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단체/기관 > ‘쟁이’ 예찬론 - 엄재석 / 한국문협 인니지부 부회장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192)
  • 최신글

LOGIN

한국문인협회 | ‘쟁이’ 예찬론 - 엄재석 / 한국문협 인니지부 부회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1-14 14:49 조회942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72284

본문

문협-에세이 산책

‘쟁이’ 예찬론

엄재석 / 한국문협 인니지부 부회장

2348789275_1573717163.1194.png


  ‘쟁이’라는 말은 기술이나 기능인을 비하하는 용어로 곧잘 쓰이는데 국어사전에는 2개의 뜻이 있다. 하나는 사람의 성질이나 특성, 행동 등을 나타내는 일부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을 얕잡는 말로서 쓰인다. 예를 들면 욕심쟁이, 욕쟁이, 빚쟁이, 깍쟁이, 심술쟁이, 겁쟁이, 난쟁이, 뻥쟁이, 거짓말쟁이, 영감쟁이 등이 있다. 다른 하나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과 관련된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을 얕잡는 말로서 쓰이는데 글쟁이, 점쟁이, 뚜쟁이, 땜장이 등이 있다. 좋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면 개구쟁이, 멋쟁이가 있다. 이 쟁이는 한 분야의 전문가인 장인(匠人)이란 단어에서 유래된 걸로 추정된다.

2348789275_1573728348.2098.png

  건설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특히 쟁이라는 말을 잘 사용했다. 땅을 파고 콘크리트를 치는 등 육체적으로 힘든 일을 하는 자신의 직업을 비하하며 쉽게 쓰였나 보다.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내가 처음 공사현장에 나섰을 때는 자주 들었다. 목수 쟁이는 목수 일을 하는 직업으로 지금은 목공으로 불린다. 철근 쟁이는 콘크리트에 들어가는 철근을 가공, 조립하는 철근 공을 지칭한다. 땜장이는 쇠를 접합하거나 구멍을 메우는 용접 일을 하는 직업을 비하하는 용어이다. 미장이는 벽돌이나 콘크리트의 거친 벽면을 모르타르로 매끄럽게 하는 미장공의 별칭이다. 본인의 전공인 토목인을 비하하는 용어로 “토장이”라고 불렀는데 공대생을 비하하는 공돌이 보다 더 듣기 싫었던 용어가 바로 “쟁이”였다. 나의 기질은 아무리 보아도 이과보다는 문과 쪽이었다. 고교 때 국어, 역사나 사화 과목을 수학 물리, 화학보다 좋아했고 성적도 훨씬 나았다. 지금도 책 읽기와 글쓰기를 전문 분야보다 좋아하니 문과가 나의 천성인가 보다. 

그래도 이과를 선정했고 대학을 지원할 때 졸업하면 취업이 잘된다는 속설만 믿고 공대를 갔다. 공대 중에서도 가장 “쟁이”다운 토목과를 입학했다, 막상 들어가 보니 적성을 무시한 전공이라 공부도 흥미가 없어 무늬만 학생인 대학시절을 보냈다. 공대보다는 남들처럼 경영학과, 정치외교학과, 법학과 등 인문계 학생들이 부러웠다. 고등학교 때 좀 더 열심히 공부하지 못한 것이 뒤늦게 후회가 되었지만 끝난 이야기였다. 그렇다고 다시 재수라도 하여 화려한 전공으로 옮기는 화끈한 용기도 없었다. 그래도 학교를 마치니 어찌하여 취업이 되어서 중동의 건설현장에서 ‘쟁이’의 길을 출발했다. 사우디에서 시작하여 인도, 방글라데시, 고국인 한국을 거쳐 이제는 인도네시아까지 왔다. 오직 건설의 길 40년에 도로공사에서 시작하여 발전소, 택지조성, 지하철 공사, 환경개선공사에다 지금의 건축공사현장까지 두루 섭렵한다.

2348789275_1573728637.0226.png

  이제는 토목을 넘어 건축까지 하게 되다니 내 자신이 보아도 경이롭다. 분야로는 시공에서 수주영업까지 분야별로 다양하게 경험하였다. 학교 시절에는 제대로 못했지만 직장인으로 주경야독하다 보니 기술 분야의 꽃이라는 기술사 자격까지 취득하였다. 은퇴시기에 제2의 인생으로 시작하는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한다. 좋은 대학에 멋진 전공으로 직장생활도 화려했지만 퇴직 후에는 막 일을 하는 뉴스를 자주 본다. 대학 랭킹도 몇째 안에 들어가고 모두가 부러워하던 전공이지만 퇴직 후 백수로 지내는 인문계 출신들이 많다고 한다. 퇴직 후의 모습은 전공별로 차이가 크다. 기술 분야 전문가가 대접받는 시대인지 지금도 같이 졸업한 학과동기들은 대부분이 현역에서 일하고 있다.

  비록 보수는 전성기와 같지 않지만 그래도 자기 분야를 지키기에 공대 출신은 취업도 잘 되고 롱런 한다는 속설이 이제는 정설이 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 근무 하다가 우연찮게 미장 공사를 수주하였다. 자카르타 중심부에 건설되는 고급 아파트 공사로 나로서는 본업의 이탈이다. 토목 전공으로 도로나 철도 공사를 주로 해온 나로서는 새로운 시도였다. 무엇보다 토목공사는 야외에서 일하다 보니 우천에 취약했다. 일하다 말고 비가 와서 작업이 중단되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강수량이 많은 인도네시아는 우기철이 시작되면 몇 달간 비가 내린다. 그러니 공기는 지연되고 투입비용은 실행예산을 초과하게 되어 문제현장이 되곤 하였다. 하여 비가와도 지장이 없는 건물 내 공사가 부러웠다. 이런 와중에 수주한 미장공사는 실내에서 시멘트와 모래에 물을 타서 벽에 바르면 되는 단순 공정으로 쉽게 생각했다.

2348789275_1573728754.5867.png

  막상 해보니 나만의 착각이었고 세상에 쉬운 일은 하나도 없었다. 생각하지 못했던 여러 상황이 돌출하여 괜히 수주했다는 후회와 자책감이 들기도 했다. 고품질을 요구하는 발주처의 완강한 주장에 시공이 끝난 부분을 깨내고 다시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 없기에 방법을 찾아야 했다. 당면한 문제에서 대안을 찾아 가는 것이 ‘쟁이’의 숙명이다. 장마 속에 험난한 토목공사도 했는데 이런 미장 일 하나 해결 못해서 어찌 쟁이라 할 수 있을까? 후일에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의 스카이라인을 바꾸는데 기여했다고 평가 받아야 한다. 기술입국(技術立國) 사업보국(事業保國)이란 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한 직업이 바로 기술자이다.

  물론 기업의 책임자로 경영자들도 있지만 일부 소수이고 현장에서 피땀을 흘리면 일한 산업역군이 바로 우리 쟁이고 공돌이다. 한강의 기적과 굴지의 삼성전자를 만들고 최빈국에서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우뚝 서게 하였다. ‘쟁이’들에게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고, 안되면 되게 하는 도전정신이 있다. 산업화의 과정에서 쌓은 노하우와 불굴의 정신력이 있기에 지금 인도네시아는 ‘쟁이’를 필요로 하는가 보다. 조기 은퇴가 대세인 요즘 적도의 땅에서 인생 2막을 펼치도록 만든 나의 전공을 어찌 아니 예찬할까? 오늘 아침도 아내가 정성껏 싸준 도시락을 들고 출근하며 “쟁이”의 축복을 실감한다.  

2348789275_1573728875.475.png

  • 목록
   
한인단체/기관 목록
  • Total 2,760건 67 페이지
한인단체/기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12 한인회 [대사관 안전 공지(10월 18일)] 대통령 취임식 관련 신변 …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18 859
911 한국문화원 573돌 한글날 기념, 인니서 한글의 아름다움 알리다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0 806
910 문화연구원 10회 ‘인도네시아 이야기 공모전 시상식 안내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0 1305
909 한국문화원 제10회 한-인니 영화제 성황리에 폐막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3 800
908 한국문인협회 공광규 시인의 인니어 번역시집 ’햇살의 말씀 Pesan San…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4 1088
907 JIKS JIKS 학교법인 법인장학금 수여식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5 1000
906 한국문인협회 초대장 - 2019년 인도네시아문학 제6집 출간기념식 문학축제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5 998
905 한국문화원 남녀노소 박장대소... 익스트림 넌버벌 퍼포먼스 ‘FLYING'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7 960
904 기타단체 “예술의 꽃을 피우다” 문예총 제6회 종합예술제 10월 19일 …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7 946
903 한국문화원 재외국민전형 입학설명회 개최 댓글2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9 1060
902 기타단체 음악을 통해 하나된 아시아를 만드는 2019 Korea Fest…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30 850
901 한국문화원 2019 국제 콘텐츠 공모전 ‘톡톡 코리아’ 수상작 인도네시아 …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31 871
900 문화연구원 332회 문화탐방 - 한인 역사 속의 종교공동체 탐방 ②이슬람편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3 714
899 한국자유총연맹 인도네시아 대학생 한국어 말하기, 케이팝, 댄스경연대회 인기글 사랑을나누는사람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3 1018
898 월드옥타 제7회 한인청년회 & 옥타차세대 골프대회 및 송년의 밤 인기글 BARAMSOJ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3 1260
897 기타단체 인도네시아 투자진출 한국기업 비즈니스 다이얼로그 2019 인기글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3 1423
896 대한체육회 태초의 먹거리가 건강을 지킨다 - 한인뉴스 11월호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4 1016
895 신발협의회 재인니한국신발협의회 코파의 힘 Vol 62 인기글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4 1011
894 한인회 한인뉴스 2019년 11월호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5 1052
893 한국문인협회 에세이 산책 - 알려지지 않은 땅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8 1219
892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문화원-발리편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1 1069
891 한국문인협회 적도에서 만난 또 하나의 세상 ‘문학’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4 1021
열람중 한국문인협회 ‘쟁이’ 예찬론 - 엄재석 / 한국문협 인니지부 부회장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4 943
889 봉제협회 한국봉제산업을 선도하는 KOGA Vol.24 인기글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5 1488
888 건설협의회 건설협의회 | 창조 Vol.35 인기글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8 1053
887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문화원-발리편’ 통해 인도네시아 지역 곳곳 한국문화 …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9 874
886 한국문화원 더욱 친근히 한국문화 알리는 한국문화원 견학학습 프로그램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20 745
885 JIKS 2020년 자카르타한국국제학교 부설영재교육센터 교육생모집 인기글첨부파일 GiftedEd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21 1148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