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 영 . 관 . 리 - 소식 > 인도네시아 투자포인트 관련정보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836)
  • 최신글

LOGIN
붐업[BOOM UP]은 소모임과 무관한 인도웹 광고주 홍보 내용입니다.

인도네시아 투자포인트 관련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choibu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0-06-05 16:28 조회9,541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faoh/2607

본문

프론티어 마켓을 가다] 인도네시아 투자포인트
전병남 기자 fact@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인도네시아의 경제 구조는 자원 의존형이다. 석유와 가스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수출액 중 21.2%(2008년 기준)에 달한다. 우리나라가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하는 전체 제품 중에서도 원유와 천연가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가까이 된다. 국가 경제는 전체 인구 중 4% 내외에 불과한 중국계 화교가 장악하고 있다. 상장기업 가운데 화교기업의 비중이 70% 이상이다.

인도네시아가 가진 가장 큰 경쟁력은 자원과 내수시장이다. 자원과 내수시장을 노린 외국인의 직접투자도 늘고 있다. 미국발 금융위기 속에서도 2009년 9월 현재 외국인 투자금액이 579억달러를 기록할 정도다. 특히 주변국의 투자가 돋보인다. 중국의 국부펀드인 CIC는 최근 인도네시아 최대 발전용 석탄업체 부미에 19억 달러를 투자했다. 페트로차이나는 올해 인도네시아 투자 규모를 지난 해보다 30% 늘릴 예정이다. 호주의 주요 광산회사들은 인도네시아 현지 광산에 투자하기도 했다. 롯데쇼핑은 지난 2008년 인도네시아의 대형 도매 마트인 마크로를 3900억원에 인수했다.

우리나라의 투자규모는 상당한 편이다. 현재 인도네시아에 투자하거나 진출한 국내 기업은 약 1350개사 내외다. 제조업이 950개사로 가장 많고 서비스업종이 400여개사에 달한다. 2009년 현재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5번째 교역 상대국이며 인도네시아는 우리의 11번째 교역 대상국이다. 2007년 발효된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관세 면제가 시행된 상태다. 향후 교역규모 성장이 기대된다.

개인투자자들은 동남아시아 투자 펀드를 활용해 인도네시아에 투자할 수 있다. 현재 ‘미래애셋맵스아세안셀렉트Q증권투자신탁’ ‘한국투자인니말레이증권자투자신탁’ 등의 펀드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신흥 아시아 지역에 투자하고 있다.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7.97%(1년, 6월 1일 기준) 수준이다.
  • 검색
  • 목록
게시물 검색
방장 : 젊은여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