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일문일답] 아세안 사무총장 "미얀마 사태, 단기간에 해결 어려워"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95)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일문일답] 아세안 사무총장 "미얀마 사태, 단기간에 해결 어려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3-07 14:34 조회218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5575

본문

95946d910e1653216998190eff119b77_1678174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까으 끔 후은(Kao Kim Hourn·56) 신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사무총장은 미얀마 유혈 사태에 대해 "뿌리 깊은 갈등으로 인해 단기간에 해결되긴 어려워 보인다"라고 말했다.

까으 사무총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페어몬트 호텔에서 진행한 연합뉴스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아세안은 미얀마도 동의한 5개 항 합의를 미얀마가 완전히 이행하도록 지속해서 촉구하고 있다"라며 이같이 설명했다.

아세안은 미얀마 유혈 사태가 발생하자 2021년 4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특별 정상회의를 열어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해 즉각적인 폭력 중단 등 5개 항에 합의한 바 있다. 이 자리에는 미얀마 군사정부 지도자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도 참여해 5개 항에 동의했다. 하지만 여전히 합의안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까으 총장은 "아세안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에서 미얀마에 아세안 의장 특사를 파견할 예정"이라며 "이런 노력이 미얀마의 5개 항 합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갈등 등 전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갈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아세안 사무총장으로서 역내 안정을 지키고 강대국 간 분쟁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는 '아세안 중심성'(ASEAN Centrality)을 지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세안 중심성'이란 강대국의 패권 경쟁에 휘둘리지 않고 아세안이 통일된 입장을 바탕으로 주도권을 행사한다는 아세안의 핵심 전략 중 하나다.

까으 총장은 "미중 모두 아세안 중심성을 지지한다"라며 "아세안이 50년 넘게 회원국 간 큰 갈등 없이 신뢰 관계를 이어갈 수 있었던 것도 모든 회원국이 아세안 중심성을 지킬 것이라는 신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까으 총장과의 일문일답.

95946d910e1653216998190eff119b77_1678174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중대한 시기에 아세안 신임 사무총장에 취임했는데, 5년의 임기 동안 어떤 정책을 펼칠 계획인가.

▲ 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긴장과 식량·에너지 안보 위기 등 매우 중요한 시기에 사무총장을 맡게 됐다. 이런 가운데 아세안은 전 세계 경제 발전을 이끌면서 동시에 이 지역을 평화롭고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사무총장으로 취임하면서 평화(Peace)와 번영(Prosperity), 전략(Plan), 사람(People), 동업(Partnership), 잠재력(Potential) 등 6가지 P를 우선시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세안이 평화와 번영의 장이 되고, 지속가능성과 녹색 경제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 아세안의 젊은이들이 성공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며 아세안 국가 간 협력을 통해 잠재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리의 많은 파트너와 협력할 것이다.

한국뿐 아니라 많은 나라가 아세안과의 협력을 원하고 있다. 아세안의 강점은 무엇인가.

▲ 가장 큰 장점은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이다. 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악재 속에도 지난해 아세안은 5.5% 성장했으며 올해도 5%대 성장률을 기대하고 있다. 세계 경제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여기에 6억7천만 명의 거대한 시장이 있다. 이는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시장이다. 이 중 35%가 15∼35세인 매우 젊은 지역이다. 4억6천만 명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덕분에 전자상거래 시장은 해마다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52개 유니콘 기업이 있으며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커가고 있다.

무엇보다 아세안은 오랜 기간 회원국 간 협력을 유지할 만큼 지정학적으로 안정돼 있으며 회원국 간 무역도 꾸준히 늘고 있다. 아세안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중심에 있으며 한국 기업들의 투자를 기다리고 있다.

95946d910e1653216998190eff119b77_1678174

 

 

한·아세안 FTA가 체결된 지 20년 가까이 되고 있다. 그사이 국제 경제 환경에 변화가 많았는데 이를 반영해야 하지 않을까.

▲ 한국과 아세안 FTA가 전면 시행된 이후 많은 기업이 혜택을 받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해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에서 양측은 민감 제품의 추가 자유화를 포함해 시장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찾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공동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여기에는 디지털 무역과 투자 촉진, 포용적 성장, 지속 가능한 개발, 금융 통합, 사이버 보안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협력 등이 포함될 것이며 특히 중소기업들에 도움이 되는 방안들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오는 8월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에서 연구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한국 정부는 새로운 인도 태평양 전략을 발표하며 핵심 과제로 '한 아세안 연대 구상'을 통한 공동 번영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양측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 아세안은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인도 태평양 전략을 환영한다. 이 비전은 아세안 중심성과 개방성, 투명성, 포용성, 규범에 기반한 체계 등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두 배로 늘리고, 탄소 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위한 한·아세안 협력센터 설립을 제안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우리는 이를 기반으로 좀 더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협력 방안에 착수할 것을 독려하고 있으며 한·아세안 연대 구상에 대한 더 자세한 투자 이행 관련 정보를 기대한다.

우리는 한국과 구체적인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노력할 것이다.

95946d910e1653216998190eff119b77_1678174

 

미얀마 사태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아세안은 2021년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즉각적인 폭력 중단 등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한 5개 항에 합의했지만, 혼란은 계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아세안이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비판도 있다.

▲ 미얀마의 상황은 뿌리 깊은 갈등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단기간에 해결되긴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있다. 아세안은 미얀마 국민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지원에 힘쓰고 있으며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도 할 계획이다. 아세안 사무총장으로서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미얀마 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차별 없이 돌아가도록 촉진할 준비가 돼 있다.

또 아세안은 미얀마가 5개 항 합의를 완전히 이행하도록 지속해서 촉구하고 있다.

현재 아세안 의장국인 인도네시아는 미얀마에 아세안 의장 특사를 파견할 예정이다. 이런 노력이 미얀마의 5개 항 합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두 나라 모두 아세안과 협력을 강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자칫 강대국 간 갈등에 휘말려 아세안 회원국 간 갈등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어떤 대응책이 있는가.

▲ 미중 모두 아세안의 파트너이며 우리는 미중과 정기적으로 대화하고 있다.

우리가 집중하는 것은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세안 중심성'을 강조한다. 이는 미국이나 중국 모두 지지하는 정신이다.

아세안이 50년 넘게 하나의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도 모든 회원국이 '아세안 중심성'이라는 핵심 정신을 계속해서 지키고 있으며 이를 모든 회원국이 신뢰하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아세안의 지원을 기대한다. 아세안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 아세안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했다.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가 평화적으로 이뤄지기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한다.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의 급증은 아세안에 심각한 우려를 안겨줬으며 이는 긴장을 고조시켜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지난해 아세안 외무장관들은 두 차례 성명을 내고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모든 관련 결의안을 완전히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95946d910e1653216998190eff119b77_1678174

 

laecorp@yna.co.kr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30307003600104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3,003건 20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71 인도네시아 위안부 처소에 태평양 전쟁 희생자 추모공원 착공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0 249
2470 “한국과 함께 신수도 큰 그림 그리자”…韓 52개사 인도네시아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7 327
2469 팔레스타인 지지하는 인니, U-20 월드컵 이스라엘 참가놓고 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6 346
2468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올해 기준금리 5.75% 유지할 듯"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5 310
2467 발리, 인니 중앙정부에 러시아·우크라인 비자 중단요청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5 352
2466 인도네시아 므라피 화산 또 폭발…화산재 분출하고 용암도 흘러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3 353
2465 호주, 핵잠수함 도입에 30년간 188조 필요…일자리 2만개 창…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3 244
2464 파푸아 반군, 이번엔 여객기에 총격…기체 바닥 총에 맞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3 246
2463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3.03.13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3 157
2462 파푸아 반군, 뉴질랜드 조종사 영상 또 공개…납치 한달 넘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1 347
2461 인니 최대 테크기업 고토, 실적 부진에 2년연속 감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1 288
2460 인니 법원, '압사 참사' 프로축구팀 관계자들에 실형 선고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0 290
2459 인니 섬마을 산사태 사망자 32명으로 늘어…실종자 22명 수색중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0 219
2458 인니, 신수도 투자 기업에 법인세 면제…거주자도 소득세 면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9 534
2457 인니 언론, 신천지 조명 "인니서 활동…가족불화 사례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9 403
열람중 [일문일답] 아세안 사무총장 "미얀마 사태, 단기간에 해결 어려…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7 219
2455 아세안 사무총장 "한-아세안 FTA 업그레이드 위해 공동연구 중…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7 199
2454 인도네시아 섬마을서 산사태…15명 사망·수십명 실종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7 247
2453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3.03.0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6 543
2452 자카르타 저유소 화재 사망자 17→19명으로 늘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5 397
2451 인니 중앙은행장, 식품물가 급등에 "상반기 물가 5%대 전망"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5 314
2450 파푸아반군 조종사 납치 3주…인니-뉴질랜드 외교갈등 비화 우려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8 373
2449 연봉 5천 세무공무원 재산이 50억…인니가 '부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8 460
2448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3.02.27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7 244
2447 인니 대통령 "다음 정권도 원자재 수출금지 정책 유지해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7 239
2446 "내년에 1만1천명 새 수도로 이주" 발표에 떨고있는 인니 공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7 350
2445 파푸아뉴기니서 납치된 호주 교수 풀려나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7 271
2444 인니 대통령 "지금은 저축보다 소비할 때…쇼핑하고 공연보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4 41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