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조세조화법(HPP) 살펴보기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898)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조세조화법(HPP) 살펴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2-25 14:48 조회1,757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0187

본문

작년 10월 통과, 조세 개혁과 국가 예산 수입 최적화 목적

조세조화법을 통해 기존 조세법 대비 '22년 세수 10.8% 증가 예상

인도네시아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고 계산  메뉴 가격보다 최종 지불 금액이  나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메뉴 가격에 추가로 이른바 ‘텐텐(부가가치세 10%, 봉사료 10%)’ 붙기 때문이다하지만 올해 4월부터는  이상 ‘텐텐 아니다작년 10월 국회 본회의에 통과된 조세조화법(HPP) 따라 부가가치세가 기존 10%에서 11% 인상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한국은 2013년부터 부가세를 포함한 최종 가격 표시가 의무화이다.

 

배경

 

2021 인도네시아는 2008 이후 12 만에 세수 목표를 초과 달성코로나19 인한 수입활동 침체국제 유가 하락전반적인 사업 실적 악화로 징수량이 감소했던 2020 대비 14.9% 증가한 금액이다. 2021 징수 목표액이 예년에 비해 낮게 설정되긴 했지만 코로나19 이후 기업 활동 회복과 높은 상품 가격 등으로 인한 경제활동 반등 때문으로 분석된다.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2021 세수 수입은 초과 달성했지만 GDP 대비 세금 비율은 2019 기준 16.6% 아세안 국가 평균 21.0%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세금 납부율 역시 개인 사업자 기준 2020년에는 52.4% 전년 75.0% 비하면  폭으로 줄었으며, 2021 재정적자* GDP 4.7% 기록이에 국가 전체 조세환경을 개선하고 과세 기반을 통해 정부 수입을 늘리고자 2021 조세법이 개정.

  · 건전 재정 마지노선은 GDP 3%이며인도네시아는 코로나19 2023년까지 GDP 3% 초과를 허용하고 있음.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조세조화법(HPP)


2021 10 7국회 본회의에서 조세 개혁과 국가 예산 수입 최적화를 목적으로  조세융합규정법안인 일명 ‘조세조화법(HPP, The Harmonized Tax Law)’이 통과됐다당초 국세기본법(UU KUP) 개정이었으나 개별 세법(국세기본법소득세법부가세법소비세법일괄 개정  신규제도(조세사면탄소세) 함께 제정조세의 여러 법률을 조화롭게 일괄 /개정함에 따라 ‘조세조화법이라는 명칭을 부여.

 

조세조화법의 5가지 주요 목표로는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 회복 가속화 지원, 국가 개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국가 수입 최적화, 정당하고 법적으로 확실한 조세제도 실현, 행정 개혁·통합 과세 정책을 시행하고 과세 기반 확대, 납세자의 자발적인 준수 개선이다.

 

1) 소득세(PPh)

 - 법인세 22% 유지: 코로나19 인한 경제적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대통령 긴급명령 2020 1호에 따르면 2022년에 20% 인하 예정이었으나 이를 철회

 - 개인소득세 과세구간 비율 변경2022회계연도부터 연간 50 루피아를 초과하는 개인 납세자에게 35% 별도 세율 구간 설정, 5% 저세율 구간을 연간 5,000 루피아에서 6,000 루피아로 상향 조정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 소득 공제납세자 본인 연간 5400 루피아배우자 450 루피아(부부 합산 소득이 있는 아내의 경우 5400 루피아 추가 공제부양자 최대 3인까지)

 - 기존 감가상각 규정 한도가 20년이었으나 20 초과 건물  무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 규정

 - 국제 거래 확산에 따라 징수공조  국제공조 규정 도입

 

2) 부가세(PPN)

 - 부가가치세 단계적 인상: 2022년 4월 1일 부 기존 10%에서 11% 인상2025년 1월 1일 부 12% 인상

  · 부가가치세율이 11~20% 범위에 속한 국가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을 주요 근거로 활용. OECD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0 170 국가 평균 부가가치세는 15.9%임.

 - 부가가치세 면세대상 축소전략적 재화로서 비과세 대상 확대

  · 생필품교육서비스  의료서비스  일부 품목이 비과세 대상에서 삭제되고 전략적 재화로 지정해 비과세 유지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3) 조세사면(납세자 자진 신고제도)

 - 국내  해외소재 미신고 재산을 일정 기간  자진신고하고 벌과금 납부  소득세가산세형사처벌  면제

 - 2016 이후 2 조세사면제도로 2022년 1월 1일~6월 30일 시행

 - 법인  개인 납세자가 대상이며, 2 그룹으로 나뉨.

  (1) 2016 조세사면제도 시행  일부 재산만 신고한 납세자

  (2) 2016 이후 취득한 재산 미신고자

 - 천연자원 처리재생에너지국채 등에 투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벌과금 부과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조세사면 제도를 통해 확보된 세수는 정부채권(SBN) 천연자원 가공  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에 투자

 - 2 조세사면 제도 실시  8(2022.1.1~1.8.) 2078명이  IDR 1,252 납부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4) 기타

 행정 효율성 증대 위해 납세자번호(NPWP) 주민등록번호(NIK) 통합

 행정벌과금 제제 완화  구체화

 2022년 4월 1일부터 발효되는 탄소세는 석탄 화력 발전소 분야에서 운영하는 기관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등가물(CO2e) 또는 등가 단위에 부과함탄소세율은 이산화탄소 등가물(CO2e) 또는 등가 단위 1kg 최소 30루피아이며해당 가격이 30루피아 이상인 경구  가격으로 부과함.

 전자 담배를 소비세 과세대상으로 포함

 

시사점


인도네시아 정부는 조세조화법을 통해 조세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세수 증가를 통한 국가 재정의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2025년에 이르러 기존 조세법 대비 20.3% 세수 증가가 예측된다고 한다.

 

b35519f304259753838b874f5dcdddf5_1645775

 

 

 

이번 개정으로 부가가치세 인상법인세 동결  인도네시아 현지 시장 진출  사업 운영에 밀접한 사항이 포함돼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전 숙지가 필요해 보인다.

 

 

자료조세조화법, Indonesia Investment, 주인니한국대사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검색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01건 2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1 인도네시아, 차를 타는 시간이 즐거워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7 1819
340 인도네시아 은행산업, 디지털뱅킹에 관심 고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06 1817
339 디지털 경제와 동반 성장 중인 인도네시아 핀테크시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21 1817
338 인도네시아 옴니버스법 시행령 투자분야 주요 내용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0 1817
337 2020년 인도네시아 정부 계획 및 주요 정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1-31 1814
336 인도네시아가 바라보는 CEPA 전망, 인니 외교부 CEPA 웨비나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5 1807
335 제 469호 - 인도네시아 폐기물 에너지화 시장동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0 1804
334 식품시장, 트렌드를 고려한 진출전략 세워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01 1804
333 인도네시아 노동부, 2018년 최저임금 8.71% 인상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14 1797
332 제443호 - 연 10% 성장하는 인니 의약품 시장, 향후 전망도 밝아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2 1791
331 고온 다습한 기후 속에서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항생제 시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06 1789
330 인도네시아 폴리에스테르 페인트 및 바니시 수입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06 1788
329 인도네시아 보험 시장 최신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06 1784
328 RCEP 체결에 따른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28 1776
327 인도네시아 부모들이 선택하는 우리 아기 먹거리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5-29 1767
326 [전문가 기고] 이커머스로 본 인도네시아 시장 진입방안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16 1765
325 인도네시아 산업 개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02 1763
324 제432호 - 인도네시아, '라마단 온라인 특수'를 노려라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22 1763
323 2019년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08 1763
열람중 인도네시아 조세조화법(HPP) 살펴보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25 1758
321 인도네시아 온라인시장에서 잘 나가는 10대 한국 제품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9 1756
320 인도네시아 물류 환경, 어느 수준까지 개선됐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22 1755
319 인도네시아 주방가전 시장 현황과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1 1755
318 인도네시아, 사후 국경 감시 정책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06 1748
317 제445호 - 인도네시아 100대 기업, 이렇게 바뀌었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7 1738
316 [기고] 한국건설회사 인도네시아 건설시장 진출 전 참고사항 안내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30 1735
315 인도네시아 색조화장품 시장, BB크림과 립스틱 유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5 1719
314 제427호 - 성장 잠재력 높은 인도네시아 핀테크 시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24 1719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