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인도네시아, 관광산업(1)-생태관광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11)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인도네시아, 관광산업(1)-생태관광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1-03-04 15:33 조회14,462회 댓글1건

첨부파일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indo_story/4323

본문

인도네시아, 관광산업(1)-생태관광

 

 

 

□ 개요

     

 ㅇ 세계 포유류의 12%, 세계 파충류와 양서류의 16%, 세계 조류의 17%, 그리고 알려진 해양생물의 1/4 이상이 인도네시아 존재

     

 ㅇ 1995년 자연환경을 이용한 생태관광지 개발에 대한 세미나를 시작으로 2000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생태관광지 개발에 대한 가이드를 발표(Dirjen Bangda Depkagri 2000)

  - (Sua Bali) 1980년대 중후반 인도네시아 문화 이해를 위주로 생태환경 관광을 시작한 후 1996년 베를린 ‘International Tourism Exchange’에서 수상

  - (Sumatera Ecotourism) 1996년 발리에서 개최된 MEI(Indonesian Ecotourism Society)에서 이 사이트 개발 아이디어가 나옴.

   · 1997년 USAID의 지원을 받아 Medan에서 2㎞ 떨어진 Dusan Pamah Simelir에 생태관광지를 조성

   · 이 지역은 오랑우탄, 주머니 긴팔원숭이 등 다양한 동식물로 유명함.

  - (Tanjung Putting National Park) 1990~97년에 개발된 이 사이트는 생태관광의 모델 개발을 위해 생김.

   · 칼리만탄에서 유명한 오랑우탄, 코주부 원숭이를 보기 위한 최적의 장소 개발과 지역관광 개발이 부수적인 개발 사유

   · 총 8개의 생태관광 관련 숙소가 들어선 후 지역주민 80%가 과거 벌목업에서 생태관광 보존업을 가지게 되는 효과 달성

 

  인도네시아 정부는 (i) 에코시스템 내의 자연환경 균형 유지, (ii) 생물다양성 보호, (iii) 연구개발·교육·훈련을 위한 부대시설 제공, (iv) 생태관광 부대시설 제공과 지역문화 보존, (v) 경제적 이윤과 자연보호의 균형 유지를 목표로 함.

     

  국립공원, 산림공원 등을 포함해 120개의 생태관광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존재

     

현재 운영 중인 인도네시아 생태관광지

EMB00001a605a64.bmp    

자료 : www.indecon.or.id

 

□ 주요 생태관광지별 설명

     

생태관광지명

설명

Gunung Leuser

National Park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크며 보호가 잘 된 산림지역 중의 하나임. 해변 저지대에서부터 화산 정상까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함. Bohorok 야생동물 연구센터,
오랑우탄 재활센터가 있음.

Kerinci Seblat

Kerinci Seblat 국립공원은 Sumatra에서 가장 큰 공원임. 생태관광이 지역 주민의 가장 큰 소득원임.

Way Kambas

 National Park

Lampung의 동쪽해안의 Sungai Way Kambas에 위치한 해안 저지대 산림이
1300㎢ 이어지는 아름다운 국립공원

Ujung

Kulon/Krakatau

 National Park

자바 섬 남서쪽 끝에 자리 잡음. Ujung Kulon 반도, 몇몇 섬 그리고 Krakatoa자연보전 지역이 위치함. 화산연구에도 중요한 지역이며, 자바 섬에서 가장 큰 저지대 산림임.

Gunung Halimun

National Park

1992년 만들어진 Gunung Halimun 국립공원은 자바 섬에 남아있는 가장 큰 저지대 산림으로 유명함. 23 종의 포유류가 존재(이 중 Javan gibbon, grizzled langur 원숭이들은 현재 멸종 상태)

Gunung Gede

Pangrango

자카르타에서 100km 떨어진 2만1975ha 열대우림으로 구성된 이 국립공원(1980년에 지정)은 인도네시아 산림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

Bromo Tengger

Semeru

 National Park

Tengger Caldera에서 가장 유명한 Bromo Caldera는 연간 약 9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유명한 공원임. Tengger 화산들은 약 82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됨.

Baluran   National Park

2만5000ha 면적을 가진 이 공원은 공원 면적의 40%를 구성하는 천연 Savannah를 볼 수 있는 유일한 공원

Alas Purwo

National Park

자바 섬에 있는 저지대 열대우림지역이며 10~12월에 16종류의 호주에서 건너온 철새들을 볼 수 있음. 공원 남쪽은 Surf로 유명함.

Bali Barat

 National Park

서부 발리에 위치한 공원은 Mud flats, Mangroves, Coastal Forests, Savannah, Monsoon Forest로 유명함. 발리 찌르레기는 현재 멸종위기이며 Prapat Agung 동굴도 유명함.

Gunung Rinjani

National Park

연간 1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이 공원은 저·고원 열대우림과 Savannah로 유명함. Nusa Tenggara. Mount Rinjani은 인도네시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임(3720m).

Komodo

National Park

Komodo로 유명한 이 공원은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해양생물을 보유한 지역(Coral Reefs, Mangroves, Sea Grass   beds, Seamounts 그리고 Bays)

약 1000종 이상의 물고기와 260여 종 이상의 Reef-building corals 그리고 70여 종의 Sponges가 존재함. 돌고래, 고래 그리고 바다거북들이 자주 발견됨.

Karimunjawa

National Park

27개 섬으로 구성돼 있으며 Seagrass, Algae, Coastal Forests, Mangroves, 그리고 Coral Reefs로 유명

Tanjung Puting

National Park

이 관광지는 Tropical Rain Forest, Dry Land Forest, Freshwater Swamp Forests, Mangrove Forests, Coastal Forests 등으로 유명함. UNESCO는 1977년에 이 지역을 보존지역으로 선정

Bunaken

National Park

이 관광지는 7만9056ha로 육상 및 해상 생태자원이 풍부함. 북부지역은 6만2150ha, 남부지역은 1만6906ha로 구성됨. 이 공원엔 2계절(우기와 건기)이 존재함. 11~4월까지 찬바람과 비가 많은 우기임. 공원의 기온은 10~20도 정도로 시원한 기후를 자랑함.

 

 

자료원 : Idecon, KOTRA 자카르타 KBC 자료 수집 및 의견종합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3,015건 87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7 인도네시아에도 휴대폰 위치추적 서비스가 시작될 듯 댓글5 싱싱채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4 12554
606 반다아째에서 참치잡이로 살아가는 사람들 댓글6 인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2 12145
605 방까벌리뚱의 제비집호텔과 제비집요리의 진실 댓글7 인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2 20370
604 인도네시아의 막걸리 TAPE 이야기 댓글3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2 11792
603 수라바야역이름 댓글1 dmp659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1 6910
602 혹시 4월 12일에 한국가는 가루다비행기 타시는분 계신가요? gayama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9 8604
601 아래 글 수배범 내용입니다. 댓글11 블랙맨1305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9 10144
600 한국인 납치감금 관련 현상수배범 공개 댓글2 자칼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8 13654
599 98년 인니 폭동을 경험으로 한국인이 항상 준비해 있어야 할 것… 댓글6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8 18559
598 수출관리제도 댓글3 Sylv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6 9741
597 새벽 3시에 일어나서 안쫄부근 어시장 은갈치 산 경험담.... 댓글10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4 12040
596 수마트라 두리안과 태국수입두리안 이야기 댓글5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4 14834
595 저룩발리와 인니과일 댓글2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4 10340
594 印尼서 규모 7.1 강진..즉각적 피해보고 없어,쓰나미 경보 해…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4 10124
593 인니에서의 의료비 및 약값.. 댓글11 인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4 13659
592 악재 딛고 깊어지는 韓·인도네시아 관계 의기투합 댓글4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31 12177
591 자카르타 시내 25㎞ 한국 경전철 달린다 댓글4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30 12849
590 인도네시아의 농산물가격이 한국보다 비싸다? 댓글3 인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30 10844
589 인도네시아에서의 테니스운동 환경과 운동효과에 대하여 댓글5 인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30 13584
588 외국인이 아파트를 살수있나요? 댓글10 송송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7 15853
587 답변글 인도네시아, 석탄시리즈(2)-2011년 전망 오대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6 7736
586 인도네시아, 틈새시장 진출가능 상품-게임 댓글1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2 17618
585 답변글 STNK 연장 (끌빠) 댓글1 tug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2 6073
584 STNK 연장 (끌빠) 댓글5 trustsind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1 10521
583 인도네시아등 아세안 10개국, 유럽식 단일비자 추진 댓글5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8 14386
582 인도네시아, 2011년 농산품 시장 전망(1)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6 11349
581 인도네시아, 2011년 타이어 및 철강시장 전망 댓글2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4 15154
580 [화보] 사진으로 보는 8.8 강진 일본 열도 초토화 현장 댓글8 바다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11 11355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