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국민이 꼽은 최고 브랜드 50위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291)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국민이 꼽은 최고 브랜드 50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9-11 18:33 조회7,335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12544

본문

인도네시아 국민이 꼽은 최고 브랜드 50위

- 글로벌 광고기업 WPP, 인도네시아 최고 브랜드 50위 조사 –

- 현지 기업 다수 차지하지만, 외국 브랜드도 10개사 포진 -

- 인도네시아 국민, 일용 소비용품 선택 시에 브랜드 의존도 높아 -

 

 

 

□ 개요

 

 ○ 글로벌 광고기업인 WPP는 '인도네시아 최고 브랜드 50위' 조사를 하고 8월 20일 결과를 발표함. 현지 은행인 BCA가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BRI은행, 3위는 국영통신사인Telkomsel이 차지했으며, 10위권 안에 은행이 4곳, 담배기업이 4곳이 차지하는 등 인도네시아 국민이 체감하는 주요 브랜드와 분야 특성이 드러남.

 

 ○ 이번 조사에서는 브랜드 순위와 함께 브랜드 가치 환산액과 기업 개요를 설명하고 있으며, 브랜드가 실질적으로 제품 선택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도 분석하고 있어 인도네시아에서의 브랜딩 전략 수립에 대한 참고사항을 얻을 수 있음.

 

□ 업종 중 은행, 부동산, 담배, 화장품의 브랜드 파워 높아

 

 ○ 은행 브랜드는 BCA, BRI, Mandiri, BNI 등 인도네시아 주요 은행 브랜드들이 50위 권 내에 12곳이나 포함돼 전체의 24%를 차지함. 다음으로는 부동산 기업 브랜드가 8개, 담배·화장품·개인위생 제품류가 각 7개씩을 차지함. 유통, 식품 기업 브랜드는 4개씩 포함됐으며, 통신서비스 브랜드도 3개가 순위에 진입함.

 

인도네시아 50대 브랜드 업종별 구분

            (단위: 달러, %)

업종 구분

브랜드 수

점유율

(브랜드 수 기준)

브랜드가치

점유율

(브랜드가치 기준)

은행

12

24

27,521

43

부동산

8

16

3,098

5

화장품

7

14

3,344

5

담배

7

14

14,794

23

식품

4

8

1,461

2

유통

4

8

3,327

5

통신서비스

3

6

8,417

13

청량음료

2

4

1,061

2

항공사

1

2

354

1

엔터테인먼트

1

2

249

0

홈케어

1

2

949

1

자료원: BRANDZ Top 50 Most Valuable Indonesian Brands 2015

 

 ○ 전체 순위 1위 기업인 BCA(Bank Central Asia)는 1955년에 설립됐으며, 시장가치 기준 인도네시아 최대 은행임. 인도네시아 재계 서열 4위인 Djarum Group에 속해 있음. 2위 기업인 BRI(Bank Rakyat Indonesia, 인도네시아 국민 은행)은 정부 지분이 57%에 달하는 국영기업이며, 4위 기업인 Mandiri, 7위 BNI도 국가자본이 투입된 국영은행임.

 

인도네시아 브랜드 파워 순위(1~26위)

kotra 브랜드의 수익기여도.jpg

  

주: Brand Contribution은 브랜드의 수익 기여도


자료원: BRANDZ Top 50 Most Valuable Indonesian Brands 2015

 

 ○ 담배 브랜드 중 5위 A. Mild, 9위 Dji Sam Soe, 10위 Marlboro, 11위 U Mild는 모두 외국기업인 Philip Morris International사가 대주주로 있는 HM Sampoerna사의 브랜드임. 8위 Surya, 12위 Gudang Garam, 34위 GG Mild는 인도네시아 재계순위 7위인 Gudang Garam사의 브랜드임.

 

인도네시아 브랜드 파워 순위(27~50위)


kotra 브랜드파워 순위.jpg




자료원: BRANDZ Top 50 Most Valuable Indonesian Brands 2015

 

 ○ 화장품, 개인위생 제품군에서는 13위 PONDS, 18위 Pepsodent, 31위 Sunsilk, 32위 Citra, 33위 Lifebuoy, 38위 Clear, 44위 LUX까지 7개 모두가 글로벌 기업인 유니레버(Unilever)사의 브랜드임. 네덜란드 국적의 유니레버사는 화장품, 개인위생 관련 제품 군에서 40%에 가까운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 인도네시아 최대 모바일 통신서비스 제공 기업이며, 현지에서 1억40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Telkomsel는 3위를 차지했으며, 인도네시아 65개 도시에 134개의 지점을 보유한 인도네시아 최대 백화점 기업인 Matahari가 6위를 차지함. 부동산 브랜드로 전체 21위를 차지한 Sinamas Land사는 인도네시아 재계 순위 3위의 최대 주택개발 기업임.

 

□ 인도네시아 Top 브랜드의 특징

 

 ○ 이번 조사결과의 특징으로는 비교적 오랜 기간 지속해온 브랜드가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고 있는 점임. 인도네시아 50대 브랜드가 만들어진 후 경과된 시간은 평균 45년임. 2위인 BRI는 1895년 브랜드가 만들어져 120년이 됐으며, 담배 제품인 Dji Sam Soe 브랜드는 1913년 제작돼 102년이 됐음.

 

인도네시아 50대 브랜드 제작(개시) 연도

            (단위: 개, 억 달러)

브랜드 제작 시점

브랜드 수

전체 브랜드가치

평균 브랜드가치

1967년 이전

17

301

18

1967~1998

29

318

11

1999~2015

4

26

7

자료원: BRANDZ Top 50 Most Valuable Indonesian Brands 2015

 

 ○ 비교적 최근인 2004년 이후에 50위권에 진입한 담배 브랜드인 U Mild(2005년)와 GG Mild(2013년)는 기존에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던 A Mild 브랜드의 영향으로 순위권에 들은 것으로 보임. 2004년에 브랜드가 만들어진 Hypermart의 경우는 대형 할인 유통몰이라는 새로운 유통형태로 도입되면서 브랜드파워가 자연스럽게 생성됨.

 

 ○ 다른 특징으로 50대 브랜드가 모두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브랜드라는 점이 있으며, 기업 소유 관점에서 보았을 때 34개 브랜드가 일반 사기업에 속함. 10개 브랜드가 글로벌 기업, 6개가 국영기업 브랜드로 글로벌 브랜드도 현지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브랜드 임팩트는 일용 소비재 제품(FMCG)이 높아

 

 ○ 브랜드가 실제로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얼마나 공헌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브랜드 임팩트'에서는 일용 소비재 제품(Fast-Moving Consumer Goods)들이 상위권을 차지함.

 

인도네시아 브랜드(브랜드 공헌도 1~10위)

            (단위: 백만 달러)

브랜드 가치 순위

브랜드명

브랜드가치

브랜드 공헌도

9

DJI SAM SOE

1,767

5(담배)

25

SARIWANGI

402

5(청량음료)

18

PEPSODENT

659

5(Personal Care)

17

RINSO

949

5(Home care)

14

INDOMIE

1,039

5(식품류)

50

BIMOLI

110

5(식품류)

27

GARUDA INDONESIA

354

5(항공사)

5

A MILD

5,882

4(담배)

12

GUDANG GARAM

1,635

4(담배)

3

TELKOMSEL

6,373

4(통신서비스)

자료원: BRANDZ Top 50 Most Valuable Indonesian Brands 2015

 

 ○ 공헌도가 높은 10위권 중에는 식품류인 Indomie, Bimoli, Sariwangi가 포함됐으며, DJI SAM SOE, A MILD, GUDANG GARAM 등의 담배제품도 자리를 차지함. 이외에는 Pepsodent, Rinso 등의 개인, 가정용 위생제품과 인도네시아 국영 항공사인 Garuda Indonesia, 인도네시아 최대 통신서비스 기업인 Telkomsel 등이 포함됨.

 

 ○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빈번하게 구입하는 일용 소비재 제품군 중 높은 브랜드 파워를 갖는 제품이 많은 이유는 오랜 기간 지역 매장의 매대 등에 진열돼 있으면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직접 선택하고, 이를 소비하는 과정 속에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쌓인 것으로 파악됨.

 

□ 시사점

 

 ○ 이번 조사 결과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브랜드들은 장기간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아온 현지 제품들이 다수임. 그러나 Pepsodent, Aqua 등 인도네시아 시장에 안착한 해외 기업 브랜드들도 높은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높은 브랜드 파워를 갖는 일용 소비재 제품이 많다는 점에서 일용 소비재 제품군일수록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의 브랜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인도네시아 국민의 경제력이 성장하면서 향후 제품 선택 시 브랜드가 갖는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임. 관련 제품 수출이나 현지 판매를 계획하는 우리 기업들은 해당 제품군의 성공사례를 참고해 현지 시장에서 유효한 브랜드 전략 수립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

 

 

자료원: WPP Indonesian BRANDS TOP 20, 각 사 홈페이지 및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50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50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81
949 인도네시아 국제 식품 전시회(동부)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91
948 인니, ’26년까지 현지 금속 거래소 설립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84
947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48
946 인니 APEKSI 연계 K-Smart City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37
945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34
944 2025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29
943 인니, 니켈·구리 등 광산 로열티 인상··· 광산업계 경쟁력 우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333
942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124
941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효율화의 주요 내용과 함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8693
940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12
939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47
938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10698
937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10590
936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12926
935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5332
934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6670
93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4008
932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761
931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4392
930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2112
929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9820
928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1805
927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2244
926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5650
925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333
924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258
923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984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