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단체/기관 > 태백선(太白線)에서 - 문인협회 수필산책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505)
  • 최신글

LOGIN

한국문인협회 | 태백선(太白線)에서 - 문인협회 수필산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0-12 16:58 조회878회 댓글1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51253

본문

2344771879_1507862974.573.jpg 

한창 건설회사의 선두에서 실무진으로 일하던 시절, 새로운 건설공사의 입찰을 위한 현장 설명회가 열리는 태백시로 가는 길의 중도에서 나는 정든 고향인 영월군 남면 연당리를 찾게 되었다. 감자바위 강원도, 거기서도 두메 산골인 영월의 초겨울 차가운 새벽 공기는 몸살 감기로 연일 기침을 하던 내 몸이 숨쉬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차가웠다. 이제는 성장한 자식들을 모두 떠나 보내고 연로하신 부모님만이 지키고 있는 강원도 연당리 고향집에 전날 밤 늦게 승용차로 도착했다. 차량으로는 태백이 초행길이라 가는 길을 확실히 알기 위해 태백에 살고 있는 먼 친척에게 전화를 했더니 ‘폭설과 기온의 급강하로 차량 통행이 곤란하니 승용차보다는 기차를 이용하라’ 는 친절한 조언을 어찌 외면할 수 있으랴. 어쩔 수 없이 타고 온 승용차는 고향집에 놓아두고 새벽 완행열차인 태백선을 타기 위해 어머님이 지어주신 따뜻한 아침밥을 먹고 고향 역을 찾았다. 그것도 어언 20여 년 만에…

 

내가 중학생이 되던 해, 나는 유학이란 사유로 일찍 고향을 떠나야 했다. 그 당시에는 기차가 서울로 가는 주요 교통수단이었던 때라 숱한 만남과 이별의 장소로 유년시절의 고향인 태백 선은 늘 내 마음속에 남아 있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과 더불어 국도가 포장이 되면서 직행버스를 이용하여 고향을 찾게 되자 고향 역은 그 추억의 위상을 상실하게 되었다. 마을 입구 도랑 건너편에 고향 역은 하얀 외딴 집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누가 알았으랴. 건설회사의 현장설명회 업무와 혹한의 날씨가 나로 하여금 다시 고향 역을 찾게 만들 줄이야. 그 옛날에는 크고 흰 색깔의 도장으로 깨끗했던 역사 건물이 이제는 협소하고 누추해진 모습으로 역시 같은 세월의 흐름 속에 홍안의 소년에서 불혹의 연륜으로 변한 나를 쓸쓸하게 맞이하고 있었다.

 

추운 날씨에도 난로조차 없는 대합실에 있기가 힘들어 두사람만이 일하고 있는 역무원 사무실로 들어갔다. 요즈음에는 보기 드문 조개탄 난로의 열기로 안경에 낀 성에를 녹였다. 오래도록 사용하여 원래의 색상조차 찾기 힘든, 마치 구시대의 골동품을 연상케 하는 사무실의 여러 비품들이 여기가 철도박물관이 아닌가 하는 착각조차 들게 한다. 이윽고 열차 도착 시간이 되어 열차표를 끊으라는 역무원의 안내에 옛날에 할머니와 함께 서울로 갈 때, 할머니 대신 내가 기차표를 끊는다며 서울 가는 어른 하나, 아이 하나 주세요. 하니까 사람은 팔지 않는다.라는 그 시절 역무원의 재치 있는 답변을 떠올려보니 나도 모르게 슬그머니 웃음이 나왔다. 연당에서 태백까지 차비가 오늘부터 50원이 올라서 850원이라는 차표 값이 2시간의 여행치고는 너무 싸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윽고 역사를 나와 태백 선 열차를 타기 위해 새벽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플랫폼으로 나왔다. '옛날의 그 많던 승객들은 다 어디에 가고 지금은 나 홀로일까' 이렇게 생각하며 열차를 기다리는데 연로하신 역장님이 나에게 다가온다.

 

이 열차는 승객 칸이 2량밖에 달려 있지 않으니 여기 서 있지 말고 가운데로 가세요 하니, 예전에는 열차가 길어서 아무 곳에서나 탈 수가 있었는데요 하니, 역장님 왈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얘기하시네 한다. 또 한 번의 격세지감이다. 하기야 지난 20년간 태백선 열차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내 자신을 보더라도 태백 선이 옛날의 영화로운 모습 그대로 이길 바란다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라는 생각이 든다. 드디어 차가운 새벽 공기를 가르고 도착한 낡은 열차에 몸을 실었다. 열차 안의 차가운 냉기에 떨고 있는 그리 많지 않은 승객의 대부분인 보따리 장사 아주머니들의 누추한 모습에서 태백선의 현주소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태백선도 사람처럼 그 나름의 인생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일까? 지난 6,70년대에 주 에너지원이었던 무연탄 수송의 대동맥으로 그 전성기를 구가했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쇠락의 길로 접어 든 태백 선이다. 욱일승천(旭日昇天)하는 영광의 길 뒤에는 낙조의 서글픔을 맛보아야 하는 고성낙일(孤城落日)의 운명이 반드시 뒤따른다는 만고의 진리를 가르쳐 준 여명의 태백선! 완행열차의 1분간 정차시간이 오늘은 어쩐지 길게만 느껴진다. 신음 같은 기적소리를 울리면서 서서히 출발하는 열차 속에서 여객 물동량의 감소로 조만간 폐쇄될지도 모른다는 연당역과 산업 철도선인 태백 선이 옛날의 화려한 영화를 다시 찾을 수 있기를 기도해 본다. 지금은 많은 것이 변하고 떠나버린 사랑하는 고향 역의 풍경을 이리저리 돌아보았다. 흔들리는 차창 밖으로 학창시절, 방학이 끝난 후 내가 다시 서울로 향할 때면 그 자리에 서서 손을 흔들어 주던 동갑내기 친구가 생각 났다. 어려서 세상을 떠났던 그 친구가 서 있던 자리, 잊지 못할 나의 고향 역은 어느새 눈물로 흐려진 내 시야에서 서서히 멀어지고 있었다.

 

태백-[太白線]

중앙선 제천 역에서 갈라져 나와 동북 방면으로 뻗어 영동선의 태백산까지 이어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철도의 하나로 연장107.4km에 영월, 석향, 함백, 고한, 황지 등 모두21개의 역이 있다. 주로 태백지구에서 생산되는 무연탄을 취급하는 산업철도로 태백산맥의 준령을 가로질러 건설되었기 때문에 터널이 많으며 고한- 추전 간의 정암터널은 연장4.505m로 얼마 전까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터널이었으며, 추전 역은 해발852m로 가장 고지대에 위치한 역이다.


2344771879_1507802388.634.jpg

2344771879_1507802392.6811.png

2344771879_1507802392.778.png

2344771879_1507802393.6862.png


2344771879_1507802386.2651.jpg

2344771879_1507802386.7673.jpg

2344771879_1507802387.4423.jpg

댓글목록

인해촌님의 댓글

인해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졸필을 다듬고 여기에 실어 주신
한국문인협회 인니 지부
서미숙 회장님께 감사드립니다.
좀 더 습작하여 문인의 길에 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목록
   
한인단체/기관 목록
  • Total 2,761건 55 페이지
한인단체/기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9 대한체육회 2017년도 제98회 전국체전 태권도경기 종합 우승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4 874
1248 한국문화원 해외 현지 근현대사 교육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3 538
1247 기타단체 [EPS센터] 한국으로 가는 마지막 관문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3 850
1246 문화연구원 제 8회 인터넷 문학상 사진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2 540
1245 문화연구원 제 8회 인터넷 문학상 감상문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1 649
1244 한인회 제23차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모국 방문단 모집 추진 결의대회의 …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31 712
1243 문화연구원 인터넷문학상 성인 최우수상 - 김기역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31 809
1242 문화연구원 인터넷문학상 학생부 최우수상 - 이상원 JIKS 10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31 569
1241 문화연구원 문화지리학자 김이재 교수와 함께하는 특별 세미나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7 742
1240 한국문화원 ˹공공외교˼ 실천의 장 젠드랄 수디르만대학(Unsoed)‘한국…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6 680
1239 한국문화원 인도네시아교육대학교(UPI)에서‘한글날 문화제’개최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6 860
1238 한국문화원 인도네시아 최대 한류 커뮤니티‘한사모’와 함께한 ‘Hallyu!…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6 1056
1237 한국문인협회 가자미 식해 – 문인협회 수필산책 2 [싱가포르 한인신문 신춘문…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6 951
1236 한인회 제23차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모국방문단 모집 추진 결의대회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5 610
1235 한국문화원 주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 행정직원 채용공고 - 2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5 681
1234 문화연구원 제 8회 ‘인도네시아 이야기’ 인터넷 문학상 ' 수상자 명단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4 1100
1233 문화연구원 양승윤 교수 특별 세미나 후기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4 741
1232 JIKS 글로벌 교사의 꿈을 꾸다.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4 702
1231 JIKS 2017 JIKS Spelling Bee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4 862
1230 기타단체 KOWIN 인도네시아 지부 8기 출범식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4 1154
1229 문화연구원 제 8회 ‘인도네시아 이야기’ 인터넷 문학상 '대상 주인도네시아…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3 863
1228 대한체육회 인도네시아 메달집계 현황 - 10월 24일 업데이트 댓글2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2 1309
1227 기타단체 다시! 코가! - 코가인의 만남의 장 제 28회 골프대회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1 988
1226 대한체육회 제 98회 전국체전 개회식 - 선수단 입장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1 895
1225 대한체육회 문재인 대통령, 제98회 전국체전 개막식 축사 / YTN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1 753
1224 기타단체 민주평통 동남아남부협의회(인도네시아) 평창 올림픽 성공 개최 기…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1 608
1223 기타단체 KOWIN the 8th 출범식 (행사 후 사진 첨부)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0 845
1222 기타단체 [KOFICE] 한-인니 정부협력 패션교육센터 자카르타 패션위크…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19 683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