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테 >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각 나이대 별로 적합한 최고의 운동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50)
  • 최신글

LOGIN

방장 : 김삿갓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각 나이대 별로 적합한 최고의 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1-17 11:00 조회2,896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41642

본문

 

사람마다 맞는 운동이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나이대에 더 적합한 운동이 있는 법이다. 아래 리스트를 참고하시라.

20대: 달리기, 요가

pin_icon_onhover.pngjogging

달리기

왜: 현재 심혈관계의 건강 수준은 당신의 미래 건강의 척도가 된다. JAMA 내과에 실린 최근 연구에서는 20대의 참가자들에게 트레드밀을 뛰게 한 다음, 서서히 속도와 경사를 높이며 참가자들이 얼마나 오래 버티는지를 측정했다. 연구자들이 여러 해 후 중년이 된 참가자들의 건강을 다시 확인한 결과, 10분 이상 버틴 사람은 6분만 버틴 사람에 비해 사망 위험이 50% 더 낮았고 심혈관계 질병 위험은 40% 더 낮았다.

계획: 연구자들은 30분 동안 적당히 심혈관계 운동(오르막을 포함한 빨리 걷기)을 일주일에 5일하거나 조금 더 지칠 정도의 강도로 25분 동안 일주일에 3일하길 권한다.

yoga

요가

왜: 오늘날 20대들은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이 힘들고 학자금 대출을 잔뜩 짊어진 상태다. 평온함을 쉽게 느끼기 힘들 만하다. “마음의 긴장을 풀지 못하는 20대 학생들을 많이 본다.” 병원과 지역 단체들과 함께 만성병 환자들에게 요가를 가르치는 비영리 단체 요가캡스의 공동 설립자 제이 굽타의 말이다. 만성 스트레스는 불면, 우울, 면역 체계 약화, 소화 문제와 연관이 있다.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건강한 방법을 배우는 것은 지금 당장, 그리고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 연구에 의하면 요가는 코티솔 수치 상승과 고혈압 등 몸의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30대: 심혈관계 운동, 무거운 웨이트

gym running

심혈관계 운동에 인터벌을 넣어라

왜: 30대가 되면 신진대사가 느려진다. 이것에 대처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신진대사가 느려지기 때문에, 매년 최고 약 1kg까지 지방이 늘어날 수 있다.” 아리조나 주 투손의 캐년 랜치 헬스 리조트의 운동 생리학장 마이크 시멘스는 말한다. 인터벌 트레이닝은 운동을 멈춘 뒤에도 몸이 지방을 태울 수 있게 해준다. 보통 운동을 했을 때는 이 효과가 4~6시간 지속되지만, 인터벌 워크아웃의 경우 10~12시간 지속된다.

계획: 운동 강도 8~9(대화를 계속할 수 없는 정도)까지 몸을 밀어붙인 후에 6~7(숨을 헐떡이지 않으며 10단어 정도를 말할 수 있는 정도)로 낮추는 걸 반복하라. 이 두 단계를 오가며 20~40분씩 일주일에 2~3일 운동하라. 당신에게 맞는 운동 시간과 회복 시간 비율로 시작해서 강도를 높여가라.

gym weight

무거운 웨이트

왜: “30살 정도부터 매년 최고 140g 정도의 근육을 잃는다.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대부분 약해지는 이유다. 필라테스나 부트 캠프 수업 등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이라면 근육을 재건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런 활동들은 근육량을 유지시켜 줄 뿐이다.” 웨이트 리프트는 잃어버린 근육을 되찾아 줄 수 있다. 연달아 8~12번 이상 들 수 없을 정도의 무게여야 한다.

 

40대: 자신이 30대에 하던 것들을 더 많이 하라

어떤 운동이든 더 많이 하라

cycling

왜: 염색체 끝에 있는 짧은 사슬 중합체인 텔로머는 나이가 들수록 짧아지고 줄기는 취약해진다. 스포츠와 운동의 의학과 과학 지에 실린 연구에 의하면 중년에 육체적으로 활발한 사람일수록 텔로머 길이가 짧아질 위험이 적으며 나이가 들면서도 세포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한다고 한다.

계획: 이 연구에 실린 활동 4가지에 집중하라: 웨이트 트레이닝, 조깅 등 가벼운 심혈관계 운동, 스피닝이나 로잉 등 격렬한 심혈관계 운동, 걷기나 자전거 타기.

50대: 테니스, 춤, 하이킹, 다리 근육 운동

테니스, 춤, 하이킹

tennis

왜: 체중을 버텨야 하는 이런 운동들은 폐경기가 되면 일반적으로 떨어지는 골밀도 유지에 도움이 된다(에스트로겐 수치 감소가 영향이 있다). 이 시점에서 체중 지지 운동이 좋은 이유는? “뼈는 살아있는 세포이고, 필요한 정도의 강도만 유지한다. 그래서 뼈에 정기적으로 부담을 주면 뼈는 활동을 계속하기 위해 더 강한 강도를 유지한다.” 보스턴의 브리검과 여성 병원의 여성 스포츠 의학과장 엘리자베스 매츠킨 박사의 말이다.

계획: 매일 체중 지지 운동을 30분하는 것을 목표로 하라. 일정 조절이 힘들다면 더 가끔씩 더 자주 운동을 해도 좋다고 한다. 부상을 피하기 위해 운동 시간을 늘리는 것은 천천히 해야 한다.

skipping rope

다리 근육을 키우는 운동

왜: 최근 노인학 연구에 의하면 다리가 강할수록 두뇌가 노화를 잘 견딘다. 연구자들은 평균 연령 50세의 여성 쌍둥이들을 관찰한 결과, 쌍둥이 중 다리가 더 튼튼한 사람의 뇌가 10년 동안 구조적/기능적으로 노화에 더 잘 견뎠음을 발견했다. 강한 다리와 정신의 연관 관계는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근육을 움직일 때 뇌 세포를 자극하는 신경 화학 물질이 분비되고, 다리 근육이 몸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더 많은 물질이 나오기 때문이라는 이론이 있다.

계획: 연구자들은 다리의 힘을 키우는 운동을 추천한다. 달리기, 높이뛰기, 줄넘기, 춤 등을 일주일에 3번씩 45분 동안 하면 된다.

60대 이상: 정기적인 근력 운동, 걷기 등 가벼운 활동

senior exercise

정기적인 근력 운동

왜: 당신이 생각한 이유 때문이 아니다. 뇌에 좋기 때문이다. 일주일에 2번씩 웨이트 리프트를 하는 6~70대 여성들은 뇌백질 병변이 더 적었다. 뇌백질 병변은 위험한 낙상의 가능성을 높이는 인지 저하를 나타내는 위험한 징후다. 미국 노인학회 저널에 실린 연구 결과다. 일주일에 1번만 근력 운동을 한 사람들은 별 효과를 보지 못했다.

계획: 중간 내지 조금 무거운 무게(연달아 10번 들 수 있는 정도)를 쓰고, 전신을 사용하는 다양한 움직임을 40분 동안 일주일에 2번 한다. 시작할 때 하기 좋은 운동 몇 가지를 소개한다. 팔과 복근을 동시에 쓰는 운동, 어깨에 좋은 운동, 하반신 전체를 강화해주는 운동들이다.

senior exercise

걷기와 정원 돌보기 등 가벼운 활동

왜: 폐경기 후 늘어난 체중(특히 몸 중간 부분에)은 당뇨병, 심장병, 일부 암 등의 위험을 높인다. 폐경기 이후에는 체중이 늘어나기가 쉽지만, 빼기도 쉽다. 걷기와 정원 돌보기 같은 가벼운 육체 활동만으로도 젊은 여성들에 비해 체중과 복부 지방에 더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북미 폐경회 연례 모임에서 발표된 새 연구 결과다).

  • 목록
아라테 목록
  • Total 3,468건 86 페이지
아라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88 카밀라 조르지 "예쁜 유니폼도 엄마 덕이죠"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19 2902
열람중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각 나이대 별로 적합한 최고의 운동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17 2897
1086 테니스- 샤라포바, 윔블던 후 첫 경기서 기권패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29 2894
1085 해리슨 포드 "액션 연기 비결? 타고난 몸+테니스"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14 2892
1084 US오픈테니스- 페더러, 15년 연속 단식 16강행 등 종합소식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06 2891
1083 체코 女테니스, 러시아 꺾고 페드컵 우승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16 2889
1082 테니스 승부조작 스캔들 앞과 뒤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28 2888
1081 바브링카, 머리 물리치고 준결승 진출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21 2887
1080 제1회 재인니대한테니스협회장배 테니스 대회 종료 인기글첨부파일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23 2882
1079 윌리엄스, 샤라포바 상대 18연승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26 2881
1078 톱시드 배정받으며 세계 최고 클래스 입증한 '테니스의 왕자' 정…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19 2881
1077 10년간 수입 1위 테니스 여제 사라포바···도핑테스트로 결국 …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09 2877
1076 테니스 실점과 득점이 헷갈리는 경우의 수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29 2870
1075 테니스 넘버3서 '가장 강한 남자'로…조코비치 시대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13 2867
1074 혈액형으로 알아보는 테니스 스타일 댓글1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25 2859
1073 비너스-시불코바, 뱅크 오브 웨스트 준결승행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23 2859
1072 스키아보네, 메이저 대회 연속 출전 중단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16 2853
1071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나달 탈락 이변..머레이는 완승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20 2850
1070 개인 스포츠 단일경기 상금 최고액…경마-테니스-레이싱 순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10 2850
1069 조코비치, 베르디흐 물리치고 4강 진출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20 2849
1068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테니스 코트①-리조트 속 테니스 코트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06 2840
1067 한나래의 꿈 “세레나와 붙어보고 싶다”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16 2834
1066 최태원 SK 회장·노소영 관장, 테니스 치며 맺은 사랑…27년만…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9 2832
1065 정현, 2016시즌 테니스 유망주 7인에 선정< ESPN>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08 2817
1064 한나래, 전 세계랭킹 15위 카네피 제압 '파란'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6 2816
1063 '테니스 전설 대결' 곤잘레스, 마이클 창 꺾고 '왕중왕'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26 2814
1062 정현, ATP 최우수 기량발전상 수상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12 2810
1061 ATP 파이널 대진 완성…조코비치 4연패 도전 인기글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14 280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