


  ㅇ 해당 법령의 발효로 수입쿼터로서의 효력을 발휘하는 사전수입승인이 철강제품에 대해 이전보다 더욱 더 철저히 시행될 것으로 판단됨.


  ㅇ 한편통관 후 인증 관련 서류를 검토하는 단계가 있는 경우라도사전에 해당 서류들을 제대로 갖추지 않으면통관 후 48시간 내에 자진 신고를 할 수가 없어 쉽백 처리됨에 따라 사전 관리 체계를 규정한 이번 개정 법령이 수입 억제에 효력이 있을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임.


  ㅇ 이보다는 현지 철강 업계의 제소를 적극 반영반덤핑상계관세세이프가드 등의 조치를 통해 수입을 본격적으로 억제해 나갈 가능성이 있으며정부 당국은 현지 철강업계의 자생력을 기르기 위해 철강제품 제조업 육성에 좀 더 관심을 보일 것으로 보임에 따라 관련 제품을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은 무역부를 통해 해당 법령 및 시장 분위기를 수시로 파악할 것을 권장 

 

1039610477_1549624629.7927.png

1039610477_1549624653.6694.png


첨부: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110호 원문


자료원 : Antara News, Tempo.co, 인도네시아 무역부무역부 장관령 2018년 제 110업계 인터뷰, Global Trade Atlas, 인도네시아 반덤핑위원회(KADI), WTO, 무역협회,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자료(2019.1)  


1039610477_1549624676.2556.png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84건 6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44 인도네시아 팜유(CPO) 거래소 신설 계획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06 1197
843 [기고] 인도네시아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안내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06 1098
842 2023 매경 인도네시아 포럼 현장 스케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06 1208
841 한국-인도네시아 CEPA를 활용해서 관세혜택을 받아보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31 1403
840 인도네시아가 리드하는 2023 아세안 정상회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19 1227
839 인도네시아 신수도 이전사업 구체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19 1178
838 [기고] 한국-인도네시아 협력으로 넓어질 지식재산권 진출 기회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4 1316
837 2023 인도네시아 전시회, 상담회 일정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0 1576
836 Megabuild Indonesia Expo 2023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7 1636
835 2023년 인도네시아 주요 이슈 및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7 1175
834 주요 지표로 보는 2023년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8 1310
833 [헤럴드경제 기고] 개방과 보호무역 사이에 선 인도네시아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1 1117
832 [기고] 제품 등록·인허가를 위한 위임장(LOA)관련 유의사항 및 OSS 개편사항 안내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2041
831 인도네시아, 신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자국이익 확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1568
830 2023년 인도네시아 최저임금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3278
829 [기고] 인도네시아-일본 사용자별 특별 관세제도(USDFS)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1052
828 2023 할랄 마케팅 트렌드: 종교를 넘어 보편적 가치로의 확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1206
827 주요 거시지표를 통해 돌아본 인도네시아의 2022년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1108
826 [기고] 인도네시아 PPh21(개인소득세) 개정안내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1732
825 인터뷰로 듣는 인도네시아에서 통하는 '디지털 마케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1445
824 [기고] 인도네시아 핀테크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893
823 동남아 최대 방산전시회 INDO DEFENCE 2022 Expo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 2155
822 KOREA Lifestyle Collection 2022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02 1648
821 KOREA-ASEAN Maritime Week 2022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02 1859
820 인도네시아 보건부 한-인도네시아 제약 협력 기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02 1307
819 인도네시아, 신재생에너지 가속화 대통령령 제정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02 1111
818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인도네시아 ESG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18 1328
817 인도네시아 프렌차이즈 및 비즈니스 컨셉 엑스포 2022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18 1181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